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4-6. 내부의 적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25-4-6. 내부의 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광진 작성일25-10-31 10:36 조회179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안교소그룹의 TMI나눔 : 1. 안으로-안교소그룹이 서로를 돌보고 연합하기 위한 나눔(인사, 환영, 출석, 공부 확인, 결석자 확인, 방문 계획)

2. 위로-교과와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시간(말씀을 자신에게 적용함)

3. 밖으로-지역사회를 섬기기 위한 나눔(실천한 TMI, 실천할 TMI, 기도)

*시간에 제약을 받는다면, 한 주에는 이 주제를, 다른 주에는 다른 주제를 나누는 식으로 진행해보자.

 

연구 범위 벧전 1:4, 7:, 139:116, 10:11, 12:15, 8:129

 

기억절 나 여호와는 심장을 살피며 폐부를 시험하고 각각 그의 행위와 그의 행실대로 보응하나니”(17:10).

 

핵심 가장 큰 위협은 외부가 아닌 공동체 내의 한 사람의 탐심에 있었다. 언약을 저버린 한 사람의 죄로 공동체가 전쟁에서 패하는 고통을 당했으나 죄인에게는 회개할 기회가 주어졌다. 하지만 아간은 완고한 마음으로 그 가족들과 스스로를 멸망케 했다. 이스라엘은 그들 중에서 죄를 제거했고, 하나님의 도우심으로 승리하여 하나님의 명예를 회복할 수 있었다.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세우심은 그분의 이름을 세상에 알리는 증인으로 삼고자 하심이었다.

 

*핵심어 : 탐심, 자비, 증인

 

도입 질문 : 한 사람 때문에 단체로 어려움을 당해본 적이 있는가?

 

요일별 고찰

 

. <언약 위반> 이스라엘이 아이 사람들에게 패한 주요 원인은?(7)

 

하나님을 잊어버림

 

이스라엘이 패한 이유는 아간의 욕심과 이스라엘의 자기 과신에 있었다.

백성들은 아이성을 공격할 때 자기들의 힘을 믿고 나아갔다. 그들은 크고 견고한 여리고성을 쉽게 무너뜨렸으니 그에 비해 작은 아이성은 적은 수로도 정복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여리고성을 마치 자기들의 힘으로 무너뜨린 것처럼 착각하고, 아이성도 자기들의 능력으로 쉽게 정복할 수 있다고 자만한 것이다.

아간은 하나님의 언약을 어겼다. 여기서 언약이란 그분의 백성들에 대한 하나님의 명령을 의미한다. 명령 중 한 가지는 여리고성의 금은동철은 하나님께 바치되 모든 사람을 멸하고 물건은 모두 불사르라고 한 것이다.(6:17~19) 여리고는 하나님께 바쳐진 것=헤렘으로 지정되었는데, 지난 과에서 보았듯이 헤렘이란 하나님의 독점적인 영역에 속하여 하나님이 제외시킨 것 외에는 온전히 멸하여야 했다. 그런데 아간은 그 명령=언약을 어기고 하나님이 금하신 물건을 취하여 숨겼다.

두 경우가 모두 하나님을 멸시하거나 잊어버린 까닭이다. 적은 다른 데가 아닌 이스라엘 공동체 내부에 있었다. 교회의 적도 교회 안에 있다.

그런데, 하나님은 왜 아간의 범죄를 이스라엘 전체가 범한 것으로 간주하셨는가? 주님과 이스라엘 사이의 언약은 개인과 공동체 차원의 백성을 모두 포함한다. 언약의 관점에서 이스라엘은 하나님께서 택하신 민족으로서 분리될 수 없는 연합체로 여겨진다. 따라서 그 구성원 중 한 사람 혹은 몇몇의 죄라 하더라도 언약 공동체 전체가 죄책을 함께 감당하는 것이다.하나님의 백성들은 그리스도 안에서 한 몸이다. , 한 사람의 문제는 온 백성의 문제가 되는 것이다. 고로 신앙은 혼자가 아닌 서로 돌보면서 함께 해야 하는 것이다.

 

. <아간의 죄> 7:16~19은 아간의 죄에 대해 무엇을 말해주는가?

