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11과-배도(背道)와 중보(仲保)-(이봉주)-(핵심 Q&A)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11과-배도(背道)와 중보(仲保)-(이봉주)-(핵심 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9-07 21:23 조회194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11과 배도(背道)와 중보(仲保)

 (9월 13일 (안) / 일몰: 오후 6시 43분)


<서언(序言)>

○ 모세가 산(山)에서 돌비를 받고 참된 경배와 고귀하고 거룩한 대제사장직에 대한 지시를 받고 있는 동안 산(山) 아래 있는 백성들은 여호와께 극악(極惡)한 불순종을 하고 있었다. 

○ 이스라엘 백성은 하나님께서 보여주신 크신 권능(權能)과 기적(奇蹟)에도 불구하고, 항상 함께하던 지도자 모세가 진영(陣營)을 떠난 지 수주일(數週日)이 지나도 모세가 보이지 않자 혼란에 빠져 두려운 중에 불안감(不安感)을 갖게 되었고,

 

 ○ 결국은 아론에게 “우리를 인도(引導)할 신(神)을 만들라고 요구하며 금송아지를 만들어 우상숭배(崇拜) 하는 배도(背道) 길은 가게 되었으며 결국 거짓 예배를 드리며 창조주를 배척했다. 

 

○ 그러나 하나님은 이스라엘의 배도(背道)에도 불구하고, 모세를 통해 중보(仲保) 하심으로 그들을 용서(容恕)하시고 구원(救援)의 계획을 계속 이루셨습니다. 

 

○ 즉 배도(背道) 속에서도 하나님의 자비(慈悲)와 중보(仲保)의 역할(役割)이 핵심적(核心的)임을 보여줍니다.

 

<맥(脈)>

죄는 생각과 판단을 왜곡(歪曲)시켰다. 

우상숭배는 그들을 인도하신 창조주(創造主), 구속주(救贖主) 하나님을 버리고 그들 손으로 만든 우상을 찬양(讚揚)하므로 그들의 인간성과 도덕성이 훼손되었다. 이것은 모든 악(惡)의 근원(根源)이며, 생각보다 심각(深刻)하고 현재 우리 가까이 있는 문제들이다. 

그들은 놀라운 특권(特權)을 누렸지만 쉽게 저버림으로 멸망(滅亡)할 지경에 이르렀다. 

하나님은 매도(背道)한 자(者)를 심판(審判)하고 다른 이를 파멸(破滅)로 이끌지 않게 하신다. 

모세는 백성을 사랑하여 그들을 위해 생명을 걸고 기도(祈禱)하였고, 그의 모본(模本)은 우리를 위해 대속(代贖)하시는 예수님의 사랑을 잘 보여준다.

 

(9월 7일) (일) <실패(失敗)한 지도자(指導者)>

 

○ 지도자(指導者) 아론은 하나님의 영광을 위해 당당히 맞서지 못했고, 이는 지도자(指導者)의 책임감 부족과 지도력에 대한 확신과 중요성과 신뢰를 잃게 되었다. 

 

○“실패(失敗)한 지도자(指導者)” 아론은 군중(群衆)의 요구(要求)에 굴복(屈伏)한 이유는  자신의 안전(安全)을 우선시할(于先時) 시 하는 나약(懦弱)함 때문이었다. 

 

<(실패한 지도자(指導者)가 되지 않기 위한 교훈(敎訓)은 다음과 같습니다)>

⑴ 하나님의 뜻과 영광을 최우선(最于先)으로 생각해야 한다.

⑵ 자신의 안전(安全)이나 편의(偏倚)를 위해 하나님의 명령을 포기(抛棄)하지 않아야 한다.

⑶ 군중(群衆)의 압력(壓力)에 흔들리지 않고, 신뢰와 용기로 하나님의 길을 따르는 자세가 필요하다.

⑷ 즉 진정한 지도자(指導者)는 하나님의 영광과 명령(命令)을 우선시(于先時)하며, 자신의 안전보다 신앙(信仰)의 책임(責任)을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이다.

