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과 칭의와 율법(교과토의 자료)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5과 칭의와 율법(교과토의 자료)

페이지 정보

작성자 말씀사모 작성일10-07-23 14:25 조회4,092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 3기 5과 교사모임 >

1. 안교활동반 (20분): 경청과 격려 잊지말라!

1)마음열기 5분: 당신의 한주를 자동차 상태로 표현해 보세요(엔진과열, 새차상태, 수리해야할 상태 ^^;등)

2)은혜나누기 10분:현재 한 주 동안 읽은 말씀 중에 가장 은혜 받은 것 한 가지를 나누겠습니다

3)돌봄나누기 5분: ①지난주 활동한 것을 나누기, ②안교반에 참석 못한 000 성도, 집사님이 계십니다. 다음 주에 꼭 참석할 수 있도록 우리의 관심과 사랑을 어떻게 보여주면 좋을까요? (전화, 방문, 문자 등- 구체적으로 계획하기)



2. 안교교과(30분): 30%이상 말하지 말라, 경청, 격려 중요!

*제목: 칭의와 율법 (2010년 7월 31일 안식일 일몰:오후 7시 42분)

*기억절: “그런즉 우리가 믿음으로 말미암아 율법을 폐하느뇨 그럴 수 없느니라 도리어 율법을 굳게 세우느니라”(롬 3:31).



3. 도입질문(3분): 마음을 열기 위한 질문

1)토의질문: 당신은 잘못된 정보를 사실이라고 믿은 적이 있었을 것입니다. 나누어봅시다.(집에 핸드폰 두고 왔는데 가져왔다고 생각할 경우, 엄마 배꼽에서 태어났다는 둥, 다리 밑에서 주셔왔다는 둥, 일요일예배가 진짜다 는 등)

2)교사정리: 감사합니다. (그리스도교로 개혁한 유대인들이 율법을 지켜야 구원받는다는 잘못된 믿음이 있었다. 이것을 고치는 것이 로마서를 기록한 목적 중 하나이다)



4. 교과요약 질문(5분)

1)질문: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 교과제목을 통해 칭의와 율법의 관계를 좀더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교과 제목을 읽으면서 나눈다.)

2)교사정리: 감사합니다. 이번 5과는 로마서 4장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로마서 4장은 3장 후반부에서 다룬 ‘믿음으로 말미암아 의롭게 된다’는 진리에 대한 예증으로 아브라함이 어떻게 의롭게 되었는지에 대해 설명합니다. 그러므로 의롭게 되는 것은(구원) 율법의 행위가 아니라 오직 믿음으로 얻어진다는 사실을 다시금 증명합니다. 이러한 증명과정에서 칭의와 율법의 관계를 설명하는 것입니다.

①첫 번째: 구약에서도 구원은 율법이 아닌 믿음으로 얻어짐 (일요일)
대표적인 예가 아브라함이다. 아브라함은 율법의 행위가 아닌 오직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었다(롬 4:1-3). 그러나 율법이 폐한 것은 아님

②두 번째: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것은 전적으로 하나님의 은혜이다. (월요일)
구원은 은혜이다. (롬4:4-7)

③세 번째: 믿음으로 의롭게 된다는 아브라함과 맺은 언약은 모세를 통해 주어진 율법보다 먼저 있었다..(화요일)
유대인 신자들은 구약의 율법에 젖어 있었다. 그들은 자신의 구원이 율법의 준수에 달려 있다고 믿었다. 하지만 실제 그것은 구약의 가르침이 아니었다. 이런 오해를 풀기 위해서 바울은 시내산에서 율법이 주어지기 전, 즉 모든 율법과 제사 제도가 수립되기 전에 아브라함이 율법의 행위가 아닌 믿음으로 약속을 받았음을 주장하였다.

④네 번째: 그러므로 율법의 행위로는 구원받을 수 없고 오직 믿음으로 구원이 얻어지는 것이다. (수요일)
갈라디아 교회는 이러한 원리를 상실하고 다시 율법의 행위가 더해져야 구원받을 수 있다는 거짓 복음에 미혹되었다. 그래서 갈라디아교인들을 복음을 다시 들어야 했다.

⑤다섯 번째: 율법의 행위로 구원얻을 수 없다고 하여 율법이 폐했다는 말은 성경을 오해한 것이다. (목요일)



5. 토의질문(20분): 몇 가지를 선택하셔서 사용하시면 좋겠습니다.

1) 율법을 세움 (일요일)

*토의질문: 율법을 지키는 것이 구원의 근거가 되지 않지만 참으로 구원받은 사람은 율법의 원리대로 살고자 합니다. 많은 그리스도인들이 율법에 대해 부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러나 성경은 율법은 참 좋은 것임을 지속적으로 강조하고 있습니다. 우리가 율법이 좋은 것임을 보여줄 수 있는 방법은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교사정리: 감사합니다. “믿음과 행함의 관계를 이해하지 못하는 사람들이 많다. 그들은 말하기를 ‘그리스도를 믿기만 하라 그러면 그대는 안전하다. 그대는 율법을 지킬 필요가 없다.’라고 말한다. 그러나 진정한 믿음은 순종을 통해 나타날 것이다.”(부조와 선지자, 153) 율법주의적 관점에서 지키는 것이 아니라 믿음에 관점에서 율법을 지킴으로 율법의 가치를 높이는 우리 안교반이 됩시다.


