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과 결혼에서 가져온 심상-(핵심Q&A)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3과 결혼에서 가져온 심상-(핵심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4-16 04:55 조회766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3과 결혼(結婚)에서 가져온 심상(心想)

       (4월 19일 (안) / 일몰: 오후 7시 10분)   


<기억절(記憶節)>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 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고 또 내게 말하되 이것은 하나님의 참되신 말씀이라 하기로"(계19:9). 


<개요(槪要)>


(Q)~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언약(言約)은 부부관계(夫婦關係)의 관점(觀點)에서 이해(理解)해야 하는 이유는?


(A)~창세기 창조 이야기의 문학적(文學的) 구조(構造)에서, (창세기 2장 21~24절)의 일곱 번째 부분에 등장하는 결혼제도는 (창세기 2장 1~3절)에서 일곱째 날에 등장하는 안식일 제도와 평행을 이룹니다. 이러한 수비학적(數秘學的) 유사성(類似性)은 매우 중요한 교훈을 강조합니다. 하나님과 인류의 관계는 결혼이라는 성례전(聖禮典)에게 비추어 이해되어야 합니다.


⑴.창조시(創造時)에 하나님께서는 두 가지 축복의 제도(制度)를 만드셨다. (①.안식일 제도(安息日制度)와 ②.결혼제도(結婚制度)로써 잘 준행(遵行)할 때는 행복(幸福)이지만 올바로 준행하지 않는다는 그것은 곧 불행(不幸)이요 불륜(不倫)이요 부정(不貞)으로 이는 둘 사이(남편과 아내의 관계(關係)처럼) 하나님과 인간의 관계(關係)도 동일(同一)함을 은유법(隱喩法)으로 적용(適用)하는 비유(譬喩)이다.


⑵.하나님은 '하나님의 형상(形狀)'으로 인간을 창조(創造)하였다. (창 1:27) 하나님은 영(靈)이시고, 인간(人間)은 '영적존재(靈的存在)'이다.


⑶.결혼(結婚)이라는 비유(譬喩)는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의 초기 단계에서 반복(反復)될 것이다. 질투(嫉妬)라는 모티프는 종종 간통과 연관되는데, 예를 들어 십계명(출 20:5; 민 25:1; 신 4:23, 24 참조)의 언약 문서에서 발견됩니다. 


⑷.결혼관계(結婚關係)의 비유(譬喩)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언약(言約)은 부부관계(夫婦關係)의 관점(觀點)과 같은 맥락(脈絡)에서 이해(理解)가 됩니다. 하나님은 그의 백성을 "사랑"하시며(신 7:8), 이스라엘은 그 대가(對價)로 하나님을 "사랑"해야 합니다. (신 6:5). 


⑸.남편과 아내 사이의 성적(性的), 친밀하고 개인적인 관계를 묘사하는 히브리어 단어 "야다"는 "알다"(창세기 4:1, 창세기 19:8)로,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관계를 가리키는 데 사용됩니다(시편 16:11, 예레미야 2:2, 3, 에스겔 16:3~32).


⑹.하나님과 관계(關係)의 단절(斷切)은 죽음이고, 관계의 회복(回復)은 '생명(生命)'(life)이다. 구원(救援)받았다는 것은 생명(生命)이신 하나님과 관계가 회복(回復)된 것이고, 관계가 깊어지는 것은 성결(聖潔)이다..


⑺.창세기에 나오는 두 부부, 아담과 하와, 이삭과 리브가의 결합을 통해 예시되는 성경적 결혼 모델을 살펴보며, 이어서 예언적 적용에서 호세아서 부부(夫婦)의 상징성(象徵性)을 살펴볼 때. 즉, "창녀(娼女)"와 "신부(新婦)"라는 비유(譬喩)가 각각 타락(墮落)한 인간(人間)과의 하나님의 관계 실패(失敗)와 성공(成功)을 여실히 보여 주어 우리에게 교훈(敎訓)하고 있다. 


⑻.부부관계(夫婦關係)의 성경적(聖經的) 차원(次元)을 연구하여 부부은유(夫婦隱喩)의 의미(意味)를 더 잘 이해(理解)하는 것이 필수적(必須的)이다.


