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5과- 유월절(逾越節)-핵심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7-29 03:41 조회450회 댓글0건첨부파일
-
A-제5과 유월절-이봉주 장로-핵심QA.hwp (128.5K) 36회 다운로드 DATE : 2025-07-29 03:41:09
본문
제5과 유월절(逾越節)
(8월 2일 (안) / 일몰: 오후 7시 39분)
<기억절(記憶節)>
“이후에 너희의 자녀가 묻기를 이 예식이 무슨 뜻이냐 하거든 너희는 이르기를 이는 여호와의 유월절 제사라 여호와께서 애굽 사람에게 재앙을 내리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의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라”(출 12:26, 27).
<개요(槪要)>
1. 유월절은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애굽의 종살이에서 구원하시기 위해 세우신 구원(救援)의 기념일(記念日)입니다.
2. 성경은 유월절이 하나님의 구원섭리(救援攝理)와 은혜를 보여주는 중요한 사건임을 강조하며, 이를 통해 하나님의 능력(能力)과 사랑, 그리고 인간의 순종(順從)과 믿음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가르칩니다.
3. 유월절(逾越節)은 단순한 과거(過去)의 기념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하나님의 구원(救援) 역사를 체험(體驗)하고 기억하며, 죄와 사망의 권세(權勢)를 이기신 하나님의 은혜(恩惠)를 새롭게 깨닫는 살아있는 신앙(信仰)의 표징(表徵)입니다.
4. 이 절기(節氣)는 우리에게 하나님의 구원(救援)의 계획(計劃)을 상기(想起)시키며, 믿음으로 순종할 때 경험(經驗)하는 참된 자유(自由)와 평안(平安)을 상징(象徵)합니다.
하나님께서는 애굽에 10째 마지막 재앙인 장자의 죽음을 내리실때 이스라엘 집에 문설주와 인방에 피를 바른 집은 넘어가서 그 집의 장자는 죽음의 재앙에서 보호하심을 기념하는 절기로써
이는 하나님의 구원과 은혜를 기억하는 것 뿐만 아니라 순종과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을 받는 것의 중요성을 상징함과 또한 자유와 해방의 상징이기도 하다.
유월절(逾越節)은 '넘어가다' 또는 '넘기다'라는 뜻이며. 이 날은 하나님의 능력과 은혜를 감사하며
이집트에서 이스라엘 백성이 노예 생활에서 벗어나 자유를 얻은 사건을 기념하는 절기이기도 하다.
(7월 27일) (일) <한 가지 재앙(災殃)을 더한 후(後)에야 >
제목 <한 가지 재앙(災殃)을 더한 후(後)에야)>는 성경의 이야기와 교훈을 통해, 하나님의 심판이 단순한 재앙의 연속이 아니라, 결국에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함께 드러나는 과정임을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입니다. 즉, 여러 재앙이 내려진 후에야 비로소 바로의 완악함이 드러나고, 무고한 이들에게 심판이 임하는 비극이 일어난다는 의미를 담고 있다.
이 내용의 핵심은,
하나님은 공의와 사랑을 동시에 행하시는 분이시며, 재앙은 단순한 벌이 아니라, 교만과 불의에 대한 경고이자 사랑의 표현이라는 점입니다.
그러나, 바로와 그의 영향력 있는 자들이 마지막까지 완악하게 굳게 버티면서, 결국 더 심한 심판이 초래되었고, 무고한 이들이 고통받게 되었다는 사실입니다.
이는 하나님의 심판이 결국에는 공의와 사랑이 함께 드러나는 과정임을 보여줍니다.
요약하자면,
"한 가지 재앙을 더한 후에야"라는 제목은, 하나님의 심판이 여러 차례 반복되고 강화되면서, 결국에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온전히 드러나게 되는 과정을 상징하며, 우리에게는 하나님의 인내와 공의를 기억하며, 겸손과 사랑으로 살아가야 함을 교훈하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Q)~하나님은 애굽에 심판(審判)을 내리시기 전에 어떤 경고를 주셨는가? (출애굽기 11:1~10)
1. 하나님께서는 애굽에 심판을 내리시기 전에 먼저 선지자 모세를 통해 경고의 예언을 주셨습니다.
모세가 바로에게 이르되 여호와께서 이 같이 말씀하시기를 밤중에 애굽 가운데로 들어가서 -처음 난 것들 즉, 바로의 장자와 모든 생축의 처음 난 것이 죽을 것-이라는 재앙을 예고하셨습니다(11:4-5).
