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기-제1과-억압-출애굽기의 배경과 모세의 탄생-(핵심Q&A)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3기-제1과-억압-출애굽기의 배경과 모세의 탄생-(핵심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6-27 15:50 조회65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출애굽기 연구(硏究) 총론요약(總論要約) 및 핵심내용(核心內容)>

 

1. 출애굽기의 핵심(核心) 메시지   


⑴. (하나님의 구원역사(救援歷史)) 

 하나님은 정(定)하신 때에 능력으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에서 구원(救援)하셨으며, 홍해를 가르시고 탈출을 이루신 사건은 유례없는 하나님의 위대한 행적(行蹟)이다.

 

⑵. (하나님의 사랑과 자비(慈悲)) 

 이스라엘이 배신(背信)하고 불순종(不順從)했음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끊임없이 자비를 베푸시며 돌보셨다. 

하나님은 신실(信實)하신 분으로, 백성을 인도(引導)하고 보호(保護)하신다.

 

⑶. (관계(關係)의 하나님) 

 하나님은 단순한 목표 달성자가 아니라, 택(擇)하신 백성과 특별한 관계 맺기를 원하시는 친밀한 관계의 하나님이다. 

시내산에서의 교제(交際)와 언약체결(言約締結)이 그 예(例)이다.

 

2. 출애굽기와 신앙적교훈(信仰的敎訓)

⑴. (복음과 구원(救援)의 이야기) 

  출애굽기는 사랑, 진리, 정의, 자유, 용서의 하나님에 관한 기록이며, 궁극적으로 십자가에 달리신 하나님의 사랑을 보여준다.

 

⑵. (과거 사건의 현대적 의미(現代的意味)) 

  성경의 사건들은 오늘날 우리에게도 교훈이 되며, 영적 원리는 시대를 초월한다. 과거의 실수와 하나님의 개입은 우리에게 경고와 교훈이 된다.

 

⑶. (배움과 적용(適用)) 

  성경 사건(聖經事件)들을 통해 하나님의 성품(性稟)과 원리를 배우고, 이를 삶에 적용하는 것이 중요하다.

 

3. 신앙적 결론(信仰的結論)

 ⑴. 출애굽기는 하나님의 사랑과 신실하심, 그리고 관계중심(關係中心)의 하나님을 보여주는 귀중(貴重)한 책이다. 

 

 ⑵. 성경의 사건들을 통해 하나님의 성품(性稟)과 원리(原理)를 배우며, 오늘날 우리 삶에 적용(適用)하는 것이 중요하다.

 

 ⑶. 은혜(恩惠)와 축복을 구(求)하며, 하나님과의 친밀한 관계를 더욱 깊이 체험(體驗)하는 것이 목표이다.

 

4. (중심(中心) 메시지) 

 하나님께서 백성을 노예(奴&#38584;)에서 자유(自由)로, 사망(死亡)에서 생명(生命)으로, 광야(廣野)에서 새 예루살렘으로 인도하시려는 하나님의 열망(熱望)과 계획을 깊이 묵상한다.

 

******************************************************************************

 

제1과 억압(抑壓) : 출애굽기의 배경과 모세의 탄생

              (7월 5일 (안) / 일몰: 오후 7시 56분)

 

(Q)~“억압(抑壓) : 출애굽기의 배경(背景)과 모세의 탄생(誕生)”이라는 제목에 대하여?

 

(A)~1.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겪은 억압(抑壓)과 고난(苦難), 그리고 하나님의 구원역사(救援歷史)에 관한 이야기이다. 

 

   2. 특히, 모세의 탄생(誕生)은 이 억압(抑壓) 속에서 하나님의 구원계획이 시작되는 중요한 순간(瞬間)이기 때문에, 이 두 주제(主題)를 연결하여 제목을 정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이 제목은 출애굽기의 배경(背景)과 모세의 역할(役割)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역사(救援歷史)와 그 의미를 강조하려는 의도(意圖)를 담고 있다.

 

※.<제1과-요점정리(要點整理)>

 <출애굽기의 배경(背景)과 주제>

  출애굽기는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노예로 억압받으며 고통받는 이야기로 시작됩니다. 

이들은 부르짖으며 고통을 호소했고, 하나님은 그들의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구원(救援)하심으로써 하나님의 언약(言約)과 돌보심을 보여줍니다.

