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2기 제1과 - 예언의 몇 가지 원칙(핵심 Q&A) > 교과토의 자료

본문 바로가기

운영진
x


교과토의 자료 보기

교과토의 자료

제2기 제1과 - 예언의 몇 가지 원칙(핵심 Q&A)

페이지 정보

작성자 이봉주 작성일25-03-31 21:16 조회265회 댓글0건

첨부파일

본문

제1과 예언(豫言)의 몇 가지 원칙(原則)

    (04월 05일 (안) / 일몰: 오후 6시 58분) 


<기억절(記憶節)>

“자랑하는 자는 이것으로 자랑할지니 곧 명철(明哲)하여 나를 아는 것과 나 여호와는 사랑과 정의(正義)와 공의(公義)를 땅에 행(行)하는 자(者)인 줄 깨닫는 것이라 나는 이 일을 기뻐하노라 여호와의 말씀이니라”(렘 9:24). 


<개요(槪要)>

(Q)~성경예언(聖經豫言)을 연구(硏究)하는 데 어떠한 점을 유념(有念)해야 하며 중요(重要)한 원칙(原則)이나 사항(事項)이 있을까요?


(A)~⑴.성경예언(聖經豫言)을 연구(硏究)하면서 다음과 같이 요약해 볼 수 있겠습니다.

     처음 ①∼⑤항 다섯가지 원칙은 본문 자체에 초점(焦點)을 맞출 것.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傾聽)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문(本文)에 대한 우리의 반응(反應)에 초점(焦點)을 맞출 것)

     ⑵. 다음 ⑥∼⑩항 다섯가지 원칙(原則)은 우리가 하나님의 말씀을 경청(傾聽)하고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본문(本文)에 대한 우리의 반응(反應)에 초점(焦點)을 맞출 것입니다. 


① 솔직하게 읽기 (새로운 본문(本文)으로), 

② 주의(注意) 깊게 읽기 (중요(重要)한 본문(本文)으로), 

③ 미적(美的)(微的)으로 읽기 (아름다운 본문(本文)으로), 

④ 문맥적(文脈的)으로 읽기 (성경적(聖經的) 배경(背景) 내에서), 그리고 

⑤ 문맥간적(文脈間的)으로 읽기 (다른 성경 구절(句節)을 고려(考慮)하여).

⑥ 본문을 영적(靈的)으로 읽는 원칙 (영감(靈感)받은 본문(本文)), 

⑦ 지적(知的)으로 읽는 원칙 (어려운 본문(本文)), 

⑧ 단체적(團體的)으로 읽는 원칙 (공동체(共同體)를 위한 본문), 

⑨ 실존적(實存的)으로 읽는 원칙 (우리 삶에 참여(參與)하는 본문), 

⑩ 윤리적(倫理的)으로 읽는 원칙 (책임(責任) 있는 해석(解釋)을 위해)입니다.


<(결론(結論)>

 예언을 연구하는 원칙(原則)을 따르지 않을 때 예언(豫言)을 잘못 이해(理解)하게 되고 다른 문제(問題)에 부딪힌다. 하나님의 진리(眞理) 앞에 굴복(屈伏)하고 겸손(謙遜)한 자세(姿勢)를 가질 때 우리는 성경을 바르게 읽을 수 있다. 성경이 성경을 설명하도록 연구할 때 맥락(脈絡) 없이 성경을 사용하는 오류(誤謬)에 빠지지 않는다. 재림교회(再臨敎會)는 이 원칙을 통해 태동(胎動)했다. 하나님은 우리가 예언(豫言)을 잘 이해(理解)할 수 있도록 이끄시며 이를 통해 구원(救援)의 계획(計劃)을 더 잘 알게 하신다. 


(03월 30일) (일) <읽는 자는 깨달을지어다.>=

           <누구든지 읽는 자는 이해(理解)하게 하라>


(Q)~하나님을 알게 하시려는 하나님의 의도(意圖)에 대해 성경은 무엇이라 말씀하고 계시며, 또한 성경을 보면서도 바르게 이해(理解)하지 못하는 큰 이유(理由)는 무엇이라고 생각합니까?. (마태복음 24:15, 요한계시록 1:3, 마태복음 11:29, 예레미야 9:23~24)

(A)~<성경을 잘못 읽거나 반대(反對)되는 결론(結論)을 말하는 이들이 있지만, 그 이유는 자의적(恣意的)인 해석(解釋)이나 편견(偏見)과 선입견(先入見)으로 적용(適用)시키므로 성경을 성경으로 해석(解釋)하는 원칙을 적용하지 않음으로 인한 후유증(後遺症)의 부작용(副作用)이 발생하게 된다. 

