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과 -룻과 에스더 - (요점 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6-07 21:35 조회887회 댓글0건첨부파일
-
A-제11과 룻과 에스더-이봉주 장로.hwp (96.0K) 37회 다운로드 DATE : 2025-06-07 21:35:13
본문
제11과 룻과 에스더
(06월 14일 (안) / 일몰: 오후 7시 54분)
<기억절(記憶節)>
“왕후(王后) 에스더가 뜰에 선 것을 본즉 매우 사랑스러우므로 손에 잡았던 금홀(金笏)을 그에게 내미니 에스더가 가까이 가서 금홀(金笏) 끝을 만진지라"(에 5:2).
<개요(槪要)>
1. (제11과)는 마지막 날의 사건과 예언(豫言)의 의미(意味)를 하나님께서 실제사건(實際事件)과 인물(人物)들을 통해 보여주심으로써, 우리가 하나님의 관점(觀點)에서 사물(事物)을 바라보고 믿음을 굳건히 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2. 성경(聖經)에서는 룻과 에스더라는 두 여성(女性)의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의 돌보심과 구원(救援)의 계획을 보여주며, 이들은 각각 그리스도의 사랑과 하나님의 백성을 구(救)하는 상징(象徵)으로써 중요(重要)한 교훈(敎訓)을 전달(傳達)합니다.
또한,
3. 나오미의 고난(苦難)과 보아스의 역할(役割)은 인류의 고통(苦痛)과 구원(救援)의 손길을 상징(象徵)하며, 하만과 사탄의 반항(反抗)에 맞서 충성(忠誠)하는 자들이 승리할 것임을 보여준다.
4. 마지막 때의 어려움 속에서도 예언(豫言)을 믿는 믿음이 구원(救援)의 약속(約束)을 확신(確信)하게 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06월 08일) (일) <“떡집"에 닥친 기근(饑饉)>
(Q)-(룻기 1:1~5) 나오미와 룻에게는 어떤 고난(苦難)이 닥쳤으며 그 원인(原因)은 무엇이었는가? 이것은 오늘날 인류전체(人類全體)가 직면(直面)한 현실을 어떻게 반영(反映)하고 있는가?
(A)-1. <나오미와 룻은 자연재해(自然災害)와 가족의 상실(喪失)로 인(因)해 극심(極甚)한 고난(苦難)을 겪었으며, 이는 오늘날 인류가 자연재해(自然災害)와 전쟁(戰爭)과 온갖 질병(疾病) 등으로 인해 겪는 어려움과 유사(類似)하다. 이러한 경험(經驗)은 하나님은 죄(罪)와 고통(苦痛)의 문제 가운데 있는 인류(人類)를 위해 일하시며 궁극적(窮極的)인 해결책(解決責)을 보여주신다.>.
2. <하나님께서 인간역사(人間歷史)를 능동적(能動的)으로 주관(主管)하시며, 룻기와 사사기(士師記) 저자(著者)가 기록한 역사적 배경(歷史的背景)이 사실(史實)에 근거(根據)한 구속사적 기록(救贖事的 記錄)임을 강조(强調)한다..>.
①.<룻기의 목적(目的)과 의미(意味)>
룻기는 다윗의 조상(祖上)인 룻의 이야기를 통해 그리스도의 계보(系譜)와 왕국에 대한 영감(靈感)을 제공(提供)하며, 이상적(理想的)인 가정(家庭)과 믿음과 헌신(獻身)의 모범(模範)을 보여준다.
②.<가정(家庭)과 안식일(安息日)의 중요성(重要性)>
이 두 제도(制度)는 인간의 타락(墮落) 이전(以前)부터 존재(存在)했으며, 하나님이 세우신 축복(祝福)의 대상(對象)이지만 사단의 공격 대상(攻擊對象)이기도 하다.