 

 <억압(抑壓)받는 자들의 이야기>

  이 책은 소외(疏外)되고 박해(迫害)받는 자들, 착취(搾取)당하는 자들, 천대(賤待)받는 자들의 이야기를 담고 있으며, 하나님께서 그들의 부르짖음을 들으시고 구원(救援)하시는 과정(過程)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의 개입(介入)과 구원(救援)>

  하나님은 억압받는 자들의 고통을 기억하시고, 그들을 구원(救援)하기 위해 움직이십니다. 이는 오늘날에 버림받은 이들에게도 희망(希望)과 용기(勇氣)를 주는 메시지입니다.

 

 <믿음과 구원(救援)>

  하나님께서 먼저 신뢰(信賴)하는 자들을 구원(救援)하신다는 원칙을 강조하며, 우리가 믿음으로 하나님의 구원(救援)을 받아들여야 함을 말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출애굽기>

 출애굽기는 구속(救贖)과 해방(解放), 궁극적(窮極的)인 구원(救援)에 관한 이야기로,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 이루어지는 구원(救援)의 의미를 가리키며, 이 책을 공부하는 이유는 바로 그 구원(救援)의 메시지를 이해(理解)하기 위(爲)함입니다.

 

 <믿음과 희망(希望)>

  혼란(混亂)과 어둠 속에서도 하나님께 눈을 고정하면, 하나님의 임재(臨在)와 돌보심을 통해 영원한 약속의 땅으로 인도받을 수 있다는 희망적(希望的)인 메시지를 전달합니다.

 

(Q)~(출애굽기 1:1~7절) 이 구절(句節)에서 찾을 수 있는 중요한 진리는 무엇인가?

 

(A)~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축복하시고 번성(繁盛)하게 하셨다는 점이다. 이 구절(句節)은 야곱과 그의 가족이 애굽에 이르러 70명에 불과했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그들이 매우 번성(繁盛)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다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의 축복과 보호(保護)하심이 있었기 때문에 가능했던 일이며, 인간(人間)의 힘이나 계략(計略)을 뛰어넘는 하나님의 주권(主權)과 은혜(恩惠)를 강조하는 중요한 메시지이다. 또한, 이 이야기는 어려운 상황(狀況)에서도 하나님께서 그의 백성을 번성(繁盛)하게 하시며, 결국 그분의 계획(計劃)이 이루어진다는 희망과 신뢰(信賴)를 전달(傳達)한다.

 

(Q)~(출애굽기 1:8~11절). 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의 상황(狀況)은 어떠했는가?

 

(A)~출애굽 당시 이스라엘 백성들은 애굽에서 점점 늘어나고 강(强)해지고 있었다. 그러나 새로이 애굽을 다스리게 된 왕은 이들이 많고 강(强)하다는 사실을 걱정하며, 그들을 억압(抑壓)하려고 했다. 그래서 이스라엘 백성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우고, 국고 성(城)인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여 괴롭게 만들었다. 즉, 그들은 노예(奴&#38584;) 생활과 강제노동(强制勞動) 속에서 힘든 시기(時期)를 보내고 있었다. 하지만, 이 모든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計劃)은 계속 진행(繼續進行)되고 있었음을 보여준다.

 

(6월 29일) (일) <애굽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 

 

(Q)~ 왜 <애굽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제목(題目)을 붙였을까요?

 

(A)~1. 이 제목(題目)은 출애굽기 속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애굽에서 노예 생활(奴&#38584;生活)을 하면서도 하나님의 보호(保護)와 축복 가운데 있었음을 강조하기 위(爲)해서이다. 

 

   2. 비록 그들이 압제(壓制)와 절망(絶望) 속에 있었지만, 하나님께서 함께하시고 그들을 번성(繁盛)하게 하셨으며, 결국 해방(解放)시키시는 하나님의 구원의 역사(救援歷史)를 보여주신다. 

 

   3. 따라서 ‘애굽에 있는 하나님의 백성’이라는 표현은,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며 비록 어려운 환경에 처(處)했지만, 하나님의 선택(選擇)받은 백성으로서 하나님의 보호(保護)와 인도(引導)하심을 받고 있음을 나타내는 의미(意味)를 담고 있다.