⑼.성경기록(聖經記錄)에 따르면, 결혼제도(結婚制度)는 인류역사(人類歷史)의 첫날, 에덴동산에서 이루어졌으며(창세기 1:26~27; 창세기 2:18, 20~23). ​​따라서 이러한 고대(古代)의 영감(靈感)받은 창세기 본문은 결혼(結婚)의 기본원칙(基本原則)을 담고 있으며, 따라서 우리의 탐구(探究)에 유용(有用)할 것이다.


⑽.결혼관계(結婚關係)를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과 마지막 때에 우리에게 원(願)하시는 것을 알 수 있으며, 예수님은 우리를 죄악(罪惡)에서 구(救)하시며 자신을 주시지만, 우리가 반역(叛逆)할 때 고통(苦痛)받으신다는 사실을 깨닫고. 하나님의 사랑과 은혜를 생각하며 악(惡)한 감화력(感化力)에서 자신을 지키고 주님과 연합(聯合)하는 우리 모두가 됩시다.


(04월 13일) (일) 한 몸 


(Q)~사람의 결혼(結婚)은 그리스도와 인류(人類) 사이의 관계(關係)를 어떻게 묘사(描寫)하며 반영(反映)하고 있으며, 바울은 무엇을 위해서 창세기(創世記)의 “한 몸”이라는 표현(表現)을 사용합니까? (창세기 2:23~25 에베소서 5:29~32) 


(A)~<하나님께서 여자(女子)를 남자처럼 흙으로 짓지 않으시고 아담의 갈빗대로 만드신 것은 다음과 같은 의미(意味)를 지닌다….>

(1) 아담과 하와는 서로 분리(分離)될 수 없는 완전한 합일체(合一體)이다. 이러한 관계는 서로 정당(正當)한 부부(夫婦)의 연(緣)을 맺은 모든 자들에겐 영속(永續)되는 것이다. (마 19:3~6). 

(2) 여자(女子)는 남자에게 있어서 마땅히 소중(所重)히 여김을 받아야 하는 존재(存在)이자(엡 5:25~33) 서로가 인격적(人格的)인 면에 있어서 동등체(同等體)이다. (고전 11:11~12). 

(3) 따라서 하나님 안에서 새로운 가정(家庭)을 이룬 부부(夫婦)는 서로간의 부족(不足)한 점을 사랑과 신뢰(信賴)로 메꾸어 나가면서 하나님께 감사와 영광(榮光) 돌리는 삶을 살도록 힘써야 할 것이다. (고전 10:31).


⑴.하나님께서 부부(夫婦)를 "자신의 형상대로"(창세기 1:27) 창조하셨다는 사실은 아담과 하와가 부부(夫婦)로서 신성(神聖)한 상호 관계(相互關係)의 모델을 반영해야 함을 시사(示唆)합니다. 


⑵.핵심(核心)은 단순히 신격(神格)의 세 위격(位格) 사이에 사랑과 연합(聯合)이 있듯이 남자와 여자 사이에도 사랑과 연합(聯合)이 있어야 한다는 것이다. (창세기 2:24; 요한복음 15:9, 12, 17; 엡 4:1~6 참조).


⑶.창세기(創世記)와 타락(墮落) 이후 남자와 여자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적(相互的)인 역학 관계(力學關係)는 하나님과 그의 백성 사이의 언약(言約)을 상징하는 비유적(比喩的) 표현이기도 합니다. (아가서 6:3, 창세기 3:16, 엡 5:21~28 참조).


⑷.교회(敎會)와 그리스도의 결혼(結婚)은 완전하신 구주(救主)와 한없이 불완전(不完全)한 신부(新婦) 사이의 결합(結合)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좋은 결혼관계(結婚關係)가 제공하는 것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배울 수 있다. 


⑸.남편(男便)과 아내에게 주는 권면(勸勉)(엡 5:21~33)은 모든 신자에게 “그리스도를 경외(敬畏)함으로 피차(彼此) 복종(服從)하라”(21절) 는 요청(要請)과 함께 시작한다. 바울은 이런 상호 복종(相互服從)의 원칙(原則)을 말함으로써 계속하여 설명하려는 그리스도인 가정(家庭)을 위한 규칙(規則)을 도입(導入)한다 “그리스도를 경외(敬畏)함”이 신자(信者)들의 상호간(相互間) 복종(服從)에 동기(動機)를 부여(附與)한다. 이 구절(句節)은 주님이며 심판자(審判者)이신 분에 대한 경외심(敬畏心)을 표현(表現)한다.


