교과의 키_2025년 2기 7과 예언을 위한 기초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진현 작성일25-05-10 22:52 조회458회 댓글0건본문
기억절
내가 또 주의 목소리를 들으니 주께서 이르시되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 하시니 그 때에 내가 이르되 내가 여기 있나이다 나를 보내소서 하였더니(사 6:8)
1. 누군가에게나, 어딘가에 가까이 가고 싶었지만 그럴 수 없었던 일이 있었습니까?
핵심성구:
이사야 6:5 “화로다 나여 망하게 되었도다 나는 입술이 부정한 사람이요… 만군의 여호와이신 왕을 뵈었음이로다.”
이사야 6:7 “보라 이것이 네 입에 닿았으니 네 죄악이 제하여졌고 네 죄가 사하여졌느니라.”
핵심내용
이사야는 하나님의 거룩한 임재 앞에서 자신의 죄인됨을 절실히 깨달았습니다.
그는 스스로 하나님께 나아갈 수 없는 존재임을 인식했습니다.
그러나 하나님은 스랍을 통해 불붙은 숯으로 이사야를 정결하게 하셨습니다.
이 정결함은 용서와 사명의 시작이었습니다.
그 이후 이사야는 하나님의 부르심에 즉시 응답했습니다.
키워드 요약
하나님의 은혜는 죄인을 정결하게 하여 가까이 나아오게 하신다.
적용질문
나는 하나님께 가까이 나아가지 못하게 만드는 나의 부정함을 어떻게 고백하고 있습니까?
전체 요약정리
하나님의 임재 앞에서 인간은 자신의 부족함을 절실히 깨닫는다.
그러나 하나님은 죄인을 용서하고 사명으로 부르신다.
회복된 사람은 주저함 없이 하나님의 부르심에 응답한다.
2. 스랍이 숯을 가져다 이사야에게서 죄를 제한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사 6:7)
핵심성구
이사야 6:6 “그 때에 그 중의 하나가 부젓가락으로 제단에서 집은 바 불붙은 숯을 손에 가지고 내게로 날아와서”
이사야 6:7 “그가 내 입술에 대며 이르되… 네 죄가 사하여졌느니라.”
핵심내용
숯은 정결함과 속죄의 상징으로, 하나님께서 죄를 사하셨다는 표식입니다.
스랍은 하나님의 명령을 따라 이사야를 정결하게 하였습니다.
이 정결함은 이사야가 하나님의 임재 앞에 설 수 있는 자격을 의미합니다.
하나님의 용서는 그분의 은혜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사야는 깨끗해진 후에야 하나님의 부르심에 “여기 있나이다”라고 응답할 수 있었습니다.
키워드 요약
숯은 하나님의 정결케 하시는 은혜와 사명 부여의 상징이다.
적용질문
나는 하나님의 용서를 통해 어떤 변화된 삶을 살아가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하나님의 용서는 인간의 자격이 아닌 하나님의 은혜에 근거한다.
정결함은 하나님께서 직접 행하시는 구원의 시작이다.
그 은혜를 경험한 사람만이 하나님의 사명을 받을 준비가 되어 있다.
3. 에덴동산에 그룹을 두어 지키게 하신 것은 어떤 의미가 담겨 있습니까? (창 3:24)
핵심성구
창세기 3:24 “에덴동산 동쪽에 그룹들과 두루 도는 불 칼을 두어 생명나무의 길을 지키게 하시니라.”
출애굽기 25:18 “금으로 그룹 둘을 속죄소 두 끝에 쳐서 만들되…”
핵심내용
그룹은 하나님의 임재를 보호하는 존재로서 성경에 자주 등장합니다.
에덴의 그룹은 죄인이 생명나무에 접근하지 못하게 막는 상징이었습니다.
동시에 이들은 하나님 임재와 영광의 상징이기도 합니다.
그룹의 존재는 하나님의 공의와 은혜가 동시에 존재함을 보여줍니다.
이는 회복과 구속의 계획이 예비되어 있다는 희망을 내포합니다.
키워드 요약
그룹은 죄로부터 단절된 인간과 하나님의 임재 사이의 거룩한 보호자이다.
적용질문
나는 하나님의 임재에 합당하도록 어떻게 나를 정결케 하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그룹은 거룩함을 침해하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존재이다.
동시에 하나님의 구속 계획 안에 희망의 상징으로도 존재한다.
하나님은 인간이 다시 그분께 나아올 길을 준비하고 계신다.
4. 성경에서 그룹은 무엇을 위해서 존재하고 있다고 생각합니까? (계 4:8)
핵심성구
요한계시록 4:8 “네 생물은 각각 여섯 날개를 가졌고 그 안과 주위에는 눈이 가득하더라…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주 하나님 곧 전능하신 이여…”
이사야 6:3 “서로 불러 이르되 거룩하다 거룩하다 거룩하다 만군의 여호와여…”
핵심내용
그룹(네 생물)은 하나님의 보좌 주위에서 쉬지 않고 그분을 찬양합니다.
그들은 하나님의 거룩하심과 전능하심을 선포하는 천상의 존재입니다.