③.<룻과 나오미의 관계(關係)>
룻의 희생적 헌신(犧牲的獻身)은 믿음과 겸손(謙遜)과 사랑의 본보기를 보여주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 계획(救援計劃)과 그리스도의 족보(族譜)를 이해(理解)하는 데 중요한 역할(役割)을 한다.
④.<하나님의 구원 계획(救援計劃)>:
이 이야기를 통해 모든 나라 사람들이 하나님의 성품(性稟)을 받아들이고, 그리스도의 영원(永遠)한 왕국의 시민(市民)이 되도록 준비(準備)하는 것이 하나님의 계획(計劃)임을 알 수 있다.
(룻기 1:1~5)에 나타난 나오미와 룻의 고난(苦難)과 원인(原因), 그리고 오늘날 인류전체(人類全體)가 직면(直面)한 현실과의 연관성(聯關性)에 대한 핵심(核心)과 요점(要點)
<1>. 나오미와 룻이 겪은 고난(苦難)과 원인(原因)
①.가족(家族)의 상실(喪失)
나오미와 룻은 가뭄으로 인(因)해 고향(故鄕) 베들레헴을 떠나 모압 땅으로 이주(移住)했으나, 나오미의 남편(男便)과 두 아들이 모두 죽는 비극(悲劇)을 겪었다.
②. 경제적(經濟的) 어려움:
남편과 아들들의 죽음으로 인(因)해 생계유지(生計維持)가 어려워졌으며, 가족의 유산(遺産)과 미래(未來)가 불확실(不確實)해졌다.
③. <정서적(情緖的) 고통(苦痛)>:
가족(家族)의 상실(喪失)로 인(因)한 슬픔과 고통(苦痛), 그리고 고향(故鄕)으로 돌아가야 하는 선택(選擇)의 어려움이 컸다.
④. <원인(原因)>
자연재해(自然災害)(가뭄) 로 인(因)한 이주(移住)와 가족의 죽음이라는 불운(不運)이 겹쳐졌다. 당시 사회적(社會的), 경제적환경(經濟的環境)이 어려웠던 것도 영향(影響)을 미쳤다.
⑤. 오늘날 인류전체(人類全體)가 직면(直面)한 현실(現實)과의 연관성(聯關性)
⑥. 자연재해(自然災害), 전쟁(戰爭), 팬데믹 등으로 인한 가족과 사회의 상실(喪失), 경제적(經濟的) 어려움은 오늘날에도 흔히 겪는 문제입니다.
⑦.개인(個人)과 가족이 겪는 고난(苦難)은 시대(時代)를 초월(超越)하는 공통(共通)된 경험(經驗)이며, 이를 통해 인간의 연대(聯隊)와 희망(希望)과 회복(回復)의 중요성(重要性)을 되새기게 한다.
또한, 어려움 속에서도 서로를 돌보고 희망(希望)을 잃지 않는 태도(態度)가 오늘날에도 매우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傳達)하고 있다.
(06월 09일) (월) <룻과 보아스>
(Q)-(룻기 2:5~20절)이 장면은 왜 그렇게 중요한가? 나오미는 그 은인이 누구인지를 발견한 것이 왜 그렇게 좋은 소식이라고 생각하는가?
(A)-1.(룻기 2:5~20절)은 매우 중요한 장면입니다. 이 구절(句節)들은 룻이 보아스에게 도움을 요청(要請)하는 과정(過程)과 보아스가 룻을 돌보는 모습이 담겨 있다. 특히, 이 장면은 룻이 이방인(異邦人)임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은혜(恩惠)를 통해 중요한 인물(人物)로 부상(浮上)하는 계기(契機)를 보여준다.
①.<핵심 주제(核心主題)>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친족(親族) 사랑, 그리고 신실(信實)한 믿음과 헌신(獻身)이 어떻게 하나님의 돌보심과 축복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준다.
②.<본문(룻기 2:5~20절) 요점 정리(要點整理)>
룻은 시어머니 나오미를 위해 밭에서 이삭을 줍는 겸손(謙遜)한 모습으로 시작합니다.
