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6과-홍해를 건너서 - (핵심 Q&A)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6과-홍해를 건너서 - (핵심 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8-06 07:38 조회59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6과 홍해(紅海)를 건너서

          (8월 9일 (안) / 일몰: 오후 7시 32분)

 

<개요(槪要)>

  하나님의 구원역사(救援歷史)와 믿음의 중요성, 그리고 궁극적(窮極的)인 구원(救援)의 완성(完成)인 예수 그리스도를 향(向)한 메시지를 명확하게 전달할 수 있다. 

 

1. <출애굽 사건(事件)의 절정(絶頂)과 하나님의 구원 역사(救援歷史)>

○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의 압제와 절망적인 상황 속에서 하나님의 능력으로 홍해를 건너게 된다.

○ 하나님은 모세를 통해 "두려워하지 말고 가만히 서서 여호와의 구원을 보라"고 말씀하셨으며, 

  이는 신뢰와 순종의 중요성을 보여준다.

 

2. <인간의 무력(無力)함과 하나님의 구원(救援)>

○ 이스라엘 백성은 스스로 구원할 능력이 없었으며, 오직 하나님의 개입(介入)으로만 구원(救援)이 이루 어졌다.

○ 우리의 죄 문제도 마찬가지로, 인간의 힘으로 해결할 수 없으며, 예수 그리스도의 십자가와 구속사건(救贖事件)이 유일한 구원(救援)의 길임을 상징한다.

 

3. <믿음의 행위와 하나님의 약속과 신뢰(信賴)>

○ 백성들은 시험과 불신(不信) 속에서도 모세의 말을 신뢰하고 앞서 나갔다.

○ 믿음으로 행하는 순종이 하나님의 기적(奇蹟)과 구원(救援)을 경험하는 길임을 강조한다.

 

4. <승리(勝利)와 감사의 찬양(讚揚)>

○ 홍해를 건넌 후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승리(勝利)의 노래를 부르며 하나님의 위대하심을 찬양하였다.

○ 이는 궁극적인 하나님의 승리와 구원(救援)의 확신(確信)이며 그리고 감사를 표현하는 본보기이다.

 

5. <예표(豫表)와 예수 그리스도>

○ 출애굽 사건은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구원(救援)의 예표(豫表)이며, 궁극적(窮極的)으로는 그리스도의 십자가(十字架)와 부활(復活)로 완성(完成)된다.

○ 과거(過去)의 구원사건이 지금의 우리 삶에서도 하나님의 구원계획(救援計劃)의 일부임을 깨닫게 한다.

 

(08월 03일) (일) <가서 여호와를 섬기라>

 

○ 바로는 자신의 교만과 권력과 자존심에 집착하지만, 결국 하나님의 심판 앞에서는 무력하다는 교훈을 전하며, 진정한 축복과 구원(救援)은 하나님께 대한 순종과 믿음에서 온다는 중요한 메시지를 담고 있다.

1. “여호와를 섬기라”는 명령이 단순한 종교적 행위가 아니라, 삶의 모든 영역에서 하나님께 순종하며 살아갈 때 참된 축복과 평안을 누릴 수 있음을 보여주는 핵심 메시지이다. 

 

2. 어떤 고통에도 거부하던 바로가 마침내 떠나게 허락했다. 이는 회개했기 때문이 아니라 패배했기 때문이며, 축복을 원한 게 아니라 멸망을 막고 싶었던 것이다. 

 

3. 유월절 어린양의 피는 바로의 완악함과 패배를 완전히 인정하게 하였다. 

   바로는 하나님의 권능을 깨닫고 히브리인들에게 가서 너희들이 섬기는 여호와를 섬기라고 허락했다.

 

(Q) 바로가 그들이 모두 떠나도록 허락하면서 어떤 이상(異常)한 요청을 하였는가? 그 이유는 무엇인가? 

    (출애굽기 12:31~36)

 

○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떠나도록 허락하면서, 그들이 요구하는대로 귀중품과 재산을 주도록 허락했고, 이는 애굽인들이 떠나는 이스라엘을 강제(強制)로 억류(抑留)하지 않고 자연스럽게 보내기 위해서였으며, 동시에 떠나는 동안 필요한 재산을 미리 제공하려는 목적도 있었다. 이러한 요청은 당시로써는 이상(異常)하고 의외적(意外的)인 모습이었다.