그들의 모습은 예배의 중심성과 하나님의 임재의 영광을 나타냅니다.
이들은 창조 세계가 마땅히 경배해야 할 대상이 하나님이심을 증거합니다.
그룹은 하나님의 통치를 고백하는 예배의 본질을 드러내는 존재입니다.
키워드 요약
그룹은 하나님의 거룩함과 임재를 선포하는 예배의 천상 존재이다.
적용질문
나는 일상의 삶 속에서 하나님의 거룩하심을 어떻게 선포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그룹은 하나님의 보좌 주위에서 영원한 예배를 드리는 존재이다.
그들은 하나님 중심의 하늘 질서와 예배의 영광을 나타낸다.
그들의 존재는 우리 삶도 거룩한 경배로 채워져야 함을 알려준다.
5. 성경에 나타난 지파들의 배치된 모습 속에는 어떤 의미가 담겨져 있습니까? (계 21:22)
핵심성구
민수기 2:2 “이스라엘 자손은 각각 자기 진영의 깃발 곁에 진을 칠지니라…”
요한계시록 21:12 “그 성에는 크고 높은 성곽이 있고 열두 문이 있는데… 이스라엘 자손 열두 지파의 이름이 쓰여 있고”
핵심내용
이스라엘 지파들은 성막 중심으로 질서 있게 배치되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임재를 중심으로 하는 공동체 질서와 예배 체계를 상징합니다.
새 예루살렘에는 지파 이름이 새겨진 문이 있어 이 정체성을 이어갑니다.
하나님은 질서와 연합 속에서 임재하시며, 백성들을 그분의 임재로 이끄십니다.
구속받은 공동체는 하나님의 임재 속에 함께 거하는 백성입니다.
키워드 요약
지파의 배치는 하나님 중심 질서와 구속 공동체의 연합을 나타낸다.
적용질문
나는 하나님의 임재 중심으로 내 삶의 구조를 어떻게 세우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하나님은 백성들이 질서 속에서 그분을 중심으로 살기를 원하신다.
지파의 배치는 하늘 공동체의 구조를 보여주는 예표이다.
하나님의 백성은 영원히 그분의 임재 안에서 함께하게 된다.
6. 세 천사의 기별은 루시퍼의 죄와 우리 죄의 속성에 대해서 무엇이라고 말합니까? (계 14:7)
핵심성구
계시록 14:7 “하늘과 땅과 바다와 물들의 근원을 만드신 이를 경배하라 하더라”
이사야 14:14 “내가 지극히 높은 이와 같아지리라 하도다”
핵심내용
루시퍼의 죄는 하나님의 위치를 탐내고 자신을 높이려는 교만이었습니다.
인간의 죄도 하나님 중심이 아닌 자기 중심의 삶에서 비롯됩니다.
세 천사의 기별은 하나님을 창조주로 경배하라는 외침입니다.
이는 죄에서 돌이켜 하나님 중심의 삶으로 돌아오라는 부르심입니다.
예배는 단순한 형식이 아니라 삶의 중심을 하나님께로 돌리는 결단입니다.
키워드 요약
세 천사의 기별은 자기 중심의 죄에서 하나님 중심의 경배로 회복하라는 초청이다.
적용질문
나는 삶의 주인을 나 자신이 아닌 하나님으로 바꾸는 결단을 매일 하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죄는 하나님을 밀어내고 자신을 중심에 두는 본성이다.
세 천사의 기별은 이 죄의 본질을 드러내며 회개를 촉구한다.
하나님을 경배하는 자만이 구속 공동체에 속할 수 있다.
7. 사탄과의 대쟁투가 끝난 이후에 어떤 진리가 더 분명하게 드러나겠습니까?
핵심성구
요한계시록 5:12 “죽임을 당하신 어린 양은 능력과 부와 지혜와 힘과 존귀와 영광과 찬송을 받으시기에 합당하도다”
빌립보서 2:10–11 “모든 무릎이 하늘에 있는 자들과 땅에 있는 자들과 땅 아래에 있는 자들로 꿇게 하시고… 예수 그리스도를 주라 시인하게 하사…”
핵심내용
대쟁투가 끝난 후 모든 피조물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인정하게 됩니다.
예수님의 희생은 하나님의 성품을 온 우주에 계시하는 결정적 사건입니다.
죄와 고통의 역사도 하나님의 선하심을 변증하는 수단이 됩니다.
구속받은 자들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을 증거하는 존재가 됩니다.
그리스도의 승리는 하나님의 영원한 통치의 정당성을 밝히 드러냅니다.
키워드 요약
대쟁투의 종말은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의 완전한 승리를 선포한다.
적용질문
나는 하나님의 통치가 영원히 옳다는 사실을 삶으로 어떻게 증거하고 있는가?
전체 요약정리
그리스도의 희생은 하나님의 성품을 완전하게 드러낸다.
모든 피조물이 하나님의 통치를 인정하게 될 것이다.
구속의 이야기 전체는 하나님의 사랑과 공의를 증명하는 역사이다.
#하나님의임재
#죄의정결과사명
#거룩한예배
#대쟁투의승리
#세천사의기별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