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과 임박한 쟁투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11과 임박한 쟁투

페이지 정보

작성자 권정행 작성일24-06-06 00:38 조회1,508회 댓글5건

첨부파일

본문

2024년 2기 11과 6월 15일 안식일학교 교과, "임박한 쟁투"의 동영상 설교입니다.  

이곳을 클릭하시면 Hope TV에서 정리한 교과의 요약 파일을 내려받을 수 있습니다. 

 

 

Hope TV 에서 편집한 아래의 교과 요약은 매주 김숙영 박사님께서 번역해주셨습니다

 

11과 임박한 쟁투

 

1. 경배 받으시기에 합당함

   ​가) 마지막 쟁투의 핵심 이슈는 무엇입니까? 계시록 14:7, 4:11을 계시록 14:9-10과 비교해 보십시오.

   ​나) 여호와께서 우리의 예배를 받으시기에 합당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다) 사탄이 궁극적으로 원하는 것은 무엇인가요? 이사야 14:12-14, 마태복음 4:8-9

   ​라) 예수께서는 숭배를 받으려는 사탄의 호소에 어떻게 반응하셨습니까? 마태복음 4:10

   ​마) 예배를 둘러싼 이 싸움에서 제4계명의 안식일이 그처럼 중요한 쟁점이 되는 이유는 무엇일까요?

   ​바) 자연적으로 불멸인 영혼이 있다는 비성경적인 가르침이 그처럼 위험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2. 성도들을 박해함

   ​가) 요한복음 16:1-2, 마태복음 10:16-22, 요한복음 15:18-20. 예수님의 이러한 예언에서 우리는 무엇을 배울 수 있습니까?

   ​나) 사도 바울은 디모데에게 무엇을 상기시켜 주었습니까? 디모데후서 3:12-13

   ​다) 지구 역사의 마지막 날에 예수의 충실한 추종자들은 어떤 박해를 받게 됩니까? 계시록 13:16-17, 15

   ​라) 그리스도를 위해 박해를 받을 때 우리는 어떻게 대응해야 합니까? 마태복음 5:10-12, 베드로전서 4:12-16

   ​마) 예수님을 따르는 사람으로서 박해를 당하는 것에 대해 그대는 어떤 생각과 느낌을 가집니까? 박해를 받으면서 어떻게 기뻐할 수 있을까요?

   ​바) 박해를 겪으면서도 기뻐했던 예수님의 신실한 추종자들의 예를 몇 가지 나누어 보십시오. 사도행전 5:40-41, 사도행전 16:22-25 .

 

3. 이 박해의 배후에 있는 바다에서 나온 짐승

   ​가) 계시록 13:1-10. 이 권세의 배후에 있는 신성을 모독하는 용은 누구입니까? (계시록 12:9)

   ​나) 이 예언에서 성도들과 전쟁을 일으키는 이 세력을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되는 핵심 표지로는 어떤 것들이 있습니까? (: 로마에서 일어남, 1,260년 박해, 계명을 변경함, 예수님의 대리자라는 주장, 이 짐승의 이름과 수 등)

   ​다) 배교한 기독교회가 예수님의 신실한 추종자들을 박해하는 사탄의 도구가 되었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이 그토록 고통스러운 이유는 무엇입니까?

   ​라) 마틴 루터와 같은 종교개혁자들은 무엇에 항의했으며 그들의 의도는 무엇이었습니까?

   ​마) 이 예언이 개인이 아니라 어떤 기관에 대해 말하고 있음을 기억하는 것이 왜 중요할까요?

 

4. 땅에서 나오는 짐승

   ​가) 계시록 13:11-17. 이 둘째 짐승은 바다에서 나온 짐승과 어떻게 다릅니까?

   ​나) 인구 밀도가 낮은 지역에서 세계적인 권위를 가진 어떤 초강대국이 일어났습니까?

   ​다) 종교 자유의 원칙에 기초하여 세워진 국가가 어떻게 박해 세력이 될 수 있을까요?

   라) 박해가 임박했다는 징후는 무엇입니까?

   마) 다니엘서 3장에 기록된 이야기에서 우리는 어떤 격려를 얻을 수 있습니까? 다니엘 3:17 참조 

 

찬미가 614곡 이어서 듣기


댓글목록

권정행님의 댓글

권정행 작성일

GC Tour 26-2
대쟁투 투어의 스물여섯 번째 장소는 밀비우스 다리(Ponte Milvio)입니다.

동로마의 황제 유스티니아누스는 옛 서로마의 영광을 회복하기를 원했습니다. 로마 역사에 가장 탁월한 장군으로 알려진 벨리사리우스 장군을 보내 서로마 제국의 영토를 회복해나가면서 먼저 삼위일체 신앙을 부정하는 헤룰라이를 493년에 그리고 현재의 리비아가 위치한 반달을 534년에 정복했습니다. 그리고 이태리에 상륙하여 로마를 점령해나가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이태리 반도에서 가장 강력한 세력이었던 동고트가 벨리사리우스가 점령한 로마를 1년 동안이나 포위했습니다. 성 안의 로마 군대와 성 밖의 동고트의 군대가 1년을 대치하던 끝에 538년 3월에 포위를 풀고 퇴각하자 벨리사리우스 장군은 동고트의 군대가 밀비우스 다리를 절반쯤 건넜을 때 후미를 공격하여 승기를 굳혔습니다. 이후에 로마의 주교를 세계 교회의 수장으로 하는 내용이 포함된 유스티니아누스의 법전이 효력을 발생하며 538년이 1260년의 기산점이 되었습니다.