 

○ <바로의 이상(異常)한 요청의 말>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

   바로의 항복은 완전하였다. 그는 그들에게 그들의 소유물들을 위하여 즉시 그 나라를 떠나라고 명령했을 뿐만 아니라 그들이 기대할 수도 없었던 말 “나를 위하여 축복하라”는 요청을 두 형제 앞에 제시했다. 이는 그들이 10 재앙을 가져왔듯이 또한 그들의 말이 축복도 가져올 수도 있을지도 모른다는 것을 알기에 그런 요청을 할 수 밖에 없었을 것이다. 이는 그의 교만이 얼마나 많이 껶였는가를 보여주는 것이다. 

 

1.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떠나기 전에, 그들이 요구하는 것을 허락하면서 그들이 떠날 때 광야에서 필요한 것들을 애굽인들에게서 귀중품 등 많은 재산을 얻어갔다.

 

2. 유대인들에게 물질적 댓가를 요구하지 않은 것은 그들이 애굽에서 수백년동안 노예로 노동을 하며 착취 당했던 임금이었기 때문일 수도 있다.

 

3. 여호와께서 애굽인들 앞에서 백성들에게 은총을 주심으로 애굽인들이 그들이 요구한 것을 가지도록 했다. 

 

4.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 속에는 그들에게 영적인 축복과 현실의 필요한 모든 것들도 축복으로 채워주셨다. 

 

(08월 04일) (월) <초태생(初胎生)의 구별(區別)> 

 

1. “초태생(初胎生)의 구별”은 단순히 출생 순서(出生順序)의 구별(區別)을 넘어서서, 하나님께서 모든 피조물(被造物)의 첫 열매와 처음 난 것들을 특별히 구별(區別)하시는 것의 깊은 영적의미(靈的意味)를 담고 있으며, 

 

2. 초태생(初胎生)을 구별(區別)하는 것은, 하나님께서 주신 축복의 첫 열매임을 인정하는 동시에, 그 모든 것들이 하나님에게서 온 은혜(恩惠)와 구속(救贖)의 선물임을 고백하는 행위이다. 

 

3. 이 구별(區別)은 하나님께 대한 전적(全的)인 헌신(獻身)과 소유권(所有權)의 인정(認定)의 표시로서, 모든 창조물(創造物)과 생명은 결국 하나님께 속해 있다는 인식(認識)을 새기게 한다. 

 

4. 이는 믿음과 행동이 일치되어야 하며, 우리의 소유와 삶 전체가 하나님의 것임을 인정하는 신앙의 고백(告白)이자 헌신(獻身)의 표현(表現)으로써 주님은 우리의 창조주이시며 모든 것의 주임이시다. 

 

5. 핵심 요점은, 초태생(初胎生)의 구별(區別)과 구속(救贖)의 의미는 하나님께서 모든 것을 소유하시며, 우리의 삶과 소유(所有)의 처음과 최선(最先)은 하나님께 드림으로써 우리의 전적인 헌신(全的獻身)과 인정(認定), 그리고 믿음을 행동으로 실천(實踐)하는 것임을 보여준다. 이는 신앙생활에서 ‘믿음은 행함으로 증명되어야 한다’는 교훈(敎訓)과도 깊이 연결(連結)된다.

 

(Q)~(출애굽기 13:1~16)에서 이스라엘의 장자(長子)들은 마지막 재앙(災殃)에서 하나님의 은혜로 목숨을 보전(保存)했다. 이것은 왜 영원(永遠)한 명령(命令)이며 오늘날 우리에게는 어떤 의미(意味)가 있습니까?

 

1. 출애굽기 13:1~16절)에서는 이스라엘 자손들이 하나님께서 그들의 장자(長子)들을 구별하신 사건을 통해,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救援)의 의미를 깊이 새기고 있다. 이스라엘의 장자들이 마지막 재앙(災殃)에서 목숨을 보전(保存)한 것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특별히 택(擇)하셨고, 그들의 생명(生命)과 미래(未來)를 보호하셨다는 증거(證據)이다.

 

2. 이것이 영원한 명령이 되는 이유는, 하나님의 구원(救援)과 은혜(恩惠)는 시간과 장소를 초월(超越)해서 항상 우리와 함께하신다는 교훈을 담고 있기 때문이다. 또한, 이 사건을 기념하여 '유월절(踰越節)'을 지키는 것은, 하나님의 구원역사(救援歷史)와 신실하심을 기억하고 감사하는 삶의 자세를 갖게 한다.