 

<영적교훈(靈的敎訓)>

 1. 하나님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자기 백성을 버리지 않으시며, 그들과 함께 계시고 축복하신다는 사실이다. 인간의 계략(計略)이나 압제(壓制)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의 주권(主權)과 구원 계획(救援計劃)은 변함없으며, 믿음과 충실함으로 하나님과 함께하는 삶이 중요하다는 교훈이다.

 

 2. 출애굽기는 히브리어로 쉐모트(shemot)라 불리며, “이름들”이라는 뜻이다. 이는 성경의 처음 기록된 단어로 이름을 부르는 히브리인들의 방식을 따른 것이다. 출애굽기는 “이름들은 이러하니”(히브리어 어순, 역자 주)로 야곱의 가족 이름들을 열거하며 시작한다. 

 

 3. 이스라엘 백성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을 하면서도 하나님께서 함께하심으로 인해 번성하고 강해졌으며, 결국 해방(解放)의 역사를 경험한다.

 

 4. 인간의 악(惡)한 계략(計略)과 압제(壓制)에도 불구하고, 하나님은 자기 백성을 구원(救援)하시며, 승리(勝利)하신다는 역설적(逆說的) 메시지를 전달한다.

 

 5. 우상숭배(偶像崇拜)와 사탄의 선동(煽動)이 하나님의 백성을 압제(壓制)하려 했지만, 하나님의 계획은 변함없고, 그분의 구원(救援)은 확실하다는 점이 강조한다.

 

 6. 출애굽기의 시작과 끝이 대조(對照)를 이루며, 하나님의 임재와 구원(救援)의 승리를 보여주신다.

 

 7. 압제(壓制)와 절망(絶望) 속에서도 하나님은 백성을 번성(繁盛)하게 하시며, 결국 해방(解放)시키시는 능력을 가지셨음을 보여주신다.

 

 8. 인간의 계략(計略)과 악(惡)한 세력(勢力)에 대한 하나님의 승리(勝利)와 믿음으로 그와 함께하는 삶의 중요성을 강조(强調)한다.

 

(6월 30일) (월)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

 

(Q)~ 왜 제목(題目)을 "역사적(歷史的) 배경(背景)"이라고 붙였을까요?

 

(A)~1. 이 제목(題目)은 성경 이야기와 사건들이 어떤 역사적 맥락(歷史的脈絡)과 배경(背景) 속에서 일어났는지를 설명하기 위해 붙인 것 같다. 

 

2. 본문에서는 요셉이 애굽에 팔려 가서 성공을 거두기까지의 역사적 사건들과 그 시대의 왕들, 연대기적 배경(年代記的背景)을 상세(詳細)히 소개(紹介)하고 있다. 

 

3. 이를 통해 성경 속 사건들이 단순한 이야기뿐만 아니라 실제 역사적 시기(實際歷史的時期)와 인물(人物), 사건(事件)들과 연결되어 있음을 보여주고자 하는 의도가 담겨 있다. 

 

4. 즉, 성경 이야기를 역사적 사실(歷史的事實)과 연관(聯關) 지어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역사적 배경(歷史的背景)"이라는 제목을 붙인 것 같다.

 

<영적교훈(靈的敎訓)> 

  ⑴. 하나님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절대로 잊지 않으시며, 그분의 섭리와 계획은 항상 이루어진다는 사실을 믿어야 한다.

  ⑵. 히브리인들이 애굽에서 노예(奴&#38584;)로 고통받았던 시간 동안에도 하나님은 그들을 돌보고 계셨으며, 결국 구원(救援)의 계획(計劃)을 이루셨다.

  ⑶. 우리가 처한 어려움이나 고난(苦難)이 아무리 크더라도, 하나님은 그 속에서도 우리를 도우시고 인도(引導)하심을 신뢰(信賴)해야 한다.

  ⑷. 하나님의 섭리(攝理)는 때로 고통(苦痛)과 시련(試鍊)을 허락하실 수 있지만, 그것은 더 큰 목적과 선(善)을 이루기 위한 것임을 기억해야 한다.

  ⑸. 성경은 요셉의 성공과 애굽의 역사적 배경을 통해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이 어떻게 이루어졌는지를 보여주고 있다.

  ⑹. 출애굽기 시대의 역사적 연대(歷史的年代)와 인물(人物)들을 통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救援)하시기 위한 역사적 과정(過程)을 설명하고 있다.