또한, 이 재앙이 애굽 전역에 큰 곡성을 일으키게 될 것임을 말씀하셨으며, 이스라엘 자손에게는 개도 혀 를 움직이지 않으며 구별됨이 있을 것이라고 하셨습니다(11:6-7).
이처럼, 하나님은 재앙이 임하기 전에 명확한 경고와 예고를 통해 애굽과 이스라엘 백성 모두에게 하나 님의 심판이 임박했음을 알리셨던 것입니다.
2. 모세가 재앙을 바로에게 알렸으나 그의 완악한 마음은 돌이키지 않으므로 모세는 심히 노(怒)하여 바로에게서 나왔다. 그 이유는 모세는 바로 왕을 상대하는 가운데 초인간적인 인내심을 나타냈었다.
그것은 하나님의 오래참으심과 인내하심을 반영한 것이었으며 모세는 하나님의 이름과 권위를 가지고 행동한 것이다.
이제는 강팍하고 완악한 왕에게 은혜의 날이 끝나고 하나님의 진노가 부어질 것에 대한 증거였다.
(7월 28일) (월) <백성(百姓)을 치유(治癒)하심>
1. 하나님께서는 유월절을 통해 이스라엘 백성을 구원(救援)하시고, 그들의 믿음과 순종을 통해 치유(治癒)와 구원(救援)의 은혜를 베푸셨습니다.
2. 이는 단순한 과거(過去)의 사건(事件)이 아니라, 오늘날에도 하나님의 은혜와 구원(救援)의 역사가 계속해서 이루어지고 있음을 상기(想起)시키며, 믿음으로 순종하는 자(者)들에게 영적치유(靈的治癒)와 회복(回復)이 임(臨)한다는 핵심(核心) 메시지입니다.
(Q)~이스라엘이 애굽을 떠나기 전에 하나님은 모세와 아론에게 어떤 특별한 지시를 내리셨는가? (출애굽기 12:1~20)
(A)~출애굽기 12장에서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에게 유월절을 지키는 구체적인 지침을 주셨습니다. 핵심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새 달의 시작을 유월절의 기준으로 정하고, 어린 양을 각 가족 또는 이웃과 함께 취하여 흠 없고 일 년 된 수컷 양 또는 염소를 선택할 것.
어린 양을 14일까지 간직하다가 해질 무렵에 잡고, 피를 문설주와 인방에 바를 것.
고기를 불에 구워 무교병과 쓴 나물과 함께 먹으며, 남기지 말고 허리에 띠를 매고 신을 신고 지팡이를 잡고 급히 먹을 것.
이 날을 기념하여 영원히 지킬 유월절 절기를 세우고, 무교병을 7일 동안 먹으며 누룩을 제거할 것.
무교절 기간 동안 유교병이나 누룩이 든 음식은 먹지 않으며, 이 규례를 대대로 지켜야 함.
이 지침들은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탈출하는 사건을 기념하는 중요한 종교적 규례로서, 그 의미와 실천 방법을 구체적으로 제시하고 있다.
(Q)~마지막 재앙이 올 때 주님은 그들을 위해 어떤 일을 계획하셨는가? 이 모든 것은 무엇을 상징하는가? (출애굽기 12:13~14)
(A)~(출애굽기 12:13~14절) 말씀을 보면,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해 피를 표징으로 삼으셨음을 알 수 있습니다. 마지막 재앙이 임할 때, 하나님은 피를 집 문설주와 인방에 바른 이스라엘 집을 넘어가게 하심으로써 재앙이 그들에게 내리지 않도록 보호하셨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구원 계획의 일환으로, 피를 통해 그들을 재앙에서 구별하고 보호하신다는 의미입니다.
이 모든 것은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상징합니다.
예수님께서 십자가에서 흘리신 피는 인류의 죄를 덮는 구원의 표징이 되었으며, 그 피를 믿는 자들은 영원한 구원(救援)과 보호를 받게 됨을 의미합니다.
따라서 이 구절(句節)은 하나님의 구원(救援) 계획(計劃)과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犧牲)을 상징(象徵)하며, 믿음을 통해 하나님의 보호(保護)와 구원(救援)을 받는 것을 보여줍니다.
이는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백성을 위하여 행하신 위대하고 은혜로우신 일이다.
(7월 29일) (화) <逾越節)
(Q)~유월절에 관한 신학적, 성경적 관점에서 핵심 요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구속과 구원의 상징
유월절은 이스라엘이 애굽의 노예 상태에서 해방되어 약속의 땅으로 향하는 구속의 사건을 상징하며, 동시에 예수 그리스도의 희생을 통해 인류가 죄와 사망에서 해방되는 구원의 의미를 내포합니다.