그러므로 성경과 특히 예언(豫言)의 해석(解釋)은 우리가 주님께 굴복(屈伏)하고 진리를 배우려는 태도(態度)로 읽을 때 성경(聖經)은 하나님을 바르게 알려 준다.>


⑴ 우리가 사는 오늘날에도 옛날과 마찬가지로 사람들은 요긴한 진리의 말씀을 받아들이는 대신에 사람의 학설(學說)과 이론(理論)을 받아들인다. 그들은 자기의 판단과 견해(見解)를 하나님의 말씀보다 높이고 저희 자신의 권위를 가지고 성경 활용법을 가르침으로 성경의 거룩한 권위를 파괴한다. 그리하여 불신의 씨가 널리 뿌려짐으로 사람들의 마음이 혼란되어 무엇을 믿어야 할지 모르게 된다.”(실물교훈, 39).


⑵ 성경을 솔직(率直)하게 읽기. 마치 새로운 본문(本文)인 것처럼 본문을 읽으세요.


⑶ 성경은 인간이 본래 "어둠"에 있다고 말합니다(요 1:5). 사실, 우리가 성경예언(聖經豫言)에 접근(接近)할 때 가장 흔한 유혹(誘惑)은 본문을 읽기도 전에 그 메시지를 이해(理解)한다고 믿는 것입니다.


⑷ 우리는 성경 본문(本文)이 스스로 말하도록 하는 대신(주석(註釋)) 우리의 생각을 본문에 강요(强要)합니다(주석). 이것은 우리가 우리 자신의 추론(推論) 관점(觀點)에서 또는 우리 시대에 일어나는 사건(事件)의 관점에서 성경예언을 읽을 때의 경우(境遇)입니다.


⑸ (성경을 주의 깊게 읽기). 성경예언(聖經豫言)에는 세상의 운명(運命)과 구원(救援)의 중요한 진리(眞理)에 대한 중요한 정보(情報)가 들어 있다. (딤후 3:15~17). 


⑹ 성경의 선지자(先知者)들은 영감(靈感)받은 비전을 전달(傳達)하기 위해 단어(單語)와 표현(表現) 형식(形式)을 신중(愼重)하게 선택(選擇)했다. 


⑺ 성경본문(聖經本文)을 천천히 읽고 단어(單語)에 세심(細心)한 주의(注意)를 기울이십시오. 본문을 읽는 데 아무것도 빠지지 않도록 여러 번 읽으세요.


⑻ 성경(聖經)을 미학적(美學的)으로 읽기. 본문의 문학적(文學的) 형식(形式)(구조(構造), 평행성(平行性)은 예언의 메시지를 해독(解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⑼ 다니엘 2장의 형상(形狀)에 대한 다니엘의 예언(豫言)은 다니엘 7장의 네 짐승에 대한 다니엘의 예언(豫言)과 평행(平行)을 이루어 명확(明確)해집니다. 다니엘서와 요한계시록의 예언 사이에도 평행(平行)이 있습니다. 


⑽ 문맥적(文脈的)으로 읽기. 역사적(歷史的) 맥락(脈絡)에서 카르케미시에서 북부 바빌로니아 군대(軍隊)와 남부 이집트 군대가 군사적(軍事的)으로 맞선 사건(事件)(단 1:1과 예레미야 46:2 비교)은 선지자(先知者) (다니엘이 11장)에서 북방 왕과 남방 왕 사이의 종말론적(終末論的) 전쟁에 대한 예언(豫言)의 틀로 사용할 것입니다. 


(03월 31일) (월) <하나님은 우리가 당신을 알기 원(願)하신다..> 


(Q)~하나님께서는 우리가 하나님을 알기 원(願)하시고 이해(理解)받기를 원(願)하신다. 

그런데 우리가 모르는 것이 얼마나 많은지도 깨닫지 못하고 있다. 하나님을 더 잘 알고 이해(理解)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시편 139:1~6, 시편 147:5, 로마서 11:33, 요한 1서 3:20)


(A)~<우리는 결코 모든 것을 알 수 없지만, 우리의 구원(救援)에 필요(必要)한 것은 이해(理解)할 수 있다. (딤후 3:14~15). 하나님을 아는 방법은 성경을 통해서, 오직 성경만이 하나님에 대하여 증거하고 있으시다. (요한복음 5:39)>


⑴.문제(問題)는 하나님께서 우리와 소통(疏通)할 어휘력(語彙力)이 없다는 것이 아니라, 우리가 그분을 온전(穩全)히 이해(理解)할 어휘력(語彙力)이나 지적 능력(知的能力)이 없다는 것이다.