우연히 보아스의 밭에 이르게 되고, 보아스는 룻을 알아보고 은혜(恩惠)를 베풉니다.
보아스는 룻에게 안전(安全)과 보호(保護)를 약속(約束)하며, 함께 일하는 동안 배려(配慮)를 보여줍니다. 룻은 배불리 먹고 남은 곡식(穀食)을 가지고 돌아오며, 나오미는 보아스가 우리의 친족(親族)임을 알고 축복(祝福)합니다.
③.이 이야기는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친족(親族) 사랑, 그리고 신앙(信仰)과 헌신(獻身)이 축복(祝福)으로 연결됨을 보여줍니다. 즉 보아스는 룻의 어려움을 해결(解決)해 줄 농장주(農場主)는 친족(親族)으로 그리스도 예수님의 표상(表象)으로 하나님은 우리의 영적빈곤(靈的貧困)에도 불구하고 우리를 예수님의 신부(新婦)로 삼기 원하신다.
④.<룻의 신실(信實)함과 충성심(忠誠心)>:
룻이 나오미를 위해 헌신(獻身)하며, 보아스에게 도움을 요청하는 모습은 그녀의 신앙(信仰)과 충성심(忠誠心)을 보여준다.
⑤.<보아스의 자비(慈悲)와 배려(配慮)>:
보아스가 룻을 보호(保護)하고 돌보는 모습은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인도(引導)하심을 상징(象徵)한다.
⑥.<하나님의 섭리(攝理)>:
본문(룻기 2:5~20절)은 하나님의 계획(計劃)이 어떻게 자연스럽게 이루어지고 있는지를 보여주며, 룻과 보아스의 만남은 결국 다윗 왕의 조상(祖上)이 되는 중요한 연결(連結)고리이다.
⑦.<나오미가 은인(恩人)을 발견한 것이 좋은 소식(消息)이라고 생각하는 이유(理由)>
㉮.나오미는 아들들을 통해 후손이 있기를 기도(祈禱)하며 기대(企待)했지만 두 아들이 죽음으로 실망했지만 친족 보아스를 통해 구원(救援)의 희망이 현실로 다가옴은 좋은 소식으로 생각했다.
㉯.보아스가 룻을 도와주는 것은 나오미와 룻 모두에게 큰 축복(祝福)이며,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섭리(攝理)의 증거(證據)이다. 이로 인(因)해 나오미는 희망과 기쁨을 느끼며,
㉰.하나님의 계획(計畫)이 이루어지고 있음을 확신(確信)하게 된다.
⑧.이는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섭리(攝理), 그리고 신실한 사람들의 충성심(忠誠心)이 어떻게 큰 축복(祝福)으로 이어지는지를 보여주는 매우 의미(意味) 있는 순간(瞬間)이며.
⑨.나오미가 은인(恩人)을 발견한 것은 그녀와 룻의 미래(未來)에 희망과 기쁨을 가져다주는 좋은 소식(消息)이다.
(06월 10일) (화) <구속자(救贖者) 보아스>
(Q)-인류(人類)에 대해 사탄은 무엇을 주장(主張)하는가? (욥기 1:6~11절; 마태복음 4:8~9절; 유다서 1:9절; 누가복음 22:31 절)
(A)-<사탄은 인류에 대해 다음과 같은 주장(主張)을 한다.>
①.(욥기 1:6~11절) 사탄은 하나님 앞에 나타나 인류(人類)는 특히 욥을 겨냥하여 "그가 정직(正直)하고 하나님을 경외(敬畏)하는 것은 순수(純粹)한 이익(利益) 때문"이라고 주장하며, 욥이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은 하나님이 그에게 복(福)을 주기 때문에 가능(可能)하다고 말한다. 즉, 사탄은 인류(人類)가 진정(眞正)으로 하나님을 사랑하는 것이 아니라, 축복(祝福)과 이익(利益)을 기대(期待)하기 때문에 하나님을 섬긴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②.(마태복음 4:8~9절) 사탄이 예수님께 시험(試驗)을 걸 때, 사탄은 예수님에게 "이 모든 권세(權勢)와 영광(榮光)을 네게 주겠다"라고 말하며, 세상의 권력(權力)과 영광(榮光)이 사탄에게 속해 있다고 주장(主張)한다. 이는 사탄이 인류와 세상의 권리(權利)와 권력(權力)을 주장하며, 그것이 자신에게 속해 있다고 믿는 태도(態度)를 보여준다.