 

(Q)~아론의 지도력(指導力)은 어떻게 그렇게 처참(悽慘)하게 실패(失敗)하게 되었는가? (출애굽기 32:1~6절)

 

⑴ <지도력의 결단력(決斷力) 부족(不足)>

   백성들이 급하게 금송아지를 만들어 달라고 요구했을 때, 아론은 강경(強硬)하게 거절(拒絶)하지 못하고, 결국 그들의 요구를 받아들였습니다. 이는 리더로서 결단력과 책임감이 부족했음을 보여줍니다.

 

⑵ <백성의 압력(壓力)에 굴복(屈伏)>

   백성들의 강한 요구와 압력에 굴복하여, 하나님의 명령과는 반대되는 행동을 선택했다. 이는 지도자로서의 신뢰와 신념이 흔들린 모습입니다.

 

⑶ <영적지도력(靈的指導力)의 부재(不在)>

   아론은 하나님의 뜻과 자신의 영적 책임을 충분히 인식하지 못했고, 하나님의 명령 대신 백성들의 요구를 따름으로써 영적 지도력의 부재를 드러냈습니다.

 

⑷ <아론의 지도력은 백성들의 요구>에 지나치게 휘둘리고, 결단력(決斷力)과 신념(信念)이 부족(不足)했기 때문에 실패(失敗)하게 된 것으로 볼 수 있다. 

 

⑸ 이는 지도자(指導者)로서 책임감(責任感)과 영적분별력(靈的分別力)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일깨워주는 교훈(敎訓)이 될 수 있으며, 특히 아론은 하나님을 높이며 그의 영광을 위해 당당히 맞서는 대신 군중의 요구에 굴복했다.

 

(9월 8일) (월) <우상숭배(偶像崇拜)와 악(惡)>

  

 우상(偶像)은 아무 힘도 없으며, 오히려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에 불과하므로, 그것을 숭배하는 것은 무지(無知)와 우매(愚昧)함을 드러내는 행위다.

 

▻ 열국의 우상은 은, 금이요 사람의 손으로 만든 것이라 16. 입이 있어도 말하지 못하며 눈이 있어도 보지 못하며 17. 귀가 있어도 듣지 못하며 그들의 입에는 아무 호흡도 없나니 18. 그것을 만든 자와 그것을 의지하는 자가 다 그것과 같으리로다. [시 135:15~18] 

 

(Q)~우상숭배(偶像崇拜)는 그들을 어떤 길로 신속(迅速)히 이끌었는가? (출애굽기 32:6절),(시편 115:4~8, 시편 135:15~18, 이사야 44:9~10절)

 

1. 우상숭배는 이스라엘 백성을 신속(迅速)히 죄와 타락의 길로 이끌었습니다. 

   구체적으로, 그들은 금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하며 하나님께서 명령하신 바른길에서 벗어나 우상숭배의 길로 빠졌습니다. 

 

2. 우상숭배(偶像崇拜)는 사람들을 하나님께서 주신 참된 길에서 멀어지게 하고, 결국에는 무지(無知)와 우상(偶像)에 대한 맹목적(盲目的)인 숭배(崇拜)로 하나님과의 관계를 멀어지게 하고, 도덕적 타락과 영적 혼란을 초래하는 위험한 길임을 보여줍니다.

 

3. (시편 115:48과 135:15~18절)은 우상(偶像)들이 결국 무가치(無價値)하며, 그것들을 숭배하는 자들도 그와 같은 무지와 무력함에 빠지게 된다고 경고합니다. 

 

5. (이사야 44:9~10절) 역시 우상 제작자(偶像製作者)와 숭배자(崇拜者)들이 자신들의 우상에 속아 넘어가며, 진정한 구원(救援)과 생명을 잃게 되는 위험성(危險性)을 지적(指摘)하고 있습니다. 

 

(Q)~금(金)송아지 배도(背道)는 (로마서 1:22-27절)에 기록된 내용을 어떻게 반영하고 있는가? 

 

1. (로마서 1:22~27절)은 인간이 하나님을 알면서도 하나님의 진리를 왜곡하고 그를 영광스럽게 여기거나 감사하지 않고 오히려 부도덕한 행위에 빠지는 모습을 설명하고 있다. 

