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3과 권력 투쟁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13과 권력 투쟁

페이지 정보

작성자 안식일학교 작성일09-09-18 23:21 조회4,11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13과 권력 투쟁
(2009년 9월 26일 안식일)

<기억절> "사랑하는 자여 악한 것을 본받지 말고 선한 것을 본받으라. 선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께 속하고 악을 행하는 자는 하나님을 뵈옵지 못하였느니라."(요삼 1:11)

<학습 목표>
1. 우리는 누구에게나 선악 간에 영향을 미치며 살아간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2. 좋은 지도력과 나쁜 지도력의 차이점을 깨닫고, 예수님의 지도력(리더십)을 배운다.

<서론> 이번 주에 공부할 요한삼서는 교회 안에서 특히 지도자의 위치에 있는 사람들이 일반 회중에게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를 생각하게 해 주는 귀한 내용이 담겨 있다.
지도력(리더십)이란 영향력을 행사하는 것으로, 거기에는 선한 영향력과 악한 영향력이 있다. 사도 요한이 칭찬한 모범적인 지도자들과, 요한이 꾸중한 나쁜 지도자를 사례별로 다루어 보자. 이 모든 과정을 통해 우리는 섬김의 지도력을 발휘하신 예수님의 모본을 주목하게 될 것이다.

A. 지도자의 영향력 (목요일)

<도입> 토의에 들어가기 위해 먼저 ‘마음 문’을 연다.

1. 지도자가 반드시 갖추어야 가장 중요한 자질 세 가지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참고> 비전, 책임감, 창의력, 의사소통 능력, 조직력, 유머감각, 추진력, 인화력, 겸손 등 다양한 자질을 생각할 수 있다. 이 중에 어떤 자질이 중요하다고 생각하는가?

<토의> 교과의 핵심적인 내용을 함께 토의한다.

1. (목요일) 지도력의 은사는 모든 사람이 평등하다는 개념과 어떻게 조화될 수 있습니까?
<참고> 물론 하나님 앞에 누구나 평등하다. 하지만 지도자란 군중 가운데 한 사람이면서도 그 군중을 어디로 어떻게 이끌어야 할지를 아는 사람으로서, 이런 사람을 가리켜 우리는 지도력의 은사를 받았다고 말한다.

<적용>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할 계획을 세운다.

1. 나는 교회 지도자들에 대해 얼마 만큼의 존경심을 가지고 있습니까?
<참고> 1(전혀 존경 안 함)과 10(지극히 존경함) 사이의 숫자 중 어디에 해당하는가?

B. 좋은 지도력의 요인(일-월-수요일)

<도입> 토의에 들어가기 위해 먼저 ‘마음 문’을 연다.

1. 다른 사람으로부터 들은 칭찬 가운데 가장 기분이 좋았던 말은 무엇이었습니까?
<참고> 각자 자신의 경험을 나누어 보라.

<토의> 교과의 핵심적인 내용을 함께 토의한다.

1. (일요일) 오늘의 본문을 통해, 사도 요한은 가이오와 얼마나 친밀한 관계에 있었음을 알 수 있습니까?
<참고> 요한삼서 1:1~2에서 요한은 "사랑하는 가이오"라는 표현을 세 번이나 썼다. 그만큼 그를 아꼈던 것이다.

2. (월요일) 요한삼서 1:5~8에 따르면, 가이오는 어떤 봉사를 했습니까?
<참고> 그는 환대를 잘 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친절과 사랑을 베풀 줄 아는 사람이었다. 그는 열린 마음을 가졌고, 사람들에게 봉사하는 것을 기쁨으로 여겼다.

3. (수요일) 요한삼서 1:12에 의하면 데메드리오는 어떤 사람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까?
<참고> 데메드리오 역시 많은 사람들로부터 칭찬받는 교회 지도자였다. 그의 행실은 선한 일의 견본으로 제시되었다.

<적용>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할 계획을 세운다.

1. 누군가 나에 대해 추천서를 쓴다면 어떤 내용일 것이라고 생각합니까?
<참고> 각자 자신의 생각을 나누어 보라.

A. 나쁜 지도력의 원인 (화요일)

<도입> 토의에 들어가기 위해 먼저 ‘마음 문’을 연다.

1. 당신은 어떤 타입의 사람을 좋아합니까? 반대로 당신이 가장 싫어하는 타입은 어떤 사람입니까?
<참고> 각자 자신의 생각을 솔직하게 나누어 보라. 특히 어떤 부류의 사람에 대해 호감을 느끼는지 이야기 해보라.

<토의> 교과의 핵심적인 내용을 함께 토의한다.

1. (화요일) 요한삼서 1:9~10에 따르면 디오드레베는 어떤 문제가 있는 사람이었습니까?
<참고> 디오드레베는 군림하는 지도자 타입이었다. 그는 자신에게 유익한 것이면 무엇이든 교회에도 유익할 것이라고 생각하는 이기적인 사람이었다. 때때로 그는 사람들에게 압력을 가하면서까지도 자신의 생각을 관철시키려 했다.

<적용> 생활에 적용하고 실천할 계획을 세운다.

1. 나는 혹시 권력을 탐하고 있지는 않습니까? 나는 혹시 나에게 최선이면 교회에도 최선일 거라고 생각하지는 않습니까?
<참고> 자신의 가슴에 손을 얹고 나는 어떤 타입의 지도자이며, 어떤 형태의 영향력을 미치는지 자문해 보자.

<요약 및 결론>
예수님은 누누이 겸손의 중요성을 역설하셨고, 그와 같은 모본을 남겨 주셨다. 그분의 리더십은 한 마디로 '섬김의 리더십'으로서 우리 모두가 본받아야 할 모본이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