⑹.결혼 사상(寫像)은 그리스도와 교회와의 관계에 대한 그리스도인 용법으로까지 이어졌는데, 그리스도는 신랑(新郞)이요 교회는 신부(新婦)이며, 둘 다 서로에게 충실해야 한다. (고후 11:2; 엡 5:23~32; 계19:7; 21:9). 


⑺.야고보의 서신(書信)의 문맥(文脈)에서 실제적(實際的) 간음(姦淫)이 그의 공동체(共同體)의 주요 쟁점(爭點)이라고 제안(提案)할만한 것은 아무것도 없다. 이 경우에는, 구약(舊約)의 선지자(先知者)들이 그 단어(單語)를 이스라엘이 하나님과의 관계(關係)에서 그들의 언약(言約)을 파기(把記)했을 때 사용한 것처럼 비유적(比喩的)으로 사용되고 있다고 우리는 추정할 수 있다. 


⑻.이 관계(關係)는 종종 예레미야서에서 여호와께서 말씀하신 것처럼 결혼 용어(結婚用語)로 묘사(描寫)되었다.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예루살렘을 향하여 선포(宣布)하라고 말씀하셨다: “네 소년 때의 우의(友誼)와 네 결혼(結婚) 때의 사랑을 기억(記憶)하노라.” (렘 2:2; 사 54:1~6과 비교).


⑼.이스라엘은 끊임없이 불의(不義)하였고, 언약(言約)을 파기(破棄)했으며, 배교(背敎)했다. 이는 선지자들에 의해 간음(姦淫)으로 낙인(烙印)찍혔다. 가장 전형적(典型的)인 예는 선지자 호세아의 경험으로, 간음(姦淫)한 여인과의 그의 결혼은 하나님과 그분의 백성과의 관계의 상징이었다 (호 1~3; 9:1 또한 사 54:1~6; 57:3; 렘 3:6~10, 20; 13:27; 겔 16:23~34). 


⑽.그러므로 야고보는 간음(姦淫)에 대한 심상(心想)을 이런 은유적(隱喩的)인 방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유사(類似)한 방법으로, 예수께서도 선지자(先知者)들의 말을 인용(引用)하여, 동시대(同時代)의 사람들을 “악(惡)하고 음란(淫亂)한 세대”라고 부르셨다. (마 12:39; 참고 16:4; 막 8:38).


◉.창조(創造)부터 결혼(結婚)으로 남녀가 평생(平生) 서로에게 충성(忠誠)하는 것이 이상으로 제시되었다. 한 몸의 은유(隱喩)는 인류(人類)와 이런 친밀감(親密感)을 원(願)하시는 하나님을 강하게 보여준다..


(04월 14일) (월) <아름다운 신부(新婦)>


(Q)~신부(新婦)를 높여주시는 이 이야기는 하나님께서 우리의 장래(將來)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계시에 대해 무엇을 가르쳐 주며, 하나님의 신부(新婦)가 아름다운 이유(理由)는 무엇 때문이라고 생각합니까? (에스겔 16:4~14)


(A)~<에스겔 16장은 버려졌던 이가 아름답게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돌보심 때문이다. 그러나 신부(新婦)가 이를 자신의 것으로 여길 때 아름다움은 가치(價値)를 잃고 문제에 직면(直面)한다.>


⑴.하나님의 신부(新婦). 에스겔서에서 여자 또는 신부(新婦)는 하나님 백성의 상징(象徵)으로 점진적(漸進的)으로 묘사(描寫)됩니다. 하나님께서 그녀를 발견하셨을 때, 그녀는 이교도(異敎徒) 출신(出身)의 더럽고 못생긴 갓난아기에 불과(不過)했다. (에스겔 16:35). 그러자 하나님께서 그녀를 돌보셨습니다. 


⑵.성경에는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와의 관계에 존재하는 신성(神聖)하고 영속적(永續的)인 성격(性格)이 결혼(結婚)의 연합(聯合)으로 되어 있다.