피의 구속력과 믿음의 행위:
어린양의 피를 문설주에 바른 것은 하나님의 구원 약속에 대한 믿음과 순종의 표현으로, 피를 통한 보호와 구원의 표징입니다(출 12:13). 이는 예수 그리스도의 피를 믿는 믿음으로 구원받는 신앙의 핵심을 보여줍니다.
무교병과 누룩의 상징성:
무교병은 생명을 주신 죄 없으신 메시아를 상징하며, 누룩(효모)은 죄와 부패를 의미하여 유월절 기간 동안 제거되어야 했습니다(출 12:15-20). 이는 죄를 떠나 순결한 삶을 추구하는 신앙적 자세를 강조합니다.
예수 그리스도와 유월절 양의 연관성:
예수님은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으로서, 흠이 없고 완전한 희생 제물로서 십자가에서 희생되셨으며, 그의 피는 구원의 표징이자 보호의 은혜를 상징합니다(요 1:29, 고전 5:7).
구속의 역사적·예언적 의미:
유월절은 과거의 해방 사건뿐만 아니라, 예수 그리스도를 통한 영적 해방과 구속의 완성을 예언하며, 모든 신앙인에게 적용되는 은혜의 표징입니다.
성례적 의미와 신앙의 실천:
문설주에 피를 바른 것과 무교병을 먹는 행위는 신앙 공동체의 구별과 순종을 상징하며, 오늘날 성찬과 같은 성례를 통해 그 의미를 계승합니다.
이상은 유월절이 갖는 신학적, 성경적 의미를 종합적으로 정리한 핵심 요점입니다.
(Q)~이 새로운 축제를 기념하는 데 피는 어떤 역할(役割)을 하는가? (출애굽기 12:17~23)
(A)~(출애굽기 12:17~23절)을 참고할 때, 이 새로운 축제인 유월절에서 피는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구체적으로, 어린 양의 피는 문(門) 인방(引枋)과 좌우(左右) 설주에 발라져서, 집 안에 있는 이스라엘 사람들을 보호하는 표식이 됩니다.
하나님께서 애굽 사람들을 치실 때, 피를 바른 집은 죽음의 사자가 그 집에 들어오지 못하게 하시고, 집을 지키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이죠. 따라서, 피는 하나님의 구원(救援)과 보호(保護)의 상징으로서, 이스라엘 백성들이 하나님의 심판(審判)에서 벗어나 안전하게 지낼 수 있도록 하는 중요한 역할(役割)을 합니다.
(7월 30일) (수) <불꽃을 전(傳)하라>
1. "불꽃을 전(傳)하라"라는 제목(題目)을 명상(冥想)해보면
성경에서 하나님께서 행하신 놀라운 일들과 그분의 사랑, 구원(救援)의 역사를 다음 세대에 생생하게 전달하는 것이 마치 불꽃처럼 강렬(强烈)하고 지속적(持續的)인 빛과 열정을 갖고 전파(傳播)되어야 함을 상징합니다.
배경은, 이스라엘 백성이 출애굽사건과 유월절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기억하고, 그 경험을 자녀들에게 이야기하며 믿음과 신앙을 계승하는 전통에서 비롯됩니다.
핵심은, 하나님께서 행하신 일들을 단순한 과거의 사건으로 남기지 않고, 현재와 미래에도 계속해서 생생하게 전달함으로써 믿음의 유산을 이어가야 한다는 점입니다.
이를 통해 자녀들이 하나님과 그분의 사랑, 능하신 행적들을 알게 되고, 믿음이 세대를 넘어 지속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습니다.
(Q)~(출애굽기 12:24~28) 이 구절(節)은 어떤 유월절의 중요한 점을 강조하고 있습니까?
1. 이 본문은 출애굽 사건과 유월절 제사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과 구속의 역사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합니다.
신학적으로는, 이 구절(句節)이 하나님의 구원계획(救援計劃)과 그분의 언약적(言約的) 은혜(恩惠)를 상기시키며, 믿는 자들이 하나님의 구원 역사를 기억하고 순종하는 삶을 살아야 함을 가르칩니다. 성경적 관점에서는, 유월절 제사를 통해 하나님의 구원 역사와 그분의 자비를 기억하며, 후손들에게 그 의미를 전하는 것이 영적 유산임을 보여줍니다. 즉, 이 구절은 하나님의 구원사와 그 은혜를 기억하고 계승하는 것이 신앙의 핵심임을 우리에게 전하고자 하는 메시지입니다.
