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3과-험난한 시작-(핵심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7-12 08:05 조회709회 댓글0건첨부파일
-
A-제3과 험난한 시작-이봉주 장로.hwpx (82.7K) 33회 다운로드 DATE : 2025-07-14 14:36:04
본문
제3과 험난(險難)한 시작(始作)
(7월 19일 (안) / 일몰: 오후 7시 50분)
<기억절(記憶節)>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렇게 말씀하시기를 내 백성을 보내라 그러면 그들이 광야에서 내 앞에 절기를 지킬 것이니라 하셨나이다 바로가 이르되 여호와가 누구이기에 내가 그의 목소리를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겠느냐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니 이스라엘을 보내지 아니하리라” (출애굽기 5:1~2).
<서론(緖論)>
1. <제3과-험난한 시작>이라는 주제(主題)를 상고(詳考)해 봅니다.
2. 먼저, 많은 신자(信者)들이 하나님을 따르기로 결심(決心)할 때 기대(企待)하는 것은 행복과 번영(繁榮)과 성공(成功)입니다. 그러나 성경의 실제 사례(事例)와 가르침은, 하나님의 부르심과 사명(使命)을 따르는 길이 항상 순탄(順坦)하지 않으며, 오히려 장애물(障碍物)과 시련(試鍊)이 따를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특히, 출애굽기와 같은 성경 본문은 하나님께서 명령하셨음에도 불구하고,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이 겪는 어려움과 도전(挑戰)을 통해, 믿음의 길이 절대 쉽지 않음을 강조(强調)합니다.
4. 이 주제(主題)는, 믿음의 여정(旅程)이 때로는 험난하고 어려운 시작을 맞이할 수 있음을 인정(認定)하면서도, 하나님께서 그 과정(過程)을 통해 일하심을 믿고 인내(忍耐)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전달(傳達)하는 데 초점(焦點)을 맞추고 있다.
5. 또한, 세상의 배후(背後)에서 사탄이 역사(役事)하며 시련(試鍊)을 일으킬 수 있음을 인식(認識)하고, 믿는 이들이 믿음으로 하나님과 협력하며 결국 하나님의 계획이 이루어짐을 확신하는 그것이 핵심(核心)이다.
6. 하나님을 따르는 길이 항상 쉽지 않지만, 하나님은 우리의 시련과 어려움 속에서도 일하심을 약속하시며, 인내(忍耐)와 믿음을 통해 그분의 뜻이 성취(成就)된다는 사실을 강조(强調)하는 데 있다. 이를 통해 신자(信者)들이 어려운 시작을 두려워하지 않고, 하나님의 자비(慈悲)와 인도하심을 신뢰(信賴)하며 나아가도록 격려(激勵)하는 것이 이 주제의 핵심(核心)이다.
(7월 13일) (일) <여호와가 누구냐>
(Q)~<여호와가 누구냐>라는 주제(主題)의 고찰(考察)
(A)~이 주제는 성경의 출애굽기 이야기를 통해 하나님의 존재와 권위에 대한 인간의 태도를 깊이 성찰(省察)하기 위해 선정(選定)되었다. 특히, 모세가 하나님의 명령을 받고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인도하는 과정에서 바로가 하나님의 존재(存在)를 부인(否認)하고, 그 권위(權威)에 도전(挑戰)하는 모습을 중심으로 다루고 있다.
1. 하나님의 존재와 권위에 대한 인간의 도전(挑戰)
바로는 하나님을 알지 못한다며, 자신이 신(神) 또는 신의 아들이라고 생각하는 인간의 오만한 태도를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과 그분의 말씀과 그의 백성을 대적하는 태도로서, 무신론(無神論)과 유사(類似)한 반역적(叛逆的) 자세를 상징(象徵)한다.
2. 바로의 태도(態度)와 그 의미(意味)
바로는 “나는 여호와를 알지 못하니”라고 선언(宣言)하며, 하나님을 부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그 권위에 대한 도전과 반항을 드러냅니다. 이는 역사적으로도 애굽과 같은 강대국이 하나님의 실존을 부인하고 그 명령을 거역하는 태도를 대표하며, 무신론의 상징으로 해석됩니다.
3. 성경적 교훈과 현대적 의미(現代的意味)
성경은 이러한 태도(態度)를 ‘무신론(無神論)’으로 규정하며, 하나님을 부인하고 명령을 거역하는 세력(勢力)은 결국 하나님의 권위(權威)에 대항(對抗)하는 반역(叛逆)임을 강조(强調)한다.