성경의 본질적(本質的)인 목적(目的)은 단순히 역사(歷史)를 기록하거나 하나님의 본성(本性)을 묘사(描寫)하는 것이 아니다. 


⑵.성경(聖經)은 사람이 어떻게 하면 죄에서 구원(救援)받을 수 있는지 보여주기 위해 기록되었다. 세상에는 소위 성(聖)스러운 “글들”이 많지만, 오직 성경만이 인간이 구속(救贖)받을 수 있는 길을 안전(安全)하게 가르쳐 준다.


⑶. 이슬람교, 불교, 힌두교와 같은 세상의 주요 종교(宗敎)들이 “경전(經典)”을 가지고 있지만, 이것들을 통해 어떤 사람도 “구원(救援)에 이르는 지혜(智慧)”를 얻을 수 없다.


⑷.오직 성경만이 사람이 어떻게 죄(罪) 된 습관(習慣)의 결박(結縛)을 깨뜨리고 하나님으로부터 용서(容恕)를 얻을 수 있는지를 계시(啓示)한다. 따라서 사람의 첫 번째 임무(任務)는 자신을 위하여 성경을 깨닫는 것이 되어야 한다.


⑸.모든 참된 지식(知識)과 진정한 발달의 근원(根源)은 하나님을 아는 지식(知識)에 있다. 물질계(物質界)나 정신계(精神界)나 영계(靈界)를 막론하고, 죄의 폐해(弊害)가 미치지 않은 곳이면 어디에나 이 지식(知識)이 나타나 있다. 


⑹.사람이 비록 성경을 다 암송(暗誦)하고 모든 교리(敎理)를 통달(通達)한다 해도 이 일 자체가 그에게 구원(救援)을 보장(保障)해 주지는 못한다. “귀신(鬼神)들도 믿”(약 2:19)는다. 그러나 그들이 진리(眞理)를 안다고 해도 성도(聖徒)가 되지 못하고, 미래(未來)의 구속(救贖)을 보장(保障)받지도 못한다.


⑺.주님께서 우리를 위하여 큰일을 행하시도록 우리가 기대해야만 할 때가 이르렀다. 우리의 모든 수고는 쇠퇴하거나 약화하여서는 안 된다. 우리는 은혜와 하나님을 아는 지식 가운데서 자라야 한다. (1 SM 111)


⑻.지금, 이 순간은 천국(天國)을 위하여 준비할 때이며 우리가 하나님의 모든 명령(命令)에 완전히 순종(順從)하는 생애를 살아야 할 때이다. (서신 30, 1907년)


⑼.하나님의 말씀에 게시된 하나님을 아는 지식이 우리의 자녀들에게 주어져야 한다. 그들의 이성(理性)의 눈이 떠지는 가장 초기에서부터 그들은 예수님의 이름과 생애를 잘 알아야 한다. 그들은 최초의 교훈으로서 하나님이 그들의 아버지시라는 진리를 배워야 한다. 


⑽.하나님을 아는 우리의 지식은 부분적이고 불완전하다. 믿음의 싸움이 끝나고, 인성(人性)을 가지신 예수 그리스도께서, 죄악(罪惡) 세상에서 당신의 진실한 증인(證人)이 되어 온 충성된 일꾼들을 아버지 앞에서 아노라고 인정(認定)하실 때, 그들은 오늘날 그들에게 오묘(奧妙)한 것으로 남아 있는 것을 분명하게 이해(理解)하게 될 것이다. (YHH 330)


◉.우리의 이해력(理解力)은 제한적(制限的)이어서 하나님을 다 알 수 없지만, 하나님은 모든 사람이 십자가(十字架)의 희생(犧牲)과 계획(計劃)을 알기 원(願)하시며, 예언(豫言)을 통해 구원(救援)을 알려주신다.


(04월 01일) (화) <다니엘 – 이 말씀을 닫아두라>  


(Q)~다니엘서 12:4절의 마지막 때까지 “이 말을 간수(看守)하고 이글을 봉함(封緘)하라”라는 말씀의 의미(意味)와 “마지막에 지식(知識)이 증가(增加)”할 것이라는 다니엘의 말씀은 어떤 모습으로 성취(成就)되었습니까? 