2)은혜인가? 빚인가? (월요일)

*적용질문: 당신은 예수를 믿고 거기에다 선한행실이 들어가야 구원받는 다고 생각한 적이 있었습니까?(믿음+행실=구원) 그때 당신의 신앙은 어떠했습니까? (율법주의적 신앙의 특징은 비판주의, 냉소주의이다. 구원에 대해 크게 감사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구원을 얻는데 있어서 나의 행위도 들어갔기 때문이다.등)

*교사정리: 감사합니다.“만약 사단이 어떤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행위에 의와 공로의 가치를 부여하도록 이끄는 데 성공할 수 있다면, 사단은 그 사람을 유혹을 통해서 정복하며, 자신의 포로와 먹잇감으로 만들 수 있다는 사실을 알고 있다.”(엘렌 G. 화잇 언급, 리뷰 앤 헤럴드, 1889. 9. 3) 오직 하나님의 은혜와 예수 그리스도의 공로로 구원을 받을 수 있음을 항상 기억하고 감사하며 살아가는 우리 안교반 됩시다.


3) 언약과 율법 (화요일)
*적용질문: 하나님은 율법을 요구하시기 전에 먼저 은혜를 베푸시고 구원을 약속하셨습니다. 그래서 율법을 통해 맺은 언약보다 먼저 아브라함을 통해 믿음으로 언약을 먼저 맺었습니다. 이러한 하나님의 원리를 통해 우리도 다른 사람에게 무엇을 요구하기 전에 먼저 어떻게 은혜를 베풀겠습니다. 당신은 누구에게 은혜를 베풀고 싶습니까?(구도자를 중심으로 생각하면 좋겠습니다.)

*교사정리: 감사합니다. 은혜란 공로가 없어도 주어지는 “호의”를 의미합니다. 즉 대가를 바라지 않고 베풀는 선입니다. 우리 역시 하나님을 본받아 은혜를 베푸는 삶을 사는 안교반이 됩시다.


4) 율법과 믿음 (수요일)

*적용질문: 갈라디아교회는 믿음으로 의롭다 하심을 얻는 신앙을 하다가 변질되고 말았습니다. 다시 율법을 지켜야 구원을 얻는다는 거짓복음에 미혹당한 것입니다. 우리 주변에도 갈라디아교회처럼 율법주의에 빠진 사람들이 있었습니까? 어떻게 도와주면 좋을까요?

*교사정리: 감사합니다. 사람이 자신의 행위로 자신을 구원할 수 있다고 하는 원칙은 모든 이방인의 종교의 기초에 놓여 있다. . . . 이런 원칙이 신봉되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사람은 죄를 막을 방벽을 가지지 못하게 된다.”(시대의 소망, 35~36) 우리가 더욱 복음을 잘 이해하므로 나 스스로 이러한 유혹에 빠지지 않고 다른 이들도 바른 길로 인도할 수 있는 건강한 신앙인이 됩시다.


5) 율법과 죄 (목요일)

*토의질문: 우리는 종종 성경절까지 인용하며 신약 시대에는 율법이 폐지되었다고 주장하는 말을 듣습니다. 하지만 그들의 논리는 그렇게 건전하거나 신학적이지 않습니다. 그 이유를 어떻게 설명하면 좋을까요?

*교사정리: 감사합니다. “우리는 십자가가 율법을 폐했다는 말을 자주 듣습니다. 그러나 사실상 십자가는 율법이 폐지되거나 변경될 수 없음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 십자가 이전에 율법을 폐지하거나 변경시킬 수 없었다면, 이후에 그렇게 하실 이유가 없습니다. 왜 인류가 범죄한 직후 율법을 폐지하여 심판을 면하게 하지 않았겠습니까? 만약 그럴 수 있었다면 예수께서 십자가에서 죽으실 필요가 없었을 것입니다. 만약 율법이 변경되거나 폐지되어야 했다면 그것은 십자가 이후가 아니라 십자가 이전에 이루어져야 했을 것입니다. 사실 십자가처럼 율법의 불변성을 보여주는 것은 없습니다. 그분의 죽음은 율법이 변경될 수 없기 때문에 발생한 일이었습니다. 만약 율법이 변경될 수 있다면 그것이 예수님의 죽음보다 더 나은 해결책이지 않겠습니까? (목요일 교과 설명 참조)


6. 결심
믿음으로 말미암는 의에 대한 분명한 이해를 통해 율법과 믿음을 혼동하고 있는 사람들에게 바른 복음을 증거하는 우리 안교반이 됩시다.


7.기도(1분): 오늘 적용한 것, 참석하지 못한 교우를 위해, 안교반모임을 위해


8. 과제(1분)
우리교회에서는 전교인의 신앙 회복을 위해 ‘작은 예수 운동’을 하고 있습니다. 매일 30분 이상 말씀 읽기, 매일 10분 이상 기도하기, 그리고 ‘구도자를 위한 기도(전도)’입니다. 다음 주에는 작은 예수 운동의 두 번째 영역인 기도에 대해서 나누겠습니다. 한 주나 최근에 응답받은 기도의 내용들을 나누어봅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