③.(유다서 1:9절) 사탄이 천사(天使) 미가엘과 논쟁(論爭)하는 장면이 나오는데, 여기서 사탄은 자신이 하나님의 권위(權威)와 권리(權利)를 주장하며, 하나님의 권위(權威)에 도전(挑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④.(누가복음 22:31 절) 예수님께서 베드로에게 "사탄이 너를 밀밭의 밀처럼 하려고 요청하였다"라고 말씀하십니다. 이는 사탄이 인류, 특히 신앙인(信仰人)들을 넘어뜨리고 권리(權利)를 주장(主張)하려는 시도(試圖)를 의미(意味)한다.
⑤.<핵심(核心)과 요점(要點)>
사탄은 인류와 세상에 대해 자신이 권리와 소유권(所有權)을 주장하며, 하나님과의 관계(關係)에서 인류(人類)를 넘어뜨리고 자신이 세상의 권세(權勢)를 차지하려는 태도(態度)를 보이고 있다. 이는 보아스와 룻의 이야기에서 보듯, 그리스도께서 인류를 구원(救援)하시기 위해 싸우는 것과 대조(對照)되며, 사탄은 인류를 속이고 권리를 주장하는 존재로 묘사(描寫)된다.
⑥.보아스가 마을 문에서 공식적(公式的)으로 친족(親族)으로서의 권리(權利)를 얻은 것처럼 우리의 친족(親族) 예수님은 심판(審判)에서 우리 권리를 회복(回復)하고 우리를 가족(家族)으로 맞으실 것이다.
(06월 11일) (수) <하만과 사탄>
(Q)-(에스더서와 요한계시록의 구절)에서 어떤 유사점(類似點)을 찾을 수 있는가? 하나님의 남은 교회에 대한 묘사(描寫)는 하나님의 백성을 대하는 하만의 기록과 어떻게 유사(類似)한가? (에스더 3:1~14절, 요한계시록 12:14~17절, 요한계시록 13:15 절)
(A)-◉.<본문 핵심 요약(核心要約)>
㉮.성경(聖經) 속 인물(人物) 하만과 사탄의 유사성(類似性)을 통해 악(惡)한 권력숭배(權力崇拜)나 욕망(慾望)이 세상에 미치는 영향(影響)이 너무나 크다.
㉯.하만은 하나님의 택한 백성인 모르드개가 굴복(屈伏)하지 않자 민족전체(民族全體)를 멸(滅)하려는 계획을 세우고 시도(試圖)했다.
㉰.이는 사탄이 세상과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對敵)하는 모습과 유사(類似)하다. 또한, 요한계시록에서는 사탄과 짐승이 권력과 숭배를 통해 세상을 최후의 위기로 몰아가는 모습이 드러난다. 그러나
㉱.예수님은 세상을 구속(救贖)하기 위해 오셨으며, 그의 희생(犧牲)은 크고 넘치는 사랑의 증거(證據)이다.
①.<하만과 사탄의 유사성(類似性)>:
둘 다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적대감(敵對感)과 숭배거부(崇拜拒否)를 통해 악(惡)한 권력을 드러냈다. 즉 사탄이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挑戰)하며, 인간과 하나님의 계획에 방해(妨害)를 시도(試圖)하는 악(惡)한 존재(存在)임을 보여준다.