(A)~<마지막 때까지 이 말을 간수(看守)하고 이 글을 봉함(封緘)하라는 (다니엘 12:4), 이 말씀은 마지막 때는 이미 살펴본 것처럼 1260년이 지난 후 즉 1798년 이후(以後)를 가리킨다. 그때까지는 다니엘서의 예언(豫言)이 밝혀지지 않을 것을 말하고 있다. 실제로 다니엘서의 주요 예언(豫言)들이 해석(解釋)되고 선포(宣布)된 것은 17세기의 재림운동(再臨運動) 때부터라고 할 수 있다.>


⑴.이 세상 역사(歷史)의 종말(終末)이 가까이 이르고 있는 이때, 다니엘이 기록한 예언(豫言)들은 우리가 사는 바로 이 시대(時代)와 관계(關係)가 있으므로 우리는 그것에 특별한 주의(注意)를 기울여야 한다. 


⑵.이 예언들은 신약 성서의 마지막 책(계시록)의 가르침과 연결해야 한다. 사단은 많은 사람으로 다니엘과 계시자 요한의 기록 중 예언된 부분은 이해할 수 없는 것이라고 믿도록 인도했다. 그러나 이 예언들을 연구하면 특별한 축복이 함께하리라는 약속을 분명히 했다. 


⑶.말세에 개봉해야 할 다니엘의 계시에 대하여 “지혜 있는 자는 깨달으리라”(단 12:10 )라고 말했다. 그리고 그리스도께서 각 시대를 통하여 모든 하나님의 백성들을 인도하기 위하여 당신의 종 요한에게 주신 계시에 대하여 “이 예언의 말씀을 읽는 자와 듣는 자들과 그 가운데 기록한 것을 지키는 자들이 복(福)이 있”(계1:3)다고 약속(約束)되었다. (PK 547)


⑷.하나님께서 보여주신 거룩하신 목적 모두를 다니엘이 이해(理解)하도록 하시기 위하여 주신 것은 아니었다. 다니엘은 그의 예언의 기록들에 관하여 “이 말을 간수하고 이 글을 봉함하”라는 지시를 받았고 그것은 “마지막 때까지” 인봉되어야 하였다


⑸.많은 주석자(註釋者)들은 이 말이 은유적(隱喩的)인 의미(意味)로 사용되었으며, 성경전체(聖經全體)를 열심히 탐구(探究)하여 그 결과 다니엘서의 예언(豫言)들에 관(關)한 지식(知識)이 증가(增加)되는 것을 묘사(描寫)한다고 믿는다


⑹.“지식(知識)이 증가(增加)할 것이다. 하늘의 사자(使者)들이 다가오는 심판에 대하여 모든 가능한 방법으로 백성에게 경고(警告)하기 위하여 애쓰면서, 그리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로 말미암는 구원(救援)의 기쁜 소식을 전하면서, 빨리 왕래(往來)하는 것이 보일 것이다.” (RH 1895.7. 16)


⑺.“우리는 이러한 성경 말씀이 예언한 시기에 이르렀다. 종말의 때가 이르렀다. 선지자들의 이상은 개봉되었고 그 엄숙한 경고는 우리 주의 영광의 강림이 가깝다는 것을 우리에게 가르쳐 준다.” (소망, 234~235)


⑻.이런 지시(指示)(단 12:4) 는 다니엘서 전체에 적용(適用)된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그 기별(奇別)의 일부는 이해(理解)되어 여러 세기 동안 그것을 믿은 자들에게 축복이 되었기 때문이다. (행적, 585; 소망, 234).


⑼.이 예언(豫言)은 또한 이 예언의 기별(奇別)을 널리 선포(宣布)할 수 있게 만든 발전(發展), 즉 지난 한 세기 반 동안에 이룩된 과학(科學)과 일반 지식(一般知識)의 엄청난 발전을 가리키는 것으로 해석(解釋)되었다. (단 12:4, 재림교주석)


⑽.다니엘서는 닫아둔 책이었기에 오랫동안 그것을 이해(理解)할 수 없었지만, 마지막 때에 이 책(冊)에 대한 이해(理解)가 증가(增加)하며, 재림운동(再臨運動)도 이 예언(豫言)의 성취(成就)로 탄생(誕生)했다.