⑶.주님께서는 엄숙(嚴肅)한 언약(言約)으로 친히 하나님의 백성과 결합(結合)하셨는데, 그분께서는 저들의 하나님이 되실 것을 약속(約束)하셨고, 백성들은 하나님의 소유(所有)가 되는 동시에 하나님께만 봉사(奉仕)할 것을 맹세(盟誓)하였다.


⑷.주님께서는 “내가 네게 장가들어 영원히 살되 공의(公義)와 정의(定義)와 은총(恩寵)과 긍휼(矜恤)히 여김으로 네게 장가들며”(호 2:19) “나는 너희 남편임이니라”라고 말씀하셨다(렘 3:14). 


⑸.사도 바울도 신약(新約)에서 그와 동일(同一)한 표상(表象)을 사용하여, “내가 너희를 정결(淨潔)한 처녀(處女)로 한 남편인 그리스도께 드리려고 중매(仲媒)함이로다”라고 말하였다. (고후 11:2).


⑹.그분은 그녀를 깨끗하게 하시고 먹이셨으며, 그녀는 "매우 아름다워졌습니다"(에스겔 16:13). 이는 하나님께서 그녀에게 베푸신 영광을 상징(象徵)합니다. (에스겔 16:14)


⑺.에스겔서에서도 "매우 큰"(에스겔 9:9) 죄악(罪惡)에 빠진 여인(女人)을 묘사(描寫)하기 위해 "매우 좋다"는 히브리어 수식어(修飾語)인 메오드 메오드가 사용되었다. 하나님께서 "매우 좋게" 만드신 것이 "매우" 악(惡)화게 되었다.


⑻.이스라엘의 아름다움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선물(膳物)이었다. 그녀가 열방의 화제(話題)가 될 정도로 아름다웠던 것은 하나님의 신부(新婦)였기 때문이다. 하나님은 그녀의 아름다움에 대해 “내가 네게 입힌 영화(榮華)로 네 화려(華麗)함이 온전”(겔 16:14)하여졌다고 말씀하신다.


⑼.버려졌던 이가 아름답게 된 것은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돌보심 때문이다. 그러나 신부(新婦)가 이를 자신의 것으로 여길 때 아름다움은 가치(價値)를 잃고 문제에 직면(直面)한다.


⑽.우리는 하나님의 선(善)하심과 영광(榮光)을 반영(反映)하도록 창조(創造)되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피조물(被造物)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자기 자신의 것으로 생각할 때, 그 아름다움은 가치(價値) 없게 되고 많은 문제에 직면하게 된다.


(04월 15일) (화) <호세아의 음란(淫亂)한 아내> 


(Q)~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음란(淫亂)한 여인(女人)으로 묘사(描寫)하시는 것은 어떤 이유(理由)가 있으며 그리스도교는 호세아의 이야기에서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으며, 교회(敎會)는 어떤 면에서 구약시대(舊約時代)의 죄를 반복(反復)했는가? (호세아 1:2; 호세아 3:1; 요한계시록 17:1, 2; 요한계시록 18:1~4)


(A)~<하나님은 호세아를 통해 인간(人間)의 죄와 반역(叛逆)으로 인한 고통(苦痛)을 이해(理解)하도록 도우셨다. 방탕(放蕩)한 아내를 구(救)하기 위한 노력은 하나님의 사랑의 깊이를 깨닫게 한다.>


⑴.호세아서의 주된 주제(主題)는 잘못을 범(犯)하는 그분의 자녀를 향(向)한 하나님의 사랑이다. 가정생활(家庭生活)을 통해 호세아가 겪은 경험(經驗)과 충실하지 않았던 아내에 대해 그 자신의 마음속에 느꼈던 점들은 호세아로 하여금 그분의 백성을 향한 하늘 아버지의 무한히 깊은 사랑을 조금이나마 체험(體驗)하게 하였다.


⑵.호세아가 부정(不貞)한 고멜을 용서(容恕)하고 사랑한 것은 곧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용서(容恕)하고 사랑하심이요 오늘날 우리를 용서하고 사랑하신다는 표상(表象)이다. 