 

3. 오늘날 우리에게 주는 의미는? 바로, 우리도 하나님의 은혜(恩惠)로 구원(救援)받은 자녀임을 기억하는 것이다. 어려움이나 시험 가운데서도 하나님께서 우리를 보호하시고 인도하심을 믿으며, 감사하는 마음으로 살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구원의 은혜를 경험하게 되면 자연적으로 헌신하게 된다. 이것은 하나님이 주시는 약속이다.

 

4. 또한, 하나님의 은혜를 잊지 않고, 주변 사람들에게도 사랑과 자비를 베푸는 삶을 살아가는 것이 우리가 할 수 있는 가장 귀한 반응일 것이다.

또한 손과 미간에 새긴다는 뜻은 하나님의 말씀에 순종하고 생각하고 말하고 행동하며 나의 삶을 통해 하나님께 영광을 도리라는 뜻이다. 

 

5. 즉, 이 사건(事件)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救援)의 소중함을 상기(上記)시키며, 매일의 삶 속에서 감사와 믿음을 갖고 살아가라는 영원한 명령이자 메시지라고 생각합니다.

 

(08월 05일) (화) <홍해(紅海)를 건너며>

  

1. "홍해를 건너며"라는 주제(主題)에서 중요한 핵심(核心)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약속(約束)하신 구원(救援)과 보호(保護), 그리고 그 과정에서 드러나는 인간의 믿음과 불신(不信), 그리고 원망(怨望)의 태도(態度)이다.

 

2. 하나님이 큰 능력(能力)과 임재(臨在)를 통해 이스라엘을 구원(救援)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백성들이 믿음이 부족(不足)하여 하나님의 역사를 의심(疑心)하고 원망(怨望)하는 모습을 보여주며 

 

3. 모세는 출애굽시 요셉의 유골을 가지고 나왔다. 

  또한, 요셉의 믿음과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신실한 기대가 결국 성취(成就)되었음을 통해, 하나님의 약속은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신뢰(信賴)를 강조(强調)하고 있다.

 

4. 교훈적(敎訓的)으로는, 하나님이 우리와 함께하시며 놀라운 일들을 이루어 주시지만, 인간은 때때로 믿음이 약해지고 원망하게 된다는 점이다. 따라서,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능력을 신뢰하며, 불신이나 원망 대신 순종과 감사의 태도를 보여야 함을 강조하는 것이 중요한 기별이다.

 

(Q)~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을 떠날 때 그들을 어떻게 인도하셨고, 그다음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습니까? (출애굽기 13:17~14:12 절 참조)

 

1. 하나님께서는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빠져나올 때, 그들을 바로의 군대(軍隊)와의 직접적인 충돌 없이 안전하게 인도하기 위해, 구름 기둥과 불기둥으로 낮과 밤에 인도하셨다. 이는 하나님의 특별한 보호와 인도하심의 표시였으며, 그들이 어디로 가야 할지 명확하게 보여주셨다.

 

2. <바다 앞의 위기(危機)와 하나님의 구원(救援)>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 앞에 놓여 있었을 때, 바로의 군대(軍隊)가 추격(追擊)해오자, 그들은 두려

워했으며 그 앞에서 모세를 원망하며 하나님에 대한 배도의 모습을 보였다.

 

3. 그들 앞에서 애굽인들에게 재앙을 내림을 보며 하나님의 권능이 대한 증거를 보았음에도 홍해바다  앞에서 여전히 그들은 믿음의 부족을 드러냈다. 다시말해 우리는 여전히 하나님 앞에 죄인임을 드러냈다.

 

4.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교훈(敎訓)>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이 믿음으로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따를 것을 기대하시며, 그들이 두려워할 때마다 그들을 위로(慰勞)하고 인도(引導)하셨다. 또한, 하나님의 구원(救援)은 믿음과 순종을 통해 경험(經驗)된다는 점이 강조(强調)하십니다.

 

5. <요약(要約)>

하나님께서는 구름과 불기둥으로 이스라엘을 인도하시며, 홍해를 가르셔서 안전하게 건너게 하셨습니다. 이후, 그들은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능력을 체험하며, 믿음과 순종의 중요성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은 계속되어, 그들이 약속의 땅으로 향하는 길을 안전하게 이끌었습니다.

 

(08월 06일) (수) <믿음으로 전진(前進)함>

 

1." 믿음으로 전진(前進)함"이라는 제목 아래 본문이 전달하는 핵심 메시지는,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信賴)하는 믿음이 어려운 상황에서도 두려움을 극복(克服)하고, 굳게 서서 하나님께서 행하실 구원(救援)을 기대(期待)하며 인내(忍耐)하는 것의 중요성(重要性)이다. 