(04월 02일) (수) <말씀을 연구함>  


(Q)~성경(聖經)을 연구(硏究)하는 다양(多樣)한 방식(方式) 중에 어떤 방식(方式)을 적용(適用)하는 것이 합당(合當)하다고 생각합니까? (눅24:27)


(A)~<성경은 퍼즐처럼 정확히 연결되어있습니다. 또한, 성경은 여러 가지 표상(表象), 은유(隱喩), 비유(譬喩), 직유(直喩) 등등으로 성경 그 말씀 모두를 전후의 성경구절(聖經句節)을 설명하고 있으며 용어(用語)에 따른 정의(定義)도 이해(理解)하게 되어 있습니다.>


<(성경연구방법(聖經硏究方法)>

⑴.(디모데후서 3:15~17)의 핵심 단어(核心單語)는 무엇입니까?


⑵.(디모데후서 3:15~17)에서 어떤 단어(單語)가 경건(敬虔)한 태도(態度)로 성경 공부(聖經工夫)에 접근(接近)하는 것의 중요성(重要性)과 필요성(必要性)을 언급(言及)합니까? (예를 들어, 다음 단어들을 숙고하고 토론하세요: "성경"(영적 접근의 필요성을 의미), "주어진"(하나님의 선물), "영감"(성령의 역사).


⑶.다음 단어(單語)의 중요성에 대해 논의하고 숙고하십시오: "성경(聖經)", "지혜로운", "주어진", "완전한".

☞.본문(本文)에서 어떤 단어가 지적(知的)으로 읽어야 할 필요성(必要性)을 언급(言及)합니까? (예를 들어, 다음 단어들을 숙고하고 토론하세요: "알다"(인지 기능; 학습할 정보), "현명한"(생각의 연습), "지시"(지시를 받고 새로운 교훈을 배우는 능력).


⑷.성경 공부(聖經工夫)가 창의적(創意的)인 사고(思考)를 불러일으키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어떤 단어(單語)가 공동 독서(公同讀書)의 필요성을 언급합니까? (예를 들어, 다음 단어들을 숙고하고 토론하세요: "어린 시절부터"(부모의 참여), "교정"(부모와 교사의 참여), "선한 일"(도움이 필요한 사람들을 위해 행한 일).


⑸.이 본문의 구조(構造)는 무엇입니까?

☞.어떤 단어가 본문을 개인의 삶에 적용해야 할 필요성을 언급합니까? 예를 들어, 다음 단어에 대해 숙고하고 토론하세요: "당신을 지혜롭게 만드십시오"(분별력과 개인적 판단력을 연마합니다). 어떤 단어가 윤리적 감수성의 필요성을 언급합니까? 예를 들어, 다음 단어에 대해 숙고하고 토론하세요: "의로움으로"(옳은 것을 분별하는 능력을 개발합니다).


⑹.성경을 연구 함에 있어 말씀 중에 이 구절(句節)의 맥락(脈絡)은 무엇일까? 성경으로 연결(連結)하여 탐색(探索)하고 성경으로 짝을 맞춰보아야 한다.


⑺.성경을 해석(解釋)함에 있어서 회의주의(懷疑主義)와 불신사상(不信思想)을 나타내는 교회들이 많이 있다. 짙은 안개 속에서 암초(暗礁)에 걸린 배처럼 아무것도 뚜렷하고 분명하게 구분되어 보이지 않는다. 이것이 마지막 날의 두드러진 징조(徵兆) 중의 하나이다. (1 SM 15)


⑻.빛은 깨달음을 줄 것이며 1846년 아래로 하나님께서 당신의 백성들에게 보내신 기별들 가운데 성경의 진리가 분명하고 단순하게 증거된 것처럼 성령께서는 사람들의 마음에 깊은 감명을 주실 것이다. 


⑼.같은 주제(主題)를 가진 다른 두 성경본문(聖經本文)을 찾으십시오(예(例): (시편 119:97~104)와 (요한복음 5:39). 이 본문들 사이의 유사점(類似點)을 파악(把握)하고 그 주제를 비교(比較)하고 대조(對照)하십시오. 어떻게 같거나 다릅니까?


⑽.마치 성경은 성경으로 해석(解釋)하듯이 증언(證言)들 자체가 이미 주어진 기별들을 설명하는 열쇠가 될 것이다. 많은 사람은 잘못을 견책(譴責)하는 기별들을 열심히 읽고 저들이 구원(救援)받기 위하여서 해야 할 일들이 무엇임을 배우게 될 것이다. (1 SM 42)


(04월 03일) (목) <문자적(文字的)인가, 상징적(象徵的)인가>     


(Q)~하나님께서 예언의 말씀을 직설적으로든 문자적으로 말씀하지 않으시고 예언을 상징으로 말씀하신 이유가 있을까? (예(例)-베드로는 (벧전 5:13) 왜 로마를 바벨론이라 언급했습니까? 