2. 즉, 여호와께서 애굽사람을 치실 때에 애굽에 있는 이스라엘의 자손의 집을 넘으사 우리 집을 구원하셨느니라 하는 말씀을 후대에 전할 때 이것은 하나님의 역사를 말하는 것을 듣는 사람뿐만 아니라 말하는 자신을 위해서도 중요한 일이다.
(7월 31일) (목) <하나님의 심판(審判)>
<하나님의 심판>이라는 제목은 하나님의 공의로우신 심판(審判)이 우상숭배(偶像崇拜)와 교만(驕慢), 죄에 대한 엄중(嚴重)한 경고(警告)임을 나타냅니다.
성경은 애굽의 마지막 재앙(災殃)을 통해 거짓 신들과 우상들이 무력(無力)함을 드러내며, 인간의 교만(驕慢)과 죄가 결국 자신과 타인에게 고통을 초래한다는 교훈을 전합니다.
또한, 하나님의 자비와 기회 제공에도 불구하고, 거절하는 자에게는 심판이 임하며, 이는 하나님의 공의와 사랑이 함께 작용하는 신학적 원리임을 보여줍니다. 즉, 하나님의 심판은 죄에 대한 정의로우신 응징이자, 회개와 순종을 촉구하는 사랑의 경고라는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Q)~(출애굽기 12:29~30)에서 하나님께서 애굽의 장자들을 어떻게 치셨는지 읽어 보라. 하나님께서 초태생을 치신 이유는 무엇인가?(히브리서 11:28 참조)
(A)~(출애굽기 12:29~30절)을 보면, 하나님께서 애굽의 모든 장자(長子)들을 치신 사건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즉 바로의 장자(長子)부터 옥(獄)에 갇힌 사람의 장자(長子)까지, 그리고 생축(牲畜)의 처음 난 것까지 모두 치셨다고 합니다. 이로 인(因)해 애굽에는 큰 슬픔과 호곡(號哭)이 일어났으며, 집집마다 사망(死亡)이 일어난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하나님께서 애굽의 신앙(信仰)과 권력(權力)을 무력화(無力化)시키기 위해, 그리고 이스라엘 백성을 해방(解放)시키기 위한 심판(審判)의 한 부분으로서 행하신 일이다.
이 사건에서 하나님께서 초태생(初胎生)을 치신 이유는, 초태생(初胎生)이 그 집의 가장 소중(所重)한 것, 즉 가정과 가축의 첫 열매를 상징(象徵)하기 때문이다. 초태생(初胎生)을 치심으로써, 하나님께서 그 집의 가장 귀중한 것들을 심판(審判)하셨음을 보여주신다. 또한, 이는 하나님의 주권(主權)과 공의(公義)를 드러내는 행위(行爲)로, 하나님께서 모든 것의 주권자(主權者)임을 확실히 하시기 위한 것으로 볼 수 있다.
(히브리서 11:28절)에서는 믿음으로 유월절(逾越節)과 피 뿌림을 행했다고 기록되어 있는데, 이는 장자(長子)를 멸(滅)하는 자로부터 자신들을 보호하기 위한 하나님의 구원(救援)의 계획에 대한 신앙적(信仰的) 순종(順從)을 의미한다.
즉, 하나님께서 행하신 이 심판은 단순한 재앙(災殃)이 아니라, 믿음과 순종을 통해 하나님의 구원계획(救援計劃)에 참여하는 신앙의 행위(行爲)였음을 보여주신다.
[요약하자면]
하나님께서 초태생(初胎生)을 치신 것은 그 집의 가장 소중한 것들을 통해 하나님의 주권과 공의(公義)를 드러내시고, 동시에 믿음으로 그 구원(救援)의 계획(計劃)에 참여하는 신앙적(信仰的) 행위를 촉진(促進)하기 위한 것이다.
1. 애굽의 최고의 권세요 신의 대리자인 그의 장자의 죽음은 하나님께서 애굽의 힘과 권력과 교만을 심판하 셨다는 의미
2. 애굽의 신앙과 신들을 무력화 시킴으로 하나님이 유일하신 참 신임을 보여주었다.
3. 이스라엘 백성의 구원을 위한 하나님의 계획을 나타내는 사건이며 하나님께서는 믿는 자들을 보호하시 고 구원하신다는 의미이다. <아멘>
♣. 지금 미국 출타중에(LA)에서 인터넷이 안되어서 이제 늦게 올립니다. 죄송합니다
<감사합니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