  ⑺. 하나님은 힘 있게 나타나는 능력뿐만 아니라, 인자(仁慈)하고 자비(慈悲)로운 성품(性稟)으로 우리와 함께 계시며, 어려움 속에서도 그분을 신뢰(信賴)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교훈을 전합니다.

  ⑻. 사건들을 처리하는 것은 하나님의 섭리(攝理) 속에 있으며, 고난과 압제도 결국 하나님의 목적을 이루기 위한 과정(過程)임을 이해하는 것이 필요하다.

 

(Q)~전혀 순조롭지 않았던 시작에도 요셉이 애굽에서 놀라운 성공(成功)을 거둘 수 있었던 비결은 무엇이었는가? (창세기 37:26~28, 창세기 39:2, 21절)

 

(A)~요셉이 애굽에서 놀라운 성공을 거둘 수 있었던 비결(&#31061;訣)은 여러 가지가 있지만, 특히 중요한 두 가지를 말씀드릴 수 있어요.

 

⑴. 첫째, 하나님과의 긴밀한 관계와 신뢰(信賴)이다. 성경 말씀(창세기 39:2, 21절)을 보면, “여호와께서 요셉과 함께하시므로 그가 형통(亨通)한 자가 되었다”라고 나와 있어요. 

⑵. 하나님께서 요셉과 함께 계셨기 때문에, 어떤 어려움이 있더라도 그를 지키시고 인도하셨던 것이 큰 힘이 되었어요. 하나님과의 신뢰와 믿음이 요셉의 성공의 핵심 비결이었다.

⑶. 둘째, 요셉의 인내심(忍耐心)과 올바른 태도(態度)이다. (창세기 37장)에서는 요셉이 형제들에게 팔려 가는 어려운 상황을 겪었지만, 그는 포기(抛棄)하지 않고 하나님의 계획을 신뢰하며 인내(忍耐)했어요. 

⑷. 또한, (창세기 39장)에서는 주인, 집에서 성실(誠實)하고 정직(正直)하게 일하며, 하나님께서 그에게 은혜를 더하셨다는 기록이 있다. 

⑸. 어려운 상황(狀況)에서도 하나님을 믿고 성실(誠實)하게 임하는 태도가 요셉이 성공할 수 있었던 중요한 비결이었다.

 

(7월 1일) (화) <히브리 산파들>                 

 

(Q)~왜 "히브리 산파(産婆)들"이라는 제목(題目)을 붙였을까요?

 

(A)~이 제목(題目)은 본문에서 중요한 역할(役割)을 한 산파(産婆)들의 신실함과 용기를 강조(强調)하기 위해 붙여졌다. 

   2. 산파(産婆)들은 바로의 명령에 반(反)하여 히브리인 남자아이들을 죽이지 않고 살린 행동으로 인(因)해 역사(歷史)에 기록되었으며, 

   3. 그들의 이름이 기록된 것은 하나님을 더 경외(敬畏)하고 신실하게 행동했기 때문이다. 

   4. 따라서 제목(題目)은 이 산파(産婆)들의 용기(勇氣)와 신앙(信仰)이 중심임을 나타내며, 

   5. 그들이 보여준 믿음과 충성심(忠誠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부각(浮刻)시키기 위해 선택(選擇)된 것으로 보인다.

 

(Q)~(출애굽기 1:9~21). 신실(信實)한 산파(産婆)들은 어떤 중요한 역할(役割)을 했는가, 왜 그들은 역사(歷史)에 기록된 사람이 되었는가?

 

(A)~1. 그들의 행동(行動)은 하나님의 뜻에 순종(純宗)하는 신앙(信仰)의 본보기가 되었다. 

     2. 이들이 역사(歷史)에 기록된 이유는, 하나님을 경외(敬畏)하며 옳은 일을 선택(選擇)한 그들의 신실함과 용기(勇氣), 그리고 하나님께서 그들의 믿음과 행동을 인정(認定)하시고 축복하셨기 때문이다.

 

⑴. 핵심기별(核心奇別)은 바로의 악(惡)한 명령에 맞서 하나님을 두려워하며 옳은 일을 행한 산파(産婆)들의 신실함과 용기(勇氣)이다. 