 

2. 금송아지 배도도 우상숭배의 대표적인 예로써 (로마서 1:22∼27절) 내용과 깊이 연결되어있다.

   즉, 인간이 하나님을 알면서도 그를 버리고 우상숭배에 빠지는 모습이 바로 금송아지 배도     사건과 같이 이는 바로 인간이 자신의 욕망과 우상숭배에 빠져 하나님과의 관계를 등지는 모습을 잘 보여준다.

 

3. 금(金)송아지 배도(背道)는 인간이 하나님께서 주신 진리(眞理)와 구원(救援)의 길을 떠나 자신들의 욕망과 우상(偶像)에 의지하는 배도 행위의 상징적 표현으로 

   로마서의 배도(背道) 개념(槪念)을 구체적이고 강렬하게 보여주는 사례라고 할 수 있다.

 

4. 이 사건은 인간의 배도(背道)와 타락(墮落)의 극단적(極端的)인 예(例)로서, 성경전체(聖經全體)에서 하나님의 진리와 인간의 배신(背信) 사이의 긴장관계(緊張關係)를 잘 드러내는  중요한 이야기이다.

 

(9월 9일) (화) <스스로 부패(腐敗)함>

 

○ 이스라엘 백성들은 우상(偶像)을 섬김으로써 그들을 애굽에서 구원(救援)해 주신 참되신 하나님에게서 자신들을 분리(分離)시키고 있다. 

 

○ 인간이 우상숭배(偶像崇拜)와 자기중심적 욕망(自己中心的欲望)에 빠져 하나님과의 관계를 스스로 파괴(破壞)하는 영적타락(靈的墮落)의 위험성(危險性)을 강조하고 있다. 

 

○ 성경(聖經) 말씀(출애굽기, 에스겔 등)을 인용하며, 우상숭배(偶像崇拜)는 하나님을 대체(代替)하는 행위(行爲)로서 우리의 인격(人格)과 영혼을 왜곡시키고, 결국 진정한 구원(救援)과 관계를 잃게 만든다는 영적경고(靈的警告)를 전달(傳達)하고자 한다. 

 

○ 즉, 인간의 내면적 타락(內面的墮落)과 우상숭배(偶像崇拜)의 유혹(誘惑)이 영적 부패의 근원임을 핵심(核心) 메시지로 하고 있다.

 

○ 하나님이 나의 삶의 중심에 계시지 않으면 다른 신(神)들이 그 자리를 차지할 것이다. 

   우리가 하나님의 살아 계신 임재(臨在)를 기뻐하고 그것을 가꾸지 않는다면, 우리는 다른 무언가 또는 다른 존재(存在)를 위해 우리의 삶을 즐기고 바치게 될 것이다. 

 

(Q)~주님은 왜 모세를 이스라엘 진영(陣營)으로 다시 보냈는가? (출애굽기 32:7~8절)

 

○ 하나님께서 모세에게 말씀하시기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하시며, 그들이 우상숭배(偶像崇拜)로 인해 타락(墮落)했다고 지적하셨다. 

 

○ 그들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하며 하나님께 불순종했기 때문이다.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하는 죄를 범했기 때문입니다. 하나님께서는 모세에게 이스라엘 백성들이 매우 타락했고, 그들이 하나님과의 언약을 빠르게 잊고 애굽에 서의 노예생활(奴隸生活)로 돌아가려 한다고 말씀하셨습니다. 

 

○ 따라서 하나님은 모세를 다시 보내어 백성들을 향한 하나님의 진노와 심판과 경고를 전달하고, 백성의 회개(悔改)와 회복(回復)을 위해서 중보의 역할을 하며 모세는 하나님의 명령에 따라 이스라엘 진영으로 돌아가서, 백성들의 죄를 바로잡고 하나님의 뜻을 전달하며 하나님의 계획을 계속 수행하게 된다.

 

(9월 10일) (수) <하나님의 의(義)로운 진노(震怒)>

 

○ "하나님의 의로운 진노"는 하나님께서 죄(罪)와 불순종(不順從)에 대해 공의롭게 분노(憤怒)하시는 모습을 보여주신다. 