권정행님의 댓글

권정행 작성일

GC Tour 27
대쟁투 투어의 스물일곱 번째 방문 장소는 시에나(Siena)의 옛 수도원 골목입니다.

1798년 2월에 프랑스 군대에 붙잡힌 교황 비오 6세는 프랑스로 압송되면서 바티칸에서 224km 떨어진 시엔나(Siena)에서 머물게 됩니다. 수녀원 앞을 지날 때 수녀들이 나와 그의 발에 입을 맞추었습니다. 그것을 기념하기 위해 수녀원 건물 밖 골목길에 둥근 모양의 돌 위에 글을 새겼습니다. Pio VI Pontifex Maximus trovandosi a Siena e passando di qui per passeggiare, da questo indegno foro impartì la pontificia benedizione Pregato offrì il piede, entrato ed uscito da qui, per il bacio A.D. 1798(교황 피오 6 세 폰티 펙스 막시무스가 시에나에 있는 동안 이곳을 지나며, 수도원의 수녀들이 있는 누추한 이곳에 교황님의 축복을 주셨다. 수녀들은 그분에게 기도드렸고, 그분은 수녀들이 입을 맞추도록 발을 내밀어 주셨다. 1798년). 교황권이 치명적인 타격을 받음으로 1260년 기간이 끝나는 해가 1798년임을 밝혀주는 곳입니다.

권정행님의 댓글

권정행 작성일

GC Tour 28
대쟁투 투어의 스물여덟 번째 방문 장소는 고문박물관(Museo della Tortura)입니다.

이태리에서 가장 아름다운 도시로 불리는 시에나, 중심에 유명한 캄포광장과 푸블리코 궁이 있고, 푸블리코 궁에서 캄포광장을 가로질러 골목길로 들어서면 작은 입구의 박물관이 있습니다. 종교재판박물관으로도 알려진 고문박물관에는 중세 시대, 1260년간 로마 천주교회가 종교재판을 통해 정죄받은 개신교도들을 심문하고 박해하는 일에 사용했던 수백 가지의 고문 도구들과 사진들이 전시되어 있습니다. 보는 이들의 가슴을 섬뜩하게 합니다.

권정행님의 댓글

권정행 작성일

GC Tour 29
대쟁투 투어의 스물아홉 번째 방문 장소는 데오도릭 대황의 영묘(Mausoleum of Theodoric the Great)입니다.

다니엘서 7장의 작은 뿔이 열뿔 가운데 세 뿔을 뿌리째 뽑아버렸습니다. 완전히 세계사에서 사라졌기에 세 나라의 유물들이 남아있는 것이 없습니다. 유일하게 동고트의 데오도릭 대왕의 영묘가 있습니다. 대왕으로 불릴 정도의 탁월한 군주였지만 동고트가 역사에서 사라지게 되어 한국인들에게는 잘 알려지지 않은 인물입니다. 동고트의 데오도릭 대왕은 기원 520년에 자신이 묻히게 될 무덤을 조성했습니다. 서로마의 마지막 수도이자 동고트의 수도인 라벤나에 있습니다. 유네스코에서 정한 라벤나의 7대 유적들 가운데 하나입니다. 십각형으로 된 영묘는 직경 10m에 230t이나 되는 돌 뚜껑으로 지붕이 덮여져 있고 안에는 대리석 가운데 가장 비싼 포르피리 붉은 대리석의 관이 있습니다. 동고트는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신앙을 가졌기에 538년 이후에 데오도릭의 시신은 꺼내어 버려졌고, 석관도 쪼개져 흩어져 있던 것을 나폴레옹이 이태리를 점령한 다음에 석관은 제 자리를 다시 찾았습니다.

권정행님의 댓글

권정행 작성일

GC Tour 30
대쟁투 투어의 서른 번째 방문 장소는 산타폴리네어 누오보 성당(Basilica of Sant'Apollinare Nuovo)입니다.

7장의 작은 뿔이 열뿔 가운데 뿌리째 뽑은 세 나라는 헤룰라이 반달 그리고 동고트(Ostro Goths)이며, 이 세 나라들은 삼위일체를 부정하는 아리우스파였습니다. 동고트의 수도 라벤나에 있는 산타폴리네어누오보성당은 데오도릭 대왕이 504년에 왕궁의 교회로 지었으며, 아리우스파의 교회였습니다. 나중에 동고트가 멸망하면서 동로마의 유스티니아누스가 삼위일체를 인정하는 아타나시우스파의 교회로 바꾸었으며, 교회의 이름은 856년에, 라벤나의 첫 번째 주교였던 아폴리나리스의 이름을 따서 성 아폴리나리스 누오보 성당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이 교회 안에 있는 예수님의 초상화는 아리우스파의 견해를 따라 수염 없는 예수님의 모습에서 성장한 후의 수염 있는 예수님의 모습을 대조해놓았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