⑵. 이들의 행동은 하나님께서 그들을 인정(認定)하시고 축복하셨으며, 결국 이스라엘 백성의 번성(繁盛)과 강성(强性)으로 이어졌다는 점이다.

⑶. 하나님을 경외(敬畏)하는 마음이 인간의 두려움보다 우선한다는 것.

⑷. 옳은 일을 선택하는 용기와 신앙이 결국 하나님의 축복을 받게 한다는 것.

⑸.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신앙의 중요성.

⑹. 세상의 권세와 명령보다 하나님의 명령이 더 중요하다는 신앙적 원칙(信仰的原則).

⑺. 이러한 이야기를 통해, 신앙과 용기를 가지고 옳은 일을 행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 배울 수 있다. 

⑻. 산파(産婆)들은 하나님을 두려워하고 그의 명령을 우선시하는 신앙으로 바로의 명령에 불복종하였으며, 이는 하나님께 큰 기쁨과 축복을 가져다주었습니다. 

⑼. 그들의 행동은 신앙의 용기와 충성심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보여준다. 또한, 하나님은 이러한 신실한 자들을 높이시고 복을 주신다는 교훈을 전달한다.

 

<요약(要約)> 

⑴. 본문은 히브리인들이 애굽으로 이주하여 번영했으나 노예가 되었던 역사적 배경과, 바로의 악한 명령(남자아이들을 죽이라는 명령) 에 맞서 산파들이 하나님을 경외하며 그 명령을 거부한 사건을 다루고 있습니다. 

 

⑵. 산파(産婆)들의 이름이 기록된 것은 그들이 하나님을 더 존중했기 때문이며, 그들의 신실함이 하나님의 축복을 받는 계기가 되었다는 점을 강조한다. 

⑶. 또한, 바로의 명령이 실패(失敗)하고, 산파(産婆)들이 하나님의 뜻에 순종한 것이 결국 하나님의 계획과 축복으로 이어졌음을 보여준다.

 

(7월 2일) (수) <모세가 태어나다>

 

(Q)~1. 왜 "모세가 태어나다"라는 제목을 붙였을까요?

 

A~⑴. 이 제목은 모세의 출생과 그 순간에 일어난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보호하심을 강조하기 위해 붙여졌다. 

⑵. 성경에서는 모세의 태어남이 매우 위기적(危機的)이고 위험(危險)한 상황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攝理)가 작용하여 그를 구원(救援)하셨음을 보여준다. 

⑶. 특히, 사형령(死刑令)이 내려진 가운데서도 하나님이 특별한 아들로서 모세를 태어나게 하시고, 기적적(奇蹟的)으로 구원(救援)하셨다는 점이 핵심(核心)이다. 

⑷. 따라서 "모세가 태어나다"라는 제목(題目)은 그의 출생이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계획의 시작(始作)임을 상징적(象徵的)으로 나타내며, 

⑸. 하나님의 보호하심이 그의 생애 전체에 영향을 미쳤음을 강조하는 의미를 담고 있다.

 

(Q)~2. (출애굽기 2:1~10) 모세의 출생에서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하심은 어떤 역할(役割)을 했는가?

 

(A)~⑴. 당시 히브리인들은 애굽 왕의 사형령(死刑令)으로 인(因)해 생명이 위협(威脅)받는 상황이었지만, 하나님은 모세를 기적적(奇蹟的)으로 구원(救援)하셨다. 

   ⑵. 그의 부모는 그를 숨기려 했지만 더 이상 숨길 수 없게 되자, 갈대 상자에 넣어 나일강에 띄우는 방법으로 생명을 보호하셨다. 

   ⑶. 바로의 딸이 강가에서 그 상자를 발견하고, 모세를 불쌍히 여겨 자신의 아들로 삼게 되면서, 하나님은 모세를 애굽 궁중(宮中)에서 자라게 하셨다. 

   ⑷. 이 모든 과정(過程)은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하심이 모세의 생명을 지키고, 그가 앞으로 이스라엘 민족을 이끄는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계획하셨음을 보여줍니다. 

   ⑸. 즉, 하나님은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그의 계획을 이루기 위해 모세를 안전하게 보호하셨으며, 그의 생애 전체에 걸쳐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보호(保護)가 작용했다고 볼 수 있다.