(A)~<하나님께서 왜 직설적으로 말씀하지 않고 상징으로 말씀하셨는가 하는 것은 악(惡)의 가해자(加害者)로 분명히 지목(指目)했다면, 심(深)하게 박해(迫害)받고 있던 교회나 신자들에게 대한 박해(迫害)는 더욱 심했을 것으로 신자(信者)들을 보호(保護)하는 측면(側面)이 크시다>


⑴.하나님께서 예언(豫言)을 상징(象徵)으로 말씀하신 데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 수 있다. 

예(例)를 들어 만약 로마를 그토록 많은 악(惡)의 가해자(加害者)로 분명하게 가리켰다면 이미 극심(極甚)했던 교회에 대한 박해(迫害)가 더 심해졌을 수도 있다.


⑵.신약 교회(新約敎會)의 경우에, 요한계시록에서 이유가 어떤 것이든, 하나님께서는 분명 우리가 상징(象徵)의 의미(意味)를 이해(理解)하기 원하신다는 것을 확신할 수 있다.


⑶.일부 상징(象徵)과 예언(豫言)이 신비(神祕)로 남아 있다 하더라도, 우리가 이해(理解)하는 것에 초점(焦點)을 맞추는 것이 우리의 믿음을 강화(强化)할 수 있을 것이다.


⑷.상징적 의식에는 죄를 회개하고 고백함으로 하나님 앞에 나온 사람들, 곧 그들의 죄가 속죄 제물의 피를 통하여 성소로 옮겨진 자들만이 대속죄일의 봉사에 참여할 수 있었다.


⑸.성경해석(聖經解釋)의 역사는 문자적해석(文字的解釋)과 상징적해석(象徵的解釋)의 두 추로 비유(譬喩)할 수 있다. 성경적 상징주의(biblical symbolism)는 말 그대로 문자적해석(文字的解釋)이 아니라 상징적해석(象徵的解釋)을 가리킨다. 그러나 주관적(主觀的)이고 희한한 상징주의(象徵主義)가 아니라 성경이 말씀하는 방식(方式)을 따라서 ‘성경적(聖經的)’ 상징성(象徵性)에 충실한 해석(解釋)이다.


⑹.성경의 상징은 성경을 해석(解釋)하는 도구(道具)로, 성경의 말씀을 하나님과 우리의 삶에 연관(聯關)시켜 깊이 묵상(默想)하도록 이끌어 줍니다


⑺.설명이 어려운 것은 상징으로 긍정적(肯定的)인 면을 더 깊이 알기 쉽게 생각할 수도 있다.

 성경은 성경으로 풀어야 한다. 이것이 성경을 푸는 가장 정확하고 유일한 방법이다. 하나님은 성경 속에 여러 가지 문제를 제시하시고 그 해답도 성경 속에 숨겨놓고 계신다. 그러므로 세상 지식으로 성경을 풀지 말아야 한다.


⑻.성경의 상징(象徵)은 성경을 해석(解釋)하는 도구로, 성경의 말씀을 하나님과 우리의 삶에 연관(聯關)시켜 깊이 묵상(默想)하도록 이끌어 줍니다


⑼.성경에는 여러 가지 상징(象徵)이 등장(登場)하고, 그것이 다른 사실을 예표(豫表) 하기도 합니다. 또한, 특별한 표적(表迹)이 증거 하는 바가 있기도 합니다. 이런 일들이 성경에 있는 이유는 기독교의 진리를 증명하고 드러내기 위함이며, 성도들이 배울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지만 성경은 성경으로 짝을 맞춰서 해석(解釋)(풀어야)합니다.


⑽.말하자면 모든 기록은 기록된 이유가 있습니다. 또한 예표(豫表)와 상징(象徵) 등은 진리(眞理)를 변증(辨證)하는 데 큰 도움이 되며, 비유(譬喩)와 은유(隱喩) 등은 성도(聖徒)가 성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줍니다. 하지만 바르게 성경으로 풀지 않으면 오히려 독(毒)이 됩니다. <아멘>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대총회 북아태지회 한국연합회 성경통신학교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 한국연합회 선교부 | 고유번호증번호: 204-82-62040 | 대표자: 강순기 | 부서장: 신광철
Copyright © 2014 안식일학교·선교부 All rights reserved.
top