아간의 완고함과 여호수아의 자비

 

하나님은 범법자의 정체를 밝히는 대신, 당신의 공의와 은혜를 모두 나타내는 절차를 마련하셨다.범법자를 가려내는 이 절차는 공동체 전체에서부터 시작되어 한 지파, 한 족속, 한 가족, 한 사람으로 점점 범위가 좁혀진다. 이 과정을 통해 무죄한 자들은 혐의를 벗게 되고, 범인에게는 회개할 기회가 주어진다. 모든 백성들이 긴장 속에서 조사를 받는 동안에도 진짜 범인은 끝까지 발각되지 않고 지나갈 것처럼 기대하는 완고함을 보였다. 습관적인 죄와 죄의 회개를 미루는 것은 양심을 굳게 하여 아무리 기회를 줘도 돌이킬 수 없게 만든다. 구체적인 범죄 자체 보다 이 완고함이라는 죄가 가장 무서운 것이다.

마침내 아간이 범죄자로 지목되었을 때 여호수아는 그를 비난하지 않고 내 아들아라고 부른다. 그는 정의를 집행하면서도 아간에게 아비와 같은 자비로운 마음을 나타낸 것이다. 이것이 바로 예수의 마음이다.

 

. <운명의 선택> 아간이 죄를 고백하는 것은 어떤 의미인가?(7:19~21)

어쩔 수 없는 자백

 

그는 자신의 죄를 진정으로 슬퍼하고 회개한 것이 아니라 어쩔 수 없는 자백을 했을 뿐이다. 그에게 속죄의 길은 없었다. 하와가 선악과를 보고 탐심을 품었던 것처럼, 아간은 전리품들을 보고 탐을 내었다. 하와의 탐심이 인류를 불행의 구렁텅이로 몰아넣은 것처럼 아간의 탐심이 이스라엘 공동체를 고통에 빠지게 했다. 내부의 적은 공동체의 일원일 수도 있지만, 더 근본적으로는 각자의 마음 속에 있는 탐심, 교만, 완고함 같은 것들이다.

 

본문은 태초의 인류의 타락에 대한 암시 외에도, 라합(2:113 비교)과 아간의 태도 사이의 뚜렷한 차이를 대조한다. 한 사람은 정탐꾼들을 지붕으로 데려가 병사들에게서 숨겼고, 다른 사람은 금지된 물건을 가져가 여호수아에게서 숨겼다.

한 사람은 이스라엘 정탐꾼들에게 친절을 베풀어 승리를 거두게 도왔고, 다른 사람은 탐욕으로 이스라엘에 재앙을 초래하고 패배를 안겨주었다. 한 사람은 이스라엘 백성과 언약을 맺었고, 다른 사람은 여호와와의 언약을 깨뜨렸다. 라합은 자신과 가족을 구원했고, 그들은 이스라엘의 명예로운 한 백성이 되었다. 아간은 자신과 가족을 죽음으로 몰아넣었고, 수치의 본보기가 되었다.

 

. <소망의 문> 8:1~29은 실패가 무엇이 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가?

소망

 

아간은 골짜기에서 죽음의 형벌을 받았는데, 그곳을 아골 골짜기라고 불렀다. 아골이란 괴로움, 슬픔을 뜻한다. 이스라엘은 고통을 겪었지만, 그들 중에 죄를 제거하고 마음을 새롭게 하여 하나님의 뜻에 따름으로 마침내 아이를 정복하게 되었다. 하나님 안에서는 아골 골짜기도 소망의 문이 될 수 있는 것이다.

 

. <하나님의 능력의 증인> 7:6~9에는 어떤 신학적 원리가 담겨있는가?

우리를 택하심은 하나님의 이름을 위함

 

하나님이 이스라엘을 택하심은 그들이 순종할 때 그분께서 어떤 놀라운 일을 행하실 수 있는지를 이방 민족들이 보고 하나님의 이름에 영광돌리도록 하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불순종하면 이스라엘이 수치를 당함으로 그들의 하나님의 명성도 손상되게 된다.

 

아이에서처럼 상황이 잘못된다면 이방 국가들은 이스라엘의 하나님을 무력하고 영향력이 없다고 여길 것이고(14:16, 9:28), 이는 가나안 사람들의 저항을 더욱 부추길 수 있었다. 다시 말해, 히브리인들이 땅을 정복하는 상황 속에는 하나님께 영광과 존귀를 돌리는 것과 그분이 이방인들과 이스라엘 모두의 유일한 소망이라는 중요한 쟁점과 원칙들이 포함되어 있었다.

 

적용 : 교회의 일원으로서 어떻게 공동체에 대한 책임을 감당하겠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