   ⑹.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보호(保護)하심이 위기(危機) 속에서도 그의 계획을 성취(成就)하게 한다"라는 점이다. 

   ⑺. 모세의 출생과 초기생애(初期生涯)는 하나님의 특별한 계획 아래에서 이루어진 것으로,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하나님의 손길이 함께하셨음을 보여주신다.

 

<요약(要約)>

⑴. 하나님은 모세의 생명을 기적적(奇蹟的)으로 보호하셨다.

⑵. 어려운 상황에서도 하나님의 섭리와 계획은 변함없이 진행(進行)된다.

⑶. 하나님의 보호하심은 그의 사명(使命)을 수행할 사람을 준비하는 과정임을 보여준다.

⑷. 인간의 한계(限界)와 위기(危機)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은 성취(成就)된다.

⑸. 하나님은 어려운 상황에서도 그의 섭리와 보호하심으로 우리를 지키신다.

⑹. 하나님의 계획은 인간의 이해(理解)를 초월(超越)하며, 믿음으로 신뢰(信賴)해야 한다.

⑺.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의 섭리와 보호하심을 믿고 의지(依支)하는 것이 중요하다.

⑻. 하나님의 특별한 계획은 때로 예상치 못한 방법으로 이루어지며, 그분의 인도하심에 순종하는 삶이 필요하다.

 

<하나님의 섭리(攝理)와 보호(保護)하심>

모세의 출생은 극도의 위험 속에서도 하나님의 계획과 섭리로 이루어졌으며, 하나님은 그를 통해 약속하신 땅과 구원의 역사를 이루실 것임을 보여줍니다. 그의 태어남은 하나님의 언약이 성취될 것임을 확증하는 사건입니다.

 

<하나님의 계획과 인간(人間)의 역할(役割)>

모세는 태어날 때부터 특별히 선택된 아들로서,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성장하고 준비되었다. 그의 출생과 성장 과정(成長過程)은 하나님의 주권적(主權的) 계획과 인간의 협력(교육, 보호)이 함께 작용하는 모습을 보여주신다.

 

<하나님의 은혜(恩惠)와 기적(奇籍)>

모세는 기적적(奇蹟的)으로 구원받았으며, 그의 이름도 "건져 내었다"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은혜와 기적이 그의 생애에 깊이 관여했음을 상징합니다.

 

<교육(敎育)과 준비(準備)>

모세는 애굽 최고의 교육을 받으며, 미래의 지도자(指導者)가 지녀야 할 자질(資質)을 갖추게 되었다. 이는 하나님의 계획이 인간의 능력(能力)과 준비(準備)를 통해 이루어진다는 교훈(敎訓)을 줍니다.

 

<영적교훈(靈的敎訓)>

 어려운 상황(狀況)에서도 하나님은 언약을 잊지 않으시며, 그분의 계획은 반드시 성취된다는 신뢰를 갖게 합니다. 또한, 하나님은 어려운 환경 속에서도 그를 사용하여 큰 일을 이루실 것임을 보여줍니다.

 

(7월 3일) (목) <변경(變更)된 계획(計劃)>

 

(Q)~왜 "변경(變更)된 계획(計&#30059;)"이라는 제목(題目)을 붙였을까?

 

(A)~⑴. 이 제목(題目)은 모세의 인생에서 중요한 전환점(轉換點)이 된 사건, 즉 애굽에서의 살인 사건(殺人事件)과 그로 인(因)한 도망(逃亡), 그리고 이후(以後) 하나님의 부르심에 따른 새로운 사명(使命)으로의 전환(轉換)을 강조하기 위해 붙여졌다. 

   ⑵. 모세는 처음에는 왕궁(王宮)에서 권력과 쾌락(快樂)을 추구(推究)하는 삶을 살았지만, 그 사건 이후 자신의 계획이 완전히 바뀌고 하나님의 계획에 따라 새로운 길을 걷게 되었다. 

   ⑶. 즉, 자신의 원래 계획(元來計&#30059;)이 깨지고 하나님의 인도하심에 따라 새로운 방향으로 나아가는 과정(過程)을 보여주는 제목(題目)이다.

 

(Q)~2. (출애굽기 2:11~25) 어떤 사건이 모세의 삶의 방향(方向)을 완전히 바꾸어 놓았는가? 

       이 이야기에서 우리는 어떤 교훈(敎訓)을 얻을 수 있는가?