②.하만은 모르드개를 굴복(屈伏)시키지 않자 민족전체(民族全體)를 멸(滅)하려 한다. (에스더 3장). 즉 하만이 굴복(屈伏)을 요구한 것처럼 마귀(魔鬼)는 세상에 대한 소유권(所有權)을 주장하지만, 하나님께 충성(忠誠)하고 그 계명(誡命)을 지키는 사람들의 존재(存在)는 그의 지배권(支配權)을 반박(反駁)한다.
③.사탄은 하나님의 백성을 대적(對敵)하며 세상에 혼란(混亂)과 위기(危機)를 초래(招來)한다(요한계시록 12장, 13장).
④.<권력(勸力)과 숭배(崇拜)에 대한 욕망(慾望)>:
하만은 자신의 지위(地位)와 권력(勸力)을 과시(誇示)하며, 하나님의 백성에 대한 복수(復讐)와 멸망(滅亡)을 꿈꾼다.
사탄 역시(亦是) 세상권력(世上權力)과 숭배(崇拜)를 갈망(渴望)하며, 최후(最後)의 시기(時期)에 세상을 미혹(迷惑)한다. (요한계시록 13장).
⑤.<세상과의 대조(對照)>:
예수님은 세상을 구속(救贖)하기 위해 오셨으며, 그의 희생(犧牲)은 사랑과 구원(救援)의 상징(象徵)인 반면에 사탄과 하만은 권력(勸力)과 숭배(崇拜)를 통해 자신을 높이려 한다.
⑥.<하나님의 남은 교회와 악(惡)의 세력(勢力)>:
하나님의 남은 교회는 사탄과 짐승의 권력에 맞서 싸우며, 숭배(崇拜)와 권력(勸力)에 굴복(屈伏)하지 않는 신앙을 유지(維持)한다. (요한계시록 12장, 13장).
하만의 기록과 묘사(描寫)는 하나님의 백성을 대하는 악(惡)한 세력의 태도(態度)를 보여준다.
⑦.성경 속 인물(人物)과 사건들을 통해 악(惡)한 권력(權力)의 본질(本質)과 하나님의 구속(救贖) 계획(計劃)을 이해(理解)하는 데 중요한 통찰(洞察)을 얻을 수 있다.
(Q)~(에스겔 28:11~15절)과 (이사야 14:12~15절)에서 루시퍼에 실체에 대해 살펴보고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에게 악(惡)한 대적(對敵)이었던 하만과 하나님의 최상권(最上權)에 굴복(屈伏)하기를 거절하는 사탄 사이에 유사(類似)한 점과?
사탄의 가장 궁극적(窮極的)인 의도(意圖)는 예수님을 높은 곳으로 데려가 세상 왕국을 보여주며 유혹하는 이야기에서 드러난다. (마태복음 4:8~11).
(A)~①.<루시퍼(사탄)의 본질과 역할>
에스겔과 이사야 말씀을 통해, 루시퍼는 하나님의 택하신 백성에게 대적하는 악한 존재로 묘사됩니다.
②.<유사점(類似點)>
하만과 사탄은 모두 하나님의 뜻에 굴복(屈伏)하지 않고 반항(反抗)하는 존재(存在)로, 하나님의 최상권(最上權)을 거부(拒否)하는 공통점(共通點)이 있다.
③.<사탄의 궁극적 의도(窮極的意圖>):
예수님을 유혹(誘惑)하여 세상 왕국을 보여주며, 세상의 권세와 유혹을 통해 하나님의 계획을 방해(妨害)하려는 것이 사탄의 목표였다. (마태복음 4:8-11).
④.에스더서에서 우리는 지위와 권력에 목마른 하만을 만난다. 그는 제국에서 그 누구보다 훨씬 더 높은 지위를 얻었다(에 3:1).