이와 동일한 태도는 수천 년 후 프랑스혁명 때에도 나타났다. 그 당시 프랑스혁명 지도자들의 특징은 소돔 성(城)의 도덕적인 타락과 애굽 왕과 같이 참된 하나님의 존재를 부인하는 무신론적(無神論的) 도전(挑戰)도 이와 유사(類似)하며, 이는 인간이 자신을 스스로 최고 권력으로 믿는 오만(傲慢)함의 표현임을 보여준다.
4. 교훈(敎訓)과 현대적(現代的) 적용(適用)
이 이야기를 통해 우리는 하나님을 부인(否認)하는 태도가 얼마나 위험(危險)하고 비극적(悲劇的)인지 깨닫게 되며, 하나님의 존재와 권위에 대해 올바른 인식(認識)을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敎訓)을 얻을 수 있다.
5. 이처럼, 본 주제는 하나님의 실존(實存)과 권위(權威)에 대한 인간의 도전(挑戰)과 그 결과를 성경적(聖經的), 역사적(歷史的), 현대적(現代的) 맥락(脈絡)에서 살펴보며, 신앙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시키기 위해 <여호와가 누구냐>라는 제목이 선정되었으리라 생각(思料)한다.
(Q)~(출애굽기 5:1~2절)에 “내 백성을 보내라"라는 하나님의 요구에 바로는 어떻게 반응했는가?
바로의 반응(反應)은 우리에게 무엇을 알려주는가?
(A)~1. 바로는 하나님의 요구인 “내 백성을 보내라”라는 명령에 대해 “여호와가 누구이기에 내가 그의 목소리를 듣고 이스라엘을 보내겠느냐?”라고 대답하며, 하나님의 이름과 권위를 인정(認定)하지 않고 거절(拒絶)하였다.
2. 그는 자신이 여호와를 알지 못하며, 이스라엘 백성을 보내지 않겠다고 단호히 거부(拒否)하였다.
3. 이 반응(反應)은 바로 왕 본인의 권위(權威)와 통제(統制)에 대한 집착과 그리고 하나님의 명령 에 대한 무시(無視)와 불신(不信)을 보여준다.
4. 우리에게는, 하나님께서 보내신 명령에 대해 무조건 순종(無條件純宗)하는 것이 중요하며, 하나님의 권위(權威)와 계획을 인정(認定)하는 태도가 필요하다는 교훈을 주신다.
5. 모세와 아론이 바로에게 하나님의 명령(命令)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보내 달라고 요청했을 때, 바로는 하나님의 존재(存在)와 권위(權威)를 인정(認定)하지 않으며, 자신이 여호와를 알지 못한다고 거부(拒否)하였고, 이스라엘을 보내지 않겠다고 강경(剛勁)히 반응(反應)하였다.
이는 하나님의 명령에 대한 불신(不信)과 저항(抵抗)을 보여주는 사례(事例)이다.
(7월 14일) (월) <험난(險難)한 시작(始作)>
(Q)~<험난(險難)한 시작(始作)>이라는 제목(題目)에 대한 고찰(考察)
(A)~1. 이 주제(主題)는 모세와 이스라엘 민족이 하나님의 부름을 받고 시작한 여정이 처음부터 쉽지 않았음을 보여준다. 하나님의 크고 중요한 사명(使命)을 맡았음에도 불구하고, 예상치 못한 고난(苦難)과 어려움이 계속되었으며, 상황이 점점 악화(惡化)됨에 따라 민족내부(民族內部)의 불만(不滿)과 갈등(葛藤)이 심화(深化)되었다.
2. 이러한 배경(背景)은 하나님의 약속(約束)과 기대(企待)에도 불구하고 현실이 얼마나 험난할 수 있는지를 보여주며, 신앙(信仰)과 인내(忍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3. 하나님의 부름과 기대(企待) 속에서도, 모세와 이스라엘 백성은 신뢰(信賴)와 경배(敬拜)를 유지했으나, 시작부터 예상치 못한 고난(苦難)과 어려움이 따랐으며, 애굽 왕의 압박(壓迫)과 민족의 고통이 심화(深化)되었고, 백성들은 기대와 달리 불만과 갈등을 표출하며 상황이 악화 되었으며, 이러한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약속은 유효(有效)하며, 이는 신앙(信仰)과 인내(忍耐)를 통해 극복(克復)할 수 있음을 보여줍니다.
(Q)~(출애굽기 5:3~23절) 모세와 아론이 바로를 처음 만난 직후의 결과는 어떤 것이었는가?
(A)~1. 모세와 아론이 바로를 처음 만난 후, 바로는 그들의 요청(要請)을 거절(拒絶)하며 백성의 노역(勞役)을 더욱 무겁게 하고, 벽돌 제작에 짚을 주지 않으며 노동 강도(勞動 强度)를 높이도록 명령하였고, 백성은 더욱 고통받게 되었다. 이로 인(因)해 백성은 고통과 압박(壓迫) 속에 놓이게 되었고, 모세와 아론은 바로의 강압(强壓)으로 인해 어려움을 겪게 되었다.