 

2. 모세는 하나님의 인도하심과 능력을 믿음으로 받아들이고, 그분께서 싸우시며 구원(救援)하실 것을 확신하여 행동하였기 때문에 이스라엘백성을 격려하며 결국은 안전하게 홍해를 건너게 되었다. 

 

3. 이 모든 과정(過程)에서 믿음은 행동과 인내, 그리고 하나님의 약속에 대한 확신을 통해 성장(成長)하며, 결국 하나님의 놀라운 구원(救援)의 역사를 이루게 하는 힘임을 강조한다.

 

4. 즉 모세는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을 온전히 신뢰했기 때문에 백성들을 격려했으며. 그는 어려운 상황에서 어떻게 행동해야 하는지 네 가지 중요한 요점을 제시했다. 

 

  ⑴.“두려워하지 말라"(출애굽기 14:13). 첫 번째 호소는 주님을 신뢰하라는 것이다.

  ⑵.“굳게 서서”(출애굽기 14:13). 둘째로 하나님이 일하실 것이기 때문에 하나님을 신뢰하고 그분의 능하신 개입하심을 인내하며 기다리는 것을 의미함.

  ⑶.“오늘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救援)을 보라"(출애굽기 14:13).

  ⑷.“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시리니"(출애굽기 14:14). 

5. 모세에게 주신 하나님의 명령은 분명했다. 모세는 주님을 온전히 신뢰했기 때문에 명령을 따라 믿음을 가지고 “앞으로 나아가”라고 말하며 백성들을 격려했다. 

 

(Q)~이스라엘의 믿음이 부족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그 자손을 위해 무엇을 하셨는가? (출애굽기 14:13~31)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의 믿음이 약함에도 불구하고, 그들을 구원(救援)하시기 위해 홍해를 가르시고 안전하게 건너게 하셨다. 하나님은 우리보다 죄인인 우리를 먼저 사랑하셨다. 

이는 하나님이 우리 믿음의 약함과 상관없이 자비와 능력으로 구원하신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따라서, 우리에게 주는 교훈은 "우리의 부족함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항상 사랑과 은혜로 우리를 구원(救援)하신다"라는 점이다.

 

(08월 07일) (목)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

 

1.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라는 제목은 출애굽기 15장에 나오는 모세와 미리암의 찬양과 노래를 중심으로 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애굽 군대를 물리치시고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救援)하신 놀라운 구원(救援)의 기적(奇蹟)과 그에 대한 감사(感謝)와 찬양(讚揚)이다.

다시말해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에 대한 찬양과 감사의 노래이기도 하다. 

 

2.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는 단순히 노래를 부른 이야기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다. 즉

 <하나님께서 행하신 구원(救援)의 역사에 대한 감사와 찬양이 얼마나 중요한지, 그리고 그 찬양이 공동체(共同體)와 개인(個人) 모두에게 힘과 기쁨이 된다는 것을 강조하기 위해서>라고 볼 수 있다. 

 

3. 이처럼 하나님의 위대하심과 은혜에 대한 감사와 찬양이 우리 삶의 중심임을 교훈하며, 그로 인해 신앙이 더욱 깊어지고 풍성해질 수 있음을 보여주신다.

 

4. 모세의 노래는 하나님의 어떠하심과 놀라운 역사를 찬양한다. 감사와 경배는 우리를 향한 선하심에 대한 자연스러운 반응이며 활기찬 영적 생애의 조건이다. 

(Q)~모세의 노래는 무엇을 노래하는가? (출애굽기 15:1~21) 

 

1. 모세의 노래는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를 건너고, 하나님께서 그들을 구원(救援)하신 것에 대한 찬양과 감사의 노래이다. 

 

2. 모세의 노래는 하나님의 강(强)하심과 구원(救援)의 능력을 높이 찬양하며, 하나님의 영원한 통치와 구원계획(救援計劃)을 선포한다. 

 

3. 영적교훈(靈的敎訓)은, 공의로우신 하나님의 구원과 심판에 대한 찬양과 감사의 노래이다. 

하나님께서 우리의 모든 어려움과 적(敵)을 물리치시고 구원(救援)하심을 믿고 찬양하는 마음이 중요하다는 것과 하나님의 크신 능력과 사랑을 기억하며 항상 감사하는 삶을 살아야 한다는 것이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