⑤.<요약(要約)>,
사탄이 하나님의 권위에 도전하며, 인간과 하나님의 계획에 방해를 시도하는 악한 존재임을 보여줍니다.
(06월 12일) (목) <이때를 위하여>
(Q)-(에스더 4:13~14, 에스더 5:1-3, 에스더 9:20-28절)에서 지구 역사의 마지막 순간에 경험할 우리의 곤경에 대해 어떤 교훈을 얻을 수 있습니까?
(A)-<에스더서의 해당 구절(句節)들을 통해 지구 역사의 마지막 순간에 우리가 배울 수 있는 중요한 교훈을 정리해 보면. 주의 백성에게 다가올 마지막 순간(瞬間)이 결코 쉬운 때가 아닌 것은 분명하다. 그러나 어려울 때 대한 예언(豫言)을 믿는다면 구원(救援)의 약속(約束)도 분명히 신뢰(信賴)할 수 있다.>
①.<용기(勇氣)와 믿음의 중요성 (에스더 4:13~14)>
에스더는 자기 민족이 위험에 처했을 때, 두려움 대신 하나님께 의지하며 용기를 냈습니다. "누구든지 왕 앞에 나아가기를 주저하면, 그 사람은 죽임을 당할 수도 있지만, 하나님께서 그를 위해 구원을 준비하셨다"라는 교훈이 있습니다. 마지막 때에도 신앙과 용기를 가지고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②.<기도(祈禱)와 신뢰(信賴)의 힘 (에스더 5:1~3)>
에스더는 왕 앞에 나아가기 전에 금식하며 기도했고, 하나님께 의지하는 마음으로 행동했습니다. 이는 마지막 때에도 기도와 신뢰를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하는 것이 필수적임을 보여줍니다.
③.<하나님의 섭리(攝理)와 구원 계획(救援計劃) (에스더 9:20~28)>
에스더와 유다인들은 적들의 공격을 피하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보호하셨음을 기억하며 기념일을 정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섭리와 구원 계획이 마지막 때에도 계속될 것임을 상기시켜줍니다.
④.<에스더 4장 5장 9장 핵심(核心)>:
마지막 때에는 두려움보다 믿음과 용기(勇氣)를 갖고 하나님께 의지(依支)하는 것이 중요하다.
⑤.기도(祈禱)와 신뢰(信賴)를 통해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구(求)하는 자세가 필요하다.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구원 계획(救援計劃)은 마지막 순간까지 계속되며, 이를 기억(記憶)하고 감사(感謝)하는 태도(態度)가 중요하다.
⑥.이 교훈(敎訓)들은 우리가 마지막 때를 준비하며 신앙(信仰)을 굳건히 하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信賴)하는 데 큰 도움이 될 것이다.
⑦.예언(豫言)은 고난(苦難)과 시련(試鍊)뿐만 아니라 하나님의 약속(約束)과 희망(希望)도 함께 제시(提示)한다.
⑧.마지막 위기(危機)인 “야곱의 환난(患難)의 때”는 쉽지 않은 시기(時期)이지만, 이를 믿고 받아들인다면 구원(救援)의 약속도 신뢰할 수 있다.
⑨.성경 속 사례(事例) 들(요한계시록, 에스더서)은 하나님이 어려운 시기(時期)에도 백성을 구원(救援)하시고, 그분의 계획이 완성됨을 보여준다.
⑩.우리는 혼자가 아니며, 하나님과 그의 백성은 마지막 때에도 승리(勝利)와 구원(救援)을 경험(經驗)할 것이라는 희망(希望)을 가져야 한다.
⑪.마지막 순간(瞬間)이 쉽지 않지만, 예언(豫言)에 대한 믿음과 하나님의 약속을 신뢰하는 것이 중요하다.
⑫.이상(以上)의 말씀을 통해, 어려운 시기에도 하나님의 계획과 구원(救援)의 약속을 믿으며 희망을 잃지 않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敎訓)을 얻을 수 있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