2. 모세와 아론이 바로를 만난 후, 바로는 백성의 노역(勞役)을 강화(强化)하고 고통을 더하는 조처(措置)를 하여, 백성의 고통이 심화(深化) 되었으며, 모세와 아론은 바로의 강압(强壓)과 하나 님의 구원에 대한 약속에도 불신감을 가지는 백성들도 상대해야 했다.
(7월 15일) (화) <“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
(Q)~<“나,” 여호와 너희 하나님이>라는 제목(題目)에 대한 고찰(考察)
(A)~1. 이 주제(主題)는 하나님께서 자신을 “나는 여호와이니라”라고 반복하여 선언하신 것에 촛점(焦點)을 맞추고 있다. 이를 통해 하나님께서 어떤 분이시며, 그분이 이스라엘 백성과 맺은 언약(言約)과 약속(約束), 그리고 그들의 구원(救援)에 대한 확신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미(意味)를 담고 있다.
2. 하나님의 “나는 여호와이니라” 선언(宣言)은 자신의 정체성(正體性)과 능력(能力), 신실(信實)하심을 분명히 하여, 약속(約束)이 반드시 이루어진다는 확신을 줍니다.
하나님은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맺은 언약(言約)을 기억(記憶)하며, 그 약속(約束)을 성취(成就)하기 위해 일하신다는 의미(意味)도 포함(包含)되어 있다고 볼 수도 있으며,
3. 하나님은 이스라엘을 구원(救援)하시겠다는 약속을 확실히 하며, 자신의 능력과 신실하심으로 구원(救援)을 이루실 것을 약속(約束)하신다.
4. 하나님의 활동(活動)은 사랑과 은혜(恩惠)로 이루어지며, 그분의 약속과 구원(救援)의 계획은 과거(過去), 현재(現在), 미래(未來) 모두에서 신뢰(信賴)할 수 있다.
5. 즉(卽) 하나님은 자신의 정체성(正體性)과 언약(言約)과 능력(能力)과 신실하심을 통해 우리에게 신뢰(信賴)와 의지(依支)를 갖게 하시는 분임을 알 수 있다.
(Q)~하나님께서 모세에게 어떻게 응답하셨으며, 그 응답(應答)을 통해 어떤 중요한 신학적 진리(神學的眞理)가 드러나는가? (출애굽기 5:22~6:8)
(A)~▶(출애굽기 5:22~6:8절) 말씀에서 하나님께서는 모세의 불평(不平)과 의문(疑問)에 대해 강(强)한 확신과 약속으로 응답하셨다.
1. 하나님은 자신이 여호와임을 다시 선언(宣言)하시며,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무거운 짐과 고통(苦痛)에서 구원(救援)하실 계획을 분명히 하셨다.
2. 또한, 아브라함, 이삭, 야곱과 맺은 언약을 기억하시며, 그들에게 약속하신 땅(가나안)을 이스 라엘에게 주시겠다는 신실한 약속을 재확인(再確認)하셨다.
3. 이 응답을 통해 드러나는 중요한 신학적(神學的) 진리(眞理)는, 하나님이 자신의 이름 여호와 로서 자신이 맺은 언약과 약속을 신실하게 지키시며, 구원(救援)의 계획(計劃)을 확고히 하신다. 는 점이다.
4. 즉, 하나님의 신실(信實)하심과 언약의 성취, 그리고 구원(救援)의 확실성(確實性)을 보여주는 핵심 진리(核心眞理)이다.
(7월 16일) (수) <할례(割禮)받지 않은 입술>
(Q)~ "<할례(割禮)받지 않은 입술>"에 대한 고찰(考察)
(A)~1. 백성들은 모세가 바로 왕을 만난 후 일이 더욱 고되어지자, 모세의 말을 듣지 않았다!
2.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바로에게 가라”고 하실 때
모세는 이스라엘도 내 말을 안 듣는데, 바로가 내 말을 듣겠습니까? 하는 자신의 능력부 족과 하나님에 대한 불신을 표했다.
3. 우리는 이처럼 고난의 순간에는 너무 쉽게 낙담하고 포기하며 불신하는 마음이 생길 때 하나님을 더욱 굳게 신뢰하여야 한다.!
■ <이 주제(主題)는
1. 믿음의 사람은 고난(苦難)과 낙담(落膽)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信賴)한다.:
2. 히브리인들이 고통(苦痛) 속에서도 하나님의 약속을 믿지 못하고 낙담(落膽)했던 것과 달리, 믿음의 사람들은 어려움 가운데서도 하나님의 함께하심을 확신하며 입술로 고백(告白)한다.