⑶.호세아의 펜과 결혼 생활(結婚生活)을 통하여,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들과 새로운 관계(關係)를 이루시려고 온유(溫柔)하게 말씀하신다. 이스라엘아 네 하나님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네가 불의(不義)함으로 인(因)하여 엎드러졌느니라 너는 말씀을 가지고 여호와께로 돌아“오라. (호 14:1~2)


⑷. 하나님께서는 호세아가 음란(淫亂)한 여인을 아내로 직접 취(取)함으로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체험(體驗)하고, 다시 도망간 아내를 데려옴으로 하나님을 떠나간 이스라엘 백성의 죄를 드러내고, 다시 돌아오기를 바라시는 하나님의 마음을 표현하기 위해서 이런 명령(命令)을 하신 것이다.


⑸.사랑의 질투(嫉妬)는 다시 긍휼(矜恤)의 불로 타오른다. 그러고는 다시 이스라엘과 결혼(結婚)하겠다고, 아니 다시 무슨 일이 있어도 사랑하며 영원히 남편(男便)이 되겠다고 약속(約束)한다. “내가 네게 장가들어 영원히 살되 의(義)와 공변됨과 은총(恩寵)과 긍휼(矜恤)히 여김으로 네게 장가들며 진실함으로 네게 장가들리니 네가 여호와를 알리라”(호 2:19, 20).


⑹.사람은 사랑할 만한 대상(對象)을 찾지만, 하나님은 사랑할 대상(對象)을 창조(創造)하신다. 불가능(不可能)한 사랑을 하는 사람만이 진정(眞正)한 사랑을 알 수 있다. 이런 사랑만이 이스라엘을 그 가망(可望) 없는 영적타락(靈的墮落)으로부터 회복(回復)시킬 수 있다. 이 사랑을 거부(拒否)하는 것이 돌이킬 수 없는 가장 무서운 죄가 아니겠는가?


⑺.창녀(娼女)와 신부(新婦). 히브리 예언서(豫言書)의 방식(方式)을 따라 요한계시록은 두 가지 버전의 여자를 대조(對照)하기 위해 부부(夫婦) 비유(譬喩)를 사용합니다. "신부(新婦)"는 남편(男便)을 위해 단장(丹粧)한 여자(女子)”(계21:2)는 하나님께서 "새 예루살렘"(계21:3)에서 함께 거하실 하나님의 백성을 상징(象徵)합니다. 반면에 "큰 음녀(淫女)"는 "음행(淫行)으로 땅을 더럽힌 간음(姦淫)한 교회(敎會)"(계19:2)를 상징(象徵)합니다.


⑻.부부비유(夫婦譬喩)는 그리스도인 삶의 세 가지 영역(營域), 즉 하나님과의 개인적(個人的)인 관계(關係), 배우자(配偶者)와의 관계(關係), 그리고 교회(敎會) 안에서 적용(適用)될 수 있습니다.


⑼.하나님은 그들을 친밀(親密)하게 알고 계시고 그들을 사랑하신다. 세상은 최악(最惡)의 때를 향해 치닫고 있지만, 그분은 여전히 우리를 다시 사기 위해 당신의 피로 지불(支拂)하신 속전(贖錢)을 제공(提供)하고 계신다.


⑽.하나님께서 선지자(先知者) 호세아에게 음란(淫亂)한 여인(女人)인 줄 알면서도 그와 결혼하라 요청하신 것은 하나님의 종에게 주어진 가장 기이(奇異)한 임무(任務)일 것이다. 그러나 하나님은 인간의 죄(罪)와 반역(叛逆)으로 인한 고통(苦痛)을 하나님의 관점에서 이해하게 하려고 호세아를 사용하셨다.


(04월 16일) (수) <이삭과 리브가> 


(Q)~아브라함의 아들 이삭이 “가나안 족속의 딸’과 결혼하지 않는 것이 아브라함에게 왜 그렇게 중요한 일이었으며 아들을 위한 아브라함의 선택에는 마지막 때를 위한 어떤 교훈이 담겨 있습니까? (창 창세기 24:1~4)


(A)~<아브라함의 선택(選擇)은 악(惡)한 감화력(感化力)에 물들지 않도록 주의해야 하는 영적(靈的)인 문제의 중요성을 말한다. 이것은 마지막 때에도 매우 중요(重要)한 문제이다.>


⑴.이삭과 리브가의 결혼(結婚)이야기는 창세기(創世記)에서 가장 긴장(章)인 (창세기 24장)에 기록(記錄)되어 있다. 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임재(臨在)에 대한 교훈(敎訓)을 담고 있다.


