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2-3. 결혼에서 가져온 심상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25-2-3. 결혼에서 가져온 심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광진 작성일25-04-11 17:40 조회850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안교소그룹의 TMI나눔 :

 

연구 범위 2:23-25, 5:29-32, 16:4-14, 18:1-4, 24:1-4, 19:1-9

기억절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받은 자들은 복이 있도다 하고 또 내게 말하되 이것은 하나님의 참되신 말씀이라 하기로”(19:9).

 

핵심

 

*핵심어 : 친밀감, 의로움

 

도입 질문 : 결혼 하면 떠오르는 이미지는?

 

요일별 고찰

 

. <한 몸> 결혼은 그리스도와 인류 사이의 결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2:23~25, 5:29~32)

친밀감을 보여줌

 

부부는 일심동체라고 한다. 아담은 자기 옆구리에서 나온 하와를 보고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며 하와가 자신과 한 몸인 것을 고백했다. 하나님은 그들을 주례하시고 둘이 한 몸이 될 것이라고 선언하셨다. 부부는 결혼을 통해 영혼몸이 일체가 되며 친구나 부모 자녀 사이 보다 더 친밀한 사이가 된다.

5장은 부부의 관계가 그리스도와 교회의 관계와 같다고 했다. 이 것은 하나님이 인류와 얼마나 친밀하기를 원하시는지를 보여주며, 부부 간에 서로 아끼고 상대를 위해 헌신하는 것처럼, 예수님은 당신을 믿는 자들-교회를 위해 자신의 몸을 주실 만큼 사랑하신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결혼은 두 명의 불완전한 사람이 친밀하게 맺어지는 관계이기에 언제나 갈등을 유발할 수 있다. 교회와 그리스도의 결혼은 완전하신 구주와 한없이 불완전한 신부 사이의 결합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좋은 결혼 관계가 제공하는 것을 통해서 하나님의 사랑에 대해 배울 수 있다.

 

. <아름다운 신부> 16:4~14에서 하나님은 어떤 분이신가?

버림받은 자를 보살피고 양육하시는 분

 

본문에서 이스라엘은 들판에 버려져 죽을 형편에 처한 핏덩이 아기로 묘사된다. 하나님은 그를 집으로 데려다가 깨끗하게 씻기고 심히 아름다운 처녀로 자라기까지 양육하였다. 그리고 그와 결혼하였는데 그 아름다움이 온 세상의 부러움의 대상이 될 정도였다.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이스라엘은 세상의 영광이었다.

그러나 그의 아름다움은 전적인 하나님의 은혜의 결과였다. 이와 같이 멸망받을 죄인이 구원받고 의로운 사람이 되는 것은 오직 하나님의 의로 옷입는 데에 있다. 그런데 이스라엘은 그의 화려함과 명성을 믿고 이방의 우상과 행음하며 자신을 더럽혀 타락하고 말았다.

 

우리는 하나님의 선하심과 영광을 반영하도록 창조되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피조물이 자신의 아름다움을 자기 자신의 것이라고 생각할 때, 그 아름다움은 가치 없게 되고 많은 문제들에 직면하게 된다.

 

. <호세아의 음란한 아내> 호세아와 그의 아내 이야기는 무엇을 교훈하는가?(1:2, 3:1, 17:1~2, 18:1~4)

하나님은 당신을 배반하는 백성을 여전히 사랑하심

 

하나님은 호세아에게 음란한 여인 고멜과 결혼하라고 하셨다. 그리고 계속 부정을 저지르는 고멜을 다시 데려와 사랑하라고 하신다. 이것은 호세사에게 매우 고통스런 일이었을 것이다. 이는 하나님이 인간의 죄와 반역으로 당하신 고통을 보여주는 것이다. 하나님이 택하신 이스라엘도 반복적으로 하나님을 배반하였으나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다시 받아주시곤 했다.

계시록에서 큰 음녀는 큰 성 바벨론과 같은 존재다. 하나님은 완전한 배도에 빠진 큰 성 바벨론에서라도 그들과 함께 멸망받지 말고 거기서 나오라고 당신의 백성을 부르신다.