3. 입술의 할례(割禮)는 신앙 고백과 정직(正直)한 마음의 표현이다.:
4. 우리의 말이 하나님과의 친밀함을 드러내며, 진실한 믿음과 헌신을 나타내는 중요한 수단임을 강조한다.
5. 영적할례(靈的割禮)는 마음과 말의 정결(淨潔)함을 통해 이루어진다.:
6. 육체적 할례(肉體的割禮)보다 더 중요한 것은 마음과 입술이 하나님께 온전하게 헌신(獻身) 되어, 하나님의 뜻에 부합(符合)하는 삶을 살아가는 것임을 의미한다.
7. 고난(苦難)과 시련(試鍊)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信賴)하는 믿음이 필요하다:
8. 성경 인물들이 보여준 것처럼,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을 믿고, 그 믿음을 입 술로 고백(告白)하는 것이 참된 신앙의 모습임을 강조한다.
9. 이처럼 "<할례받지 않은 입술>"이라는 주제는, 우리의 말과 마음이 하나님과의 관계를 얼 마나 깊이 반영(反映)하는지, 그리고 고난 가운데서도 믿음을 지키며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삶의 중요성을 되새기게 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Q)~그다음에는 어떤 일이 일어났으며, 이 이야기에서 우리가 경험(經驗)하는 실망(失望)과 투쟁(鬪爭)의 때에 대한 어떤 교훈(敎訓)을 얻을 수 있는가? (출애굽기 6:9~13절)
(A)~1. (출애굽기 6:9~13절) 성경 말씀에서는 모세가 이스라엘 백성에게 하나님의 메시지를 전했지만, 그들 이 마음의 상(傷)함과 역사의 어려움으로 인해 모세의 말을 듣지 않게 되는 상황이 나옵니다.
2. 이에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바로에게 가서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解放)시키라고 명령하셨지만, 모세는 자신의 입이 둔(鈍)하다고 생각하며 두려워합니다.
3.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실망(失望)과 투쟁(鬪爭)의 시기(時期)에 하나님께서 계속해서 인도 하심을 믿고 순종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을 신뢰하며 용기를 내는 것이 필요하다는 것을 배울 수 있다.
4. 이 성경 말씀은 백성의 불순종과 모세의 두려움 속에서도 하나님께서 계속해서 인도하심을 약속(約束)하시며, 신뢰와 순종의 중요성을 가르쳐주신다.
(7월 17일) (목) <바로에게 신(神) 같이>
(Q)~"바로에게 신(神) 같이"라는 주제(主題)는
1. 하나님께서 모세와 아론을 통해 자신의 권위와 위엄을 드러내신 것을 의미합니다.
2. 하나님의 말씀을 모세가 아론에게 말하고 아론이 그 말을 바로에게 전달하게 하시고, 이 과정에서 하나님의 권위가 나타납니다.
3. 선지자 역할을 한 형 아론은 하나님의 대언자로서 하나님의 말씀을 사람들에게 전달하고 해석하는 하나님의 대언자(代言者)였다.
4. 또한, 하나님은 모세에게 자신감을 주고 겸손과 불신을 극복하게 하여, 결국 하나님의 영광이 드러나게 하신다.
5. 이 모든 과정은 하나님의 신성(神聖)을 나타내고, 인간의 연약(軟弱)함을 넘어서는 능력을 보여주는 중요한 계기(契機)입니다.
6. 따라서 이 주제는 하나님의 권위와 위엄, 그리고 그 영광이 드러나는 과정을 강조하는 의미 를 담고 있다.
(Q)~(출애굽기 6:28~7:7절)에서 주님은 모세의 반대(反對)를 어떻게 대하셨는가?
(A)~1(출애굽기 6:28~7:7절)에서 주님은 모세가 "입이 둔하다"라며 바로에게 말하는 것에 대해 걱정하는 것을 들으시고,
1. 하나님은 모세에게 다시 바로와 대면하라고 명령하실 때 모세는 “바로가 어찌 나의 말을 들 으리이까?” 하는 불신의 말을 하며 하나님의 사명을 감당하기에 부족함을 말하자
자비로우신 하나님은 형 아론을 통해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는 선지자와 대변자로써의 역할로 모세를 돕게 하셨다.
2. 모세는 아론에게 하나님의 말씀을 말하고 아론은 그 말씀을 바로에게 말하게 하셨다.
즉 모세는 애굽왕 앞에서 하나님과 같은 역할을 하고 아론은 선지자처럼 바로에게 말했다.
3. 결과적으로 바로는 히브리인의 하나님이 누구인지 알지 못한다고 주장했지만 모세는 애굽사 람들이 하나님만이 참 신임을 잘 알게 될 것을 확신하였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