 

○ 이 진노(震怒)는 단순한 분노(憤怒)가 아니라, 하나님의 거룩함과 정의(定義)를 지키기 위한 정당(正當)한 심판(審判)이시다. 

 

○ 그러나 동시에, 모세와 같은 중보자(仲保者)를 통해 하나님의 자비(慈悲)와 사랑이 드러나기도 하신다. 

 

○ 즉, 하나님은 죄에 대해 엄정(嚴正)하게 심판하시면서도, 회개(悔改)하는 자(者)에게는 자비(慈悲)를 베푸시며, 구원(救援)의 길을 열어주신다. 

 

○ 이 교훈(敎訓)은 우리에게 하나님의 공의(公義)로우심과 동시에 자비(慈悲)로우심을 깊이 깨닫고, 죄를 회개(悔改)하며 하나님의 뜻에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가르쳐주신다.

 

(Q)~ 이스라엘을 멸망(滅亡)시키겠다는 하나님의 뜻에 모세는 어떤 반응(反應)을 보였는가? (출애굽기 32:9~29절). 

 

(A)~○.모세는 이스라엘 백성이 금송아지를 숭배(崇拜)하는 사건을 목격한 후(後) 매우 분노(憤怒)하고 슬퍼하며 하나님의 심판에 대한 우려를 표명합니다. 

 

○.모세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을 멸망(滅亡)시키시려는 계획에 대해 깊은 고민(苦悶)을 하였고, 대신 백성을 위해 중보(仲保) 하는 역할(役割)을 자처합니다. 

 

○.모세는 하나님의 공의(公義)로우심을 인정(認定)하면서도, 하나님의 자비(慈悲)와 은혜(恩惠)를 간구(懇求)하며 이스라엘을 용서(容恕)해 달라고 간절히 요청하였다. 

 

○.따라서, 모세는 하나님의 뜻이 멸망(滅亡)임에도 불구하고, 백성을 구원(救援)하고자 하는 강한 의지(意志)와 중보(仲保)의 자세를 보여주었다.

 

(9월 11일) (목) <중보(仲保)>

 

○.모세는 백성들의 죄를 대신 짊어지고 용서해달라고 간청하셨고, 그리스도께서도 우리 죄를 대신 지시고 십자가(十字架)에서 희생(犧牲)하셨습니다. 

 

○.이는 “중보(仲保)”의 본질(本質)로, 죄인을 위해 자신을 내어주고 용서(容恕)와 구원(救援)을 이루시는 하나님의 사랑과 희생(犧牲)의 행위(行爲)입니다. 

 

○.즉, 예수님은 우리의 죄를 대신 짊어지시고, 하나님과 우리 사이의 중보자(仲保者)가 되셨다는 것이 핵심(核心)입니다.

 

(Q)~ 모세는 죄인(罪人)들을 위한 중보기도(仲保祈禱)에서 어떤 모습까지 보였는가? (출애굽기 32:30~32절)

 

○ 모세는 이스라엘 백성들이 금송아지를 숭배(崇拜)한 사건 이후, 그들의 죄를 용서해 달라고 하나님께 매우 헌신적이고 간절한 모습으로 간구(懇求)합니다. 

 

○ 그는 자신을 대신하여 하나님께 자신의 생명을 내어놓겠다고까지 말하며, "그들의 죄를 용서하지, 아니하시면, 내 이름도 “생명의 책”에서 지워 달라"고 간절히 호소합니다. 

   모세는 백성을 위해 간절히 애원하므로 이스라엘에 대한 사랑을 나타내었다. 

 

○ 이 모습은 모세가 백성들의 죄를 깊이 애통(哀痛)하며, 하나님의 자비(慈悲)를 간절히 구(求)하는 중보자(仲保者)의 모습임을 보여줍니다. 

 

○ 주님은 수천 년 후 십자가에서 실제로 그렇게 하셨다. 

   그분은 바로 공의로우시고 자비로우신 우리의 죄를 대속하신 사랑의 하나님이시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