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3-6. 홍해를 건너서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25-3-6. 홍해를 건너서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광진 작성일25-08-04 09:53 조회68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안교소그룹의 TMI나눔 : 1. 안으로-안교소그룹이 서로를 돌보고 연합하기 위한 나눔(인사, 환영, 출석, 공부 확인, 결석자 확인, 방문 계획)

2. 위로-교과와 기도를 통해 하나님께 나아가는 시간(말씀을 자신에게 적용함)

3. 밖으로-지역사회를 섬기기 위한 나눔(실천한 TMI, 실천할 TMI, 기도)

*시간에 제약을 받는다면, 한 주에는 이 주제를, 다른 주에는 다른 주제를 나누는 식으로 진행해보자.

 

연구 범위 12:31-36, 2:17-20, 13:1-14:31, 11:22, 15:1-21, 15:2-4

 

기억절 너희는 두려워하지 말고 가만히 서서 여호와께서 오늘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너희가 오늘 본 애굽 사람을 영원히 다시 보지 아니하리라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시리니 너희는 가만히 있을지니라”(14:13, 14).

 

핵심 출애굽 이야기는 죄로 인해 죽을 수 밖에 없는 인간을 십자가의 피로 구원하실 것을 보여준다. 바로는 끝까지 하나님의 능력을 부인하며 이스라엘을 추격했으나 철저하게 패한 반면, 하나님은 믿음이 부족한 이스라엘을 끝까지 완전하게 구원하셨다.

 

*핵심어 : 구속

 

도입 질문 : 홍해 앞에서 애굽 군대의 추격을 받는 이스라엘 백성과 같은 상황이라면?

 

요일별 고찰

 

. <가서 여호와를 섬기라> 바로가 이스라엘 백성을 모두 떠나라고 하면서 어떤 요청을 했으며, 그것은 어떤 의미겠는가?(12:31~36)

축복을 달라, 패배의 의미

 

유월절 밤은 어린양의 피를 덧입지 않은 모든 사람들에 대한 심판이었다. 애굽의 바로부터 종들의 장자들과 짐승의 첫새끼까지 예외가 없었다. 애굽의 자랑과 희망이 모두 꺼져버렸다. 바로는 인간 으로서 참 신이신 하나님의 명령을 무시하며 완강하게 저항했지만 그는 결국 아무 것도 아니라는 것이 드러났다. 세상의 의지하는 것이나 두려워하는 힘있는 대상들은 결국은 아무것도 아니요 헛것에 불과함이 드러날 것이다. 그는 이제 이스라엘 백성들을 쫓아내며 자신을 위해 축복해달라는 이상한 요청을 한다. 이는 그가 하나님에 대한 복종이나 회개한 표시가 아니라 단지 그의 생명과 자신의 왕궁이 망하는 것을 막고싶었을 뿐이다.

애굽인들은 히브리 노예들이 애굽을 떠나면서 달라는대로 금은 패물과 의복을 주었다. 물론 이것은 그동안 그들의 노동에 대한 정당한 댓가로 볼 수 있지만, 하나님이 은혜를 입도록 하지 않았다면 결코 받을 수 없었을 것이다.

 

토의 질문 1 : 장자들이 죽임당하는 심판을 보고도 이스라엘을 보낸 것을 후회하고 추격한 바로의 심리는 무엇이었을까?

 

. <초태생의 구별> 모든 초태생이 마지막 재앙에서 살아남게 된 것과 관련하여 어떤 명령이 주어졌는가?(13:1~16)

모든 초태생을 구별하여 하나님께 드리라

 

이것은 영원한 명령이다. 왜인가? 장자는 다른 가족을, 초태생은 다른 짐승을 대표하는 것이다. 초태생을 구별하여 하나님께 드리는 것은 모든 소유물을 주님의 것으로 인정한다는 뜻이다. 초태생이 죽음에서 살아난 것은 모든 사람이 어린양의 피로 죽음에서 살아난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 우리는 모두 어린양 예수님의 피로 구원받았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는 것이다. 초태생은 모든 인류의 맏아들로 오신 예수님을 예표한다. 초태생을 하나님께 구별하여 드리는 것은 예수님이 자기를 제물로 드려 죄인이 구원받을 것을 기념하는 것이다. 또한 그리스도인들도 세상을 대표하는 초태생이다. 그리스도인은 구별된 삶으로 세상을 구원할 사명이 있다.