A~2. ⑴. 이 사건은 모세가 애굽 사람을 죽인 후 바로의 추적(追跡)을 피하여 미디안 땅으로 도망(逃亡)친 사건(事件)이다. 

      ⑵. 이 사건이 그의 삶의 방향(方向)을 완전히 바꾸어 놓은 이유는, 애굽 왕궁(王宮)의 권력(權力)과 쾌락(快樂)을 포기(抛棄)하고, 고통(苦痛)받는 이스라엘 민족을 위해 참 하나님을 섬기기로 결단(決斷)하는 계기가 되었기 때문이다. 

     ⑶. 모세는 자신의 생명을 위협(威脅)하는 위험 속에서도, 거짓 신(神)이 아닌 참 하나님을 선택하며, 자신의 인생을 하나님의 뜻에 맡기게 되었다.

    ⑷. 하나님의 부르심과 계획은 때로 우리가 예상치 못한 어려움과 희생을 요구하지만, 참된 순종과 믿음으로 나아갈 때 하나님의 뜻이 이루어진다는 것.

    ⑸. 인간의 권력(權力)이나 쾌락(快樂)보다 하나님의 정의(定義)와 사랑을 선택하는 것이 진정한 삶의 방향임을 깨닫게 한다.

   ⑹.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께 의지(依支)하며, 자신의 삶을 하나님의 뜻에 맡기는 용기와 결단이 중요하다는 것.

   ⑺. 모세가 애굽 사람을 죽인 사건을 계기로, 자신의 인생을 하나님의 뜻에 맡기고 참 하나님을 섬기기로 결단하며, 세상의 유혹(誘惑)과 권력 대신 하나님의 정의(定義)와 사랑을 선택(選擇)하는 삶으로 전환(轉換)된 것.

 

<요점(要點)>

 ⑴. 모세는 애굽에서의 권력과 쾌락을 포기하고, 고난과 위험 속에서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길을 선택하였다.

 ⑵. 그의 선택은 하나님의 계획과 민족구원(民族救援)을 위한 중요한 전환점(轉換點)이 되었다.

⑶. 참된 리더십은 세상의 유혹(誘惑)보다 하나님의 뜻을 따르는 것임을 보여준다.

⑷. 어려움과 희생이 따르더라도, 하나님의 부르심에 순종하는 삶이 진정한 의미와 목적을 갖게 한다.

⑸. 세상의 유혹(誘惑)에 흔들리지 않고, 참 하나님을 섬기며 믿음으로 나아가는 것이 중요하다.

⑹. 하나님의 계획은 때로 우리가 예상치 못한 희생과 도전을 요구하지만, 그 안에서 참된 축복(祝福)과 사명(使命)이 실현된다.

⑺. 모세는 결정의 순간에 거짓 신(神)(애굽의 왕권과 유혹) 을 따르지 않고 참 하나님을 믿는 선택을 했다. 

⑻. 이는 신앙의 용기와 믿음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하나님은 모세의 예상치 못한 상황에서도 그의 삶을 계획하고 계셨으며, 어려움 속에서도 하나님을 신뢰하는 것이 옳은 선택임을 가르쳐주신다.

⑼. 모세는 애굽에서의 살인 사건(殺人事件) 후 도망쳐 미디안 땅에서 새로운 삶을 시작했고, 이후 하나님의 부르심을 받아 이스라엘 민족을 이끄는 지도자가 되었다.

⑽. 그의 생애는 세 시기(時期)로 나뉘며, 특히 마지막 40년은 하나님의 뜻을 이루기 위한 중요한 시기였다.

⑾. 당시 바로와 애굽의 우상숭배(偶像崇拜)와 도전(挑戰)은 하나님의 계획에 대한 저항이었으며, 이는 하나님께 대한 증오와 도전의 결과임을 보여준다.

⑿. 결론적으로, 모세는 자신의 계획이 아닌 하나님의 계획에 순종하는 선택을 함으로써 하나님의 큰 계획에 참여하게 되었다.

 

이 이야기는 우리에게 어려운 순간에도 하나님의 인도하심을 신뢰하고, 자신의 계획보다 하나님의 계획을 따르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깨닫게 해줍니다. 언제나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이 가장 복된 길임을 배울 수 있다. <아멘>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