⑵.하나님께서 언약(言約)을 시작하십니다. 아브라함이 그의 종 엘리에셀을 보냄으로써 상징적(象徵的)으로 미래(未來)의 신부(新婦)가 있는 곳으로 옮겨간 것처럼,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백성, 곧 신부(新婦)를 향(向)해 먼저 나아가시는 분입니다


⑶.하나님은 언약(言約)을 강요(强要)하지 않으십니다. 마찬가지로 엘리에셀은 자신을 따르지 않기로 (決定) 할지도 모르는 신부(新婦)의 자유(自由)를 고려(考慮)했습니다. "아마 그 여자가 나를 따르려 하지 않을 것이다" (창세기 24:5).


⑷.이삭과 리브가의 결혼(結婚)은 하나님께서 하나님의 백성과 맺으신 언약에 대한 우리의 이해(理解)를 밝혀주는 여러 교훈적(敎訓的)인 요소(要素)들을 보여 줍니다.


⑸.아브라함의 권고(勸告)가 배타적(排他的)인 것처럼 보일 수 있지만, 이 문제는 아브라함에게 민족적문제(民族的問題)가 아닌 영적(靈的)인 문제(問題)였고, 나라의 문제가 아닌 신학적문제(神學的問題)였다. 


⑹.하나님이 주신 지혜(智慧)와 자제력(自制力)의 부족(不足)으로 급(急)하게 한 선택(選擇)은 악(惡)을 더욱 무겁게 하여 마침내 결혼관계(結婚關係)는 괴로운 멍에가 된다. 이리하여 많은 사람은 금생(今生)의 행복과 내세(來世)의 희망을 파멸(破滅)시켜 버렸다.


⑺.주의 깊게 사려(思慮) 해야 하고 연로(年老)하고 경험(經驗) 많은 사람의 조언(助言)을 받아야 할 문제가 있다면 그것은 결혼 문제(結婚問題)다. 언제나 성경(聖經)을 고문(顧問)으로 삼고 기도(祈禱)로써 하나님의 인도(引導)하심을 간구(懇求)해야 할 때가 있다면 그것은 두 사람이 일생(一生) 연합하기 위해 한 발걸음을 내딛기 전이다.


⑻.리브가는 가족(家族)을 떠나 전혀 모르는 한 남자의 아내가 될 것인지 선택해야 했다. 이것은 그녀에게 믿음의 큰 도약이었다. 이때 이삭과 리브가의 신앙에 대한 첫 번째 중요한 교훈 중 하나는 결혼(結婚)은 단지 사랑뿐만이 아니라 신앙(信仰)에 관한 것이라는 사실이다.


⑼.(내 고향 내 족속에게로 가서). 즉 갈대아 우르가 아니라 하란으로 가는 것인데, 두 곳 모두 메소보다미아 지방에 있었다. 거기에 있는 아브라함의 친족들도 우상 숭배에서 벗어난 것은 아니었지만, 참 하나님에 대한 어느 정도의 지식과 경배를 보존하고 있었다(참조 창 31:19; 수 24:2; 부조, 171). 


⑽.아브라함의 아들이 가나안 사람의 딸과 결혼해서는 안 되고, 그의 친척 중의 하나와 결혼해야 한다는 것이었다. 그는 가나안 사람들이 타락(墮落)한 것을 보았고, 계시(啓示)를 통하여, 그들이 멸망(滅亡)할 것을 알았다. 그러므로 그 가나안 사람들의 영혼에 덫이 되거나, 혹은 그의 이름에 오점(汚點)이 되지 않게 하기 위하여 그의 아들이 그들 중의 어떤 여인(女人)과 결혼(結婚)하는 것을 원(願)하지 않은 것이다.