 

. <홍해를 건너며> 출애굽 후 하나님이 이스라엘 백성을 인도하시는 과정은 어떠했는가?(13:17~4:12)

홍해 앞에서 진퇴양난의 궁지에 처하게 하심

 

백성들은 믿음으로 순종하여 하나님이 인도하시는대로 홍해 앞에 진을 쳤다. 그런데 바로가 이스라엘을 내보낸 것을 후회하여 군대를 이끌고 추격했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진퇴양난의 궁지에 빠지게 되었다. 그들은 독 안에 든 쥐가 되었다. 순종의 길에 어떻게 이런 절망적인 사태가 발생하는가? 도무지 이해할 수 없는 두려운 상황이었다. 그들은 모세를 향하여 애굽에 매장지가 없어서 우리를 이끌어내어 이 광야에서 죽게 하느냐고 힐난하며 원망하였다. 그러나 하나님께서 10재앙 가운데서 어떻게 그들을 보호하셨는지를 그들이 기억했다면 그렇게 쉽게 믿음의 부족을 나타내진 않았을 것이다.

 

. <믿음으로 전진함> 믿음이 부족한 백성들을 위해 하나님은 어떤 일을 행아셨는가?(14:13~31)

바다에 길을 내서 안전하게 바다를 지나게 하심

 

모세는 백성들이 울부짖고 원망하고 안절부절한 상황에서 침착하게 그들을 격려했다. 그가 하나님을 온전히 신뢰한 까닭이었다. 그는 4가지 중요한 사항을 제시했다.(14:13~14)

두려워하지 말라(우리말성경) : 두려워말라는 명령은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는 약속이자 하나님을 신뢰하라는 말이다. 하나님을 나의 삶의 주인으로 받아들인다면 두려워할 필요가 없다.

굳게 서서(쉬운성경) : 개역성경은 가만히 서서라고 번역했다. 하나님이 일하실 것이니 불평을 멈추고, 우왕좌왕하거나 경거망동하지 말고 침착하게 인내하며 기다리라.

오늘 너희를 위하여 행하시는 구원을 보라 : 하나님이 어떤 위대한 일을 하실지 기대하고 경험하라. 두 눈으로 똑독히 보고 깨달으라. 확인하라.

여호와께서 너희를 위하여 싸우시리니 : 이 싸움은 하나님이 싸우는 싸움이다. 내 힘으로 싸우면 패할 것이 분명하나 하나님의 편에 서서 그분이 싸워주시도록 맡기기만 하면 승리는 우리 것이다.

 

토의 질문 2 : 갈라진 바닷물 사이 바닥으로 통과하는 백성들의 마음은 어떠했을까? 나라면 어떻겠는가?

 

. <모세와 미리암의 노래> 모세는 무엇을 노래하는가?(15:1~21)

홍해에서의 하나님의 구원에 대한 감사

 

15:13구속이라는 단어가 성경상 처음 등장한다. 구속이란 댓가를 지불하고 되찾는 것을 말한다. 출애굽 사건에서 하나님은 어떻게 이스라엘 백성을 구속하셨는가? 바로 어린양의 피를 통해서다. 죄로 인해 죽을 수 밖에 없던 죄인들이 어린양의 피값으로 구속 곧, 목숨을 되찾게 된 것이다. 어린양 예수의 희생으로 고대 이스라엘과 현대의 영적 이스라엘이 모두 구속받았으니 이를 감사하며 찬양하는 것은 당연하다.

15:2~4에는 짐승에게 승리한 자들이 하늘에서 모세의 노래, 어린양의 노래를 부르는 장면을 기록하고 있다. 구원의 노래로 찬양하는 일은 하늘에서도 계속될 것이다. 이 최후의 승리의 노래는 예수님의 피로 죄에서 구원받는 경험을 한 자들만이 부를 수 있다.

 

적용 : 모세와 어린양의 노래를 부르는 무리에 참여하기 위해 어떻게 하겠는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