 

하나님의 백성에게 바벨론에서 나오라고 부르는 인류를 향한 마지막 외침을 볼 때, 그분이 이방인이 아닌 자기 백성을 부르고 있다는 점은 특히 주목할 만한 일이다. 하나님은 그들을 친밀하게 알고 계시고 그들을 사랑하신다. 세상은 최악의 때를 향해 치닫고 있지만, 그분은 여전히 우리를 다시 사기 위해 당신의 피로 지불하신 속전(贖錢)을 제공하고 계신다. 그리스도의 십자가는 다른 무엇보다도 주님께서 타락한 백성을 구원하기를 얼마나 간절히 원하시는지 보여준다.

 

. <이삭과 리브가> 이삭과 리브가의 결혼 과정이 보여주는 교훈은 무엇인가?(24:1~4, 57~67)

그리스도인들은 세상의 악한 감화를 경계해야 함

 

아브라함은 독자 이삭을 위하여 그의 종에게 그가 살고 있는 지방의 우상을 숭배하는 가나안 여인이 아닌, 멀지만 하나님을 섬기는 고향 족속에게서 아내를 데려오도록 했다. 이는 배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우상을 숭배하는 사람과의 결합은 우상 숭배의 감화력에 쉽게 빠지고 하나님을 배도하는 지경에 이를 수 있기 때문이다.

고대 이스라엘은 이방 나라를 의지하면서 그들의 우상에도 깊이 빠지곤 했다. 기독교 교회 역시 세상과 가까워지면서 이교도의 성일인 태양의 날 일요일을 받아들이고 성경의 안식일을 버리는 등 배교의 역사를 지니고 있다.

하지만, 우리가 하나님을 떠나 세상에 빠질지라도 하나님은 여전히 당신의 신부의 지위를 회복하길 원하신다.

 

우리는 본래 창조주의 형상대로 만들어졌기 때문에 의심할 여지없이 창조주와 연결되어 있다.

우리가 죄로 인해 그분과 분리되었고, 우리의 선택이 결혼 관계를 더욱 불필요한 혼란에 빠지게 할 수 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여전히 그분에게 적합한 신부로 여겨진다.

 

. <큰 음녀가 심판받다> 19:1~9, 21:1~4에서 큰 음녀의 심판과 어린양과 신부의 결혼은 동시에 하나님의 어떠한 성품을 보여주는가?

의로우심

 

큰 음녀는 하나님의 사랑을 끝까지 거절하여 더 이상 회개할 수 없을 정도로 부정으로 굳어져버렸다. 그같이 죄에 깊이 빠진 삶은 그 자신이나 다른 존재들을 다 같이 불행하게 할 뿐이다. 따라서 그를 심판하여 소멸함으로 고통을 끝내는 것이 자비롭고 의로운 일이다.

또한 어린양 그리스도의 혼인에서는 그 신부가 의로운 행실의 세마포 옷을 입었다. 이것은 그리스도의 공로를 통하여 품성이 순결해진 상태를 말한다. 이 역시 하나님의 의를 나타낸다.

 

잃어버린 자들 때문에 마음이 아프지만, 이 세상의 죄의 시대 아래서 고통받던 사람들은 마침내 그때가 끝났고 이 세상이 원래 하나님께서 계획하셨던 대로 회복되는 것을 찬양할 수 있다. 이제 다시는 하나님으로부터 멀어지는 일이 없을 것이다. 왜냐하면 우리는 자신을 하나님에게서 분리함으로써 일어나는 파멸에 대해 하나님께서 옳으셨다는 것을 힘든 과정을 통해서 배웠기 때문이다...

그리스도께서는 인류가 그분을 거부하고 그분께 드려야 할 사랑을 다른 신에게 바치는 것 때문에 가늠할 수 없는 고통을 겪으셨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분은 그런 우리를 위해 자신을 내어주시고, 우리의 부정과 음행의 대가를 친히 담당하심으로 회개하고 돌이킨다면 영생의 약속을 받을 수 있게 하셨다.

 

적용 : 이번 주 교과를 통해 나에게 적용할 것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