(04월 17일) (목) <큰 음녀(淫女)가 심판(審判)받다> 


(Q)~큰 음녀(淫女)의 심판(審判)과 그리스도와 신부(新婦)의 결혼(結婚)이라는 두 사건을 동시에 찬양(讚揚)하고 있다. 어떻게 이 두 사건(事件)은 실제(實際)로 하나님의 사랑이며 의(義)로우신 성품(性稟)을 동시(同時)에 보여 줄 수 있는가? (요한계시록 19:1~9)


(A)~<은혜(恩惠)를 거절(拒絶)한 음녀(淫女)는 심판(審判)받지만, 주님은 우리와 연합(聯合)에 들어가기 원(願)하신다. 나의 부정(不貞)과 음행(淫行)에도 주님은 그 대가(代價)를 친히 진심으로 용서(容恕)와 영생(永生)을 주신다.>


⑴.“평생의 연합(聯合)이 되는 결혼(結婚)은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간(敎會間)의 연합(聯合) 상징(象徵)이다. 그리스도께서 교회에 대하여 나타내시는 정신(精神)은 남편(男便)과 아내가 서로에게 나타내야 할 정신(精神)이다”(증언 7권, 46).


⑵.불륜(不倫)은 매우 고통스러운 대가(代價)를 치르게 합니다. 그 여파(餘派)는 자녀와 다른 사람들의 삶으로 번집니다. 아무리 인내심(忍耐心)이 강(强)한 배우자(配偶者)라도 결국(結局)에는 돌이킬 수 없는 순간(瞬間)이 찾아온다는 것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⑶.생명(生命)을 위한 연합(聯合)인 결혼(結婚)은 그리스도와 그분의 교회(敎會) 사이의 연합을 상징합니다. 그리스도께서 교회(敎會)를 향해 나타내시는 정신은 남편과 아내가 서로에게 나타내야 할 정신입니다. 


⑷.음녀(淫女)를 심판(審判)하는 것이 정결(淨潔)한 신부(新婦)를 보호하는 것이다. 결과 그리스도와 신부(新婦)의 혼인(婚姻)은 사랑과 공의(公義)가 함께 성취되는 것이다. 


⑸.완전히 도취(陶醉)된 것이다. 정상적(正常的)인 이성(異性)과 판단 능력(判斷能力)이 상실(喪失)되고 영적(靈的) 지각력이 마비되었다. (참조 렘 51:7; 살후 2:9, 10; 계 13:3, 4, 7, 18; 14:8; 18:3; 19:20.)


⑹.이곳에서 땅에 거(居)하는 자들이 취(取)한 것은 바벨론과 지상(地上)의 임금들 사이의 불법적(不法的)인 동맹(同盟)에 대한 언급(言及)이 있은 다음에 언급되었다는 점이 주목(注目)된다. 


⑺.분명 바벨론은 아직 그에게 자발적(自發的)으로 복종(服從)하지 않는 땅에 거(居)하는 자들에 대한 지배권(支配權)을 얻기 위해 지상(地上)의 임금들을 통해 움직인다. 통치자들과 피지배자들은 똑같이 속임을 당한다. (쟁투 624).


⑻.인류가 그리스도를 거부(拒否)하고 그분께 속한 애정(愛情)을 다른 신(神)들에게 바쳤을 때, 그리스도께서는 상상할 수 없는 고통을 겪으셨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은 우리를 위해 자신을 내어주셨습니다.


⑼.부정(不貞)에는 매우 고통스러운 대가(代價)가 따른다. 그 여파는 자녀와 다른 사람들의 삶까지 미친다. 그것은 아무리 인내심(忍耐心)이 강(强)한 배우자(配偶者)라도 결국(結局)에는 더 이상 결혼 생활을 회복할 수 없는 돌이킬 수 없는 때가 있음을 알게 할 것이다. 


⑽.신성(神聖)하고 영속적(永續的)인 특성이 결혼의 연합(聯合)으로 대표되어 있다. 주님께서는 엄숙한 언약으로 친히 당신의 백성과 결합하셨는데, 그분께서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실 것을 약속하셨고, 백성들은 하나님의 소유가 되는 동시에 하나님께만 봉사할 것을 맹세하였다. 


주님께서는 ‘내가 네게 장가들어 영원히 살되 의와 공변됨과 은총과 긍휼히 여김으로 네게 장가들며’(호 2:19), ‘나는 너희 남편임이니라’(렘 3:14)라고 말씀하셨